십자도 살인사건
윤자영 지음 / 북오션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십자도 살인사건

 

사건의 시나리오는 누가 만든 것일까?,

살인이 일어나는 고등학교 2학년 7반 죽음의 수학여행…. 보이지 않는 손, 보이지 않는 힘이 어떻게 일판을 벌인 것일까? 일본의 소년 탐정 김전일(가네다 이치, 金田一少年の事件 簿)을 떠오르게 하는 임영제, 스케치하고 사건을 분석하고 메모한다…. 여기에 숨은 의도?, 한국추리문학상 대상을 거머쥔 윤자영의 본격 스릴러 소설이라는 소개와 함께... 십자도란 무슨 의미가 있나, 정의구현인가, 죽은 자의 무덤 앞에서 안식을 기원한다는 의미인가, 책을 열기 전에 제목만으로 소설의 내용을 짐작해보는 재미를 만끽하면서...

 

 

 

 

교육붕괴현장, 고등학교 2학년 7반의 요지경

 

한국 사회의 고등학교 교육 붕괴 실태를 들여다본다. 담임교사가 학생을 나무랐다고 벌떼같이 달려들어 선생을 패고, 짜르고, 보호자들의 갑질, 이른바 헬리콥터페런트(극성스런 보호자)의 전형을 바탕에 깔고, 펼쳐지는 학교 안 일상들, 기가막히게 줄타기를 하는 교장과 정의롭게 살아가려다 뭔가 길이 엇갈려 자살까지 결심한 2학년7반 담임 과학교사 고민환, 중학교때부터 요즘TV 시사프로 “그것이 알고 싶다”에 몇 차례 소개된 촉법소년들처럼, 셔틀, 원조교제 등등 상상초월의 학교 일진 5인방, 한 달에 한 번 고급 햄버거와 피자를 쏘겠다는 공약으로 반 회장이 된 장희종과 이를 따르는 두 명의 부하들, 그리고 단란주점을 하는 엄마를 둔 명신, 5인방 중 4명, 이들은 십자도 살생부에 올랐나? 왜?

 

인천 덕적도에서 30분을 더 들어가야 하는 주민 4명의 외딴섬 십자도, 세월호 사건이후 단체수학여행을 지양하라는 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수학여행을 농촌체험이나, 공수부대 극기훈련으로 유도하는 학교, 일진의 우두머리 장희종은 섬에 가면 농촌체험과 봉사도 되니...앗싸, 우리 섬으로 수학여행가자고하고, 이에 동조하는 임영제... 담임 고선생은 청소년,소녀 왈패 일진 그룹의 행동거지를 못마땅한 정도가 아니라 이들에게 분노와 모멸감을 느끼고 있다. 장희중의 엄마-졸부?, 돈이면 만사오케이, 헬리콥터맘에 학교 운영위원장이며, 교장은 물론 고선생의 품행불량사실을 잘 알고, 이를 무기삼아 학교를 손아귀에 넣고 통제 조정하려든다-, 고선생은 희종이 수학여행가서 사고치지 않도록 그 어머니에게 보디가드를 붙여주는 조건으로 수학여행을 추진하겠다고...

 

눈여겨 봐야할 앗싸(아웃사이더)임영제는 장희중의 섬 수학여행에 찬성하고... 회장출마했다 밀린 민선도 가세... 이들이 음모에 가담한 것인가?, 학교 일진을 싸그리 없애버리려고, 고등학생들이...

 

죽음이 기다리는 십자도로 향한 수학여행

 

십자도 산은 한자의 뫼산자처럼 생겼다. 등대가 있고, 절벽도, 해안가 모래사장도, 본격적인 피서철이 아니어서 마을에는 사람도 없다. -임영제의 수첩에는 이렇게 묘사됐다-

 

십자도에 도착한 학생들이 맞이한 멋지게 생긴 청년회장, 돈독이 단단히 든 십자도 섬 이장은 희중 패거리에게 술과 안주를 등대로 가져다 주고, 질펀하게 자정까지 술을 마신 문제의 5인방은 폐교를 개조한 숙소로 돌아가는데... 새벽녘에 일어난 임영제는 마을을 돌아보다가 등대에 사람 그림자가 있는 것을 발견... 수학여행 첫날 이장이 죽고, 이튿날 섬 주민 이씨가 과다출혈도 죽는다. 범인은 과연 누구일까?, 임영제의 사건부에 적힌 이들의 상태, 마지막날 정기운항선이 십자도에 들어오고, TV를 통해 사건이 세상에 알려지는데... 과연 진짜 판을 짠 사람은 누구인가?, 누군가 당신의 생각을 읽고 조종한다는 수수께끼의 인물은...반전이 일어나는데...

 

 

 

 

과연 범인은 2학년 7반 담임선생인 고민환, 장희중의 보디가드로 섬에 들어와 동네 청년회장이라 자신을 소개한 20대 청년? 이들에게 무슨 사연이 있었지?

 

꽤 흥미진진하게 진행되는데, 결론은 아니 뭐야?... 로, 응, 이런게 반전이로구나. 판을 짠 사람은 따로... 왜 그랬을까? 범인은 그저 장기판의 말이었나...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