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다의 유까딴 견문록 - 마야문명에 대한 최초의 기록
디에고 데 란다 지음, 송영복 편역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까딴 견문록

란다의 견문록, 마야문명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옮기고 엮은 송영복 교수는 말한다. 세상 기록 중 의미 없는 기록은 없겠지만, 이 기록은 다른 세계를 알기 위한 지적 욕구 때문이 아니라, 식민지 지배와 경영을 위한 목적에서 선교을 하던 성직자(신부)가 작성한 보고서라는 점에 주목해둘 필요가 있겠다.

 

마야의 세계, 지리정보에서 기후, 환경(살아있는 것들의 생태- 생물, 무생물, 건축물)과 마야인들의 가치관, 종교(제사장과 그들의 조각상, 사후 세계에 관한 믿음 등), 정치, 군사, 사회(풍습, 가족관계, 결혼 등) 문화예술(숫자를 세고, 그림을 그리는 것들까지)에 이르기까지 마야인의 모든 것을 다 담아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듯하다. 구성은 51개 주제별로 묶어서 적고 있다.

 

 

 

 

견문록의 지은이는 가톨릭 신부다. 16세기에 그들의 선조가 이미 남미를 점령하고, 식민지 건설의 기초가 잡혀갈 무렵 그는 17세의 나이로 마야 땅에 들어왔다. 나중에 신부로써, 그리고 마야인에 대한 탄압 등으로 스페인으로 소환되기도 했지만, 다시 돌아와 주교로서 일하다 그곳에서 생을 마쳤다.

 

엮은이가 서두에서 밝혔듯이, 이 견문록은 마치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처럼 적(피지배 대상)들에 관한 모든 것을 담은 보고서다. 선교를 목적으로 했던 에스빠냐(스페인)인들의 눈에는 마야문명 그 자체가 미개다. 당연히 가치관이 다르기에 다른 것을 다르게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잣대로…. 또한, 주석, 해설에서 엮은이의 지식이 돋보인다. 또한, 이 책, 란다의 견문록은 16세기 식민지 초기 시대 유럽의 시각으로 본 '마야문명'에 관한 기록이라는 점 또한 기억해둘 필요가 있겠다.

견문록, 란다는 신부, 주교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마야인의 땅에서 그들을 관찰하고 기록했다. 그들의 고유한 문화유산을 불 질러 없애기도 했다(마치 분서갱유처럼). 그래서 마야문명을 기록한 자료가 아주 드물게 됐고, 그들이 지은 기록물과 함께 이 견문록이 사료로써 평가받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즉, 누구의 눈으로 어떤 가치관과 세계관으로 적었는가에 따라서…. 다만, 자연환경과 건축물 등을 제외한 정치, 종교 등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이겠지만 말이다.

 

 

 

민속학적인 접근에서는 유의미한 것들이 산재해있다. 30.에서 소개하는 간음, 살인, 도둑질한 사람을 어떻게 처벌했는지, 젊은이들에 대한 교육 등이 그러하다. 이와 관련하여 유까딴 여인들의 정절과 교육 등….

유까딴의 달력(천체와 우주 운행에 관한 지식들)과 인신 공양, 유까딴의 연도계산은 마치 성서의 나이 계산과도 같은 맥락이다.

이 책의 체제는 원문을 그대로 번역하고, 엮은이가 주를 달아서 현대적인 의미로 설명을 덧붙이는 편집이다.

 

 

 

 

TV 다큐멘터리드라마에 곧잘 등장한 “마야인” “마야문명”의 수수께끼, 주제별로 하나하나 뜯어보고 톺아보면, 꽤 재미있는 상상도 할 수 있다. 물론 이 견문록의 저술 의도를 늘 염두에 두면서, 마치 일제강점기에 울릉도의 산림을 조사했던 기록들이, 일본과 울릉도의 산림분포 유사성을 밝혀내듯, 물론 어디에 어떻게 사용하는가, 검의 양날이지만….

이 견문록은 마야문명에 관한 소개서로서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마야인과 그들의 문명에 관한 이해의 기초 정보를 얻었다면 말이다. 각주를 읽는 게 더 재미있는 책은 아마도 별로 없을 듯한데, 이 책은 본문보다는 주석이 훨씬 재미있다.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