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읽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 A Year of Quotes 시리즈 1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로라 대소 월스 엮음, 부희령 옮김 / 니케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날마다 읽는 소로, 왜 읽어야 할까?

 

<윌든>의 저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 19세기 중반에 살았던 소로, 그는 꽃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날짜를 거의 맞춘단다. 소로가 월든에 썼다는 문장 "시간은 내가 물고기를 낚으러 가는 시냇물일 따름이다."라고, 이 책<매일 읽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은 시간의 흐름과 현존에 관한 소로의 실험집이다.

 

계절이 흘러가는 대로 살아라. 그 공기를 호흡하고, 그 음료를 마시고, 그 열매를 맞보고, 그 영향력에 자신을 맡겨라. 불어오는 모든 바람에 나부껴라. 모공을 활짝 열어 자연의 온갖 물결 속에 잠겨라….

 

마치 자연인의 선언처럼 들리다. 아니 선언이다. '계절 속에서 살아가기' 무위자연으로라는 사상처럼, 귀를 방바닥에 바짝 대고 땅이 숨 쉬는 소리를 듣고, 땅속에서 생명이 꿈틀거리는 움직임을, 산업화가 산 밑, 산 중턱에 이르는 사이에 잘린 나무 밑동에서 들여오는 생명의 소리, 나비의 날갯짓, 이 모든 소리는 귀로만 듣는 게 아니다. 눈으로 소리를 본다. 머리로 소리를 그린다. '자연 속으로 자연과 함께'라는 말을 입으로는 외치지만 몸과 마음은 여전히 자연으로부터 한 발짝 멀리 떨어져 엉거주춤한 자세로 서 있다.

 

개발의 붐이 한적한 산골 마을 턱까지 올라와 숨을 헐떡이게 만들고, 어제와 오늘 봤던 그 큰 나무들이 없어져 항구로 실려 나가고, 그 나무 대신에 세상의 온갖 물건이 돌아온다.

 


 

소로는 계절 속에서 살아가면서 현대인이 느끼는 단절감을 어떻게 치유할 수 있는지 알려주었으며, 소외감을 관계 맺기로, 무관심을 사랑으로, 무지를 책임을 대체하는 방식을 알려준다. 도심 속 번화한 곳에서 쉼 없이 바삐 움직이는 삶이라도, 자연인으로서 살아가는 방식을 터득할 수 있는 길이 이 책 속에 있다면, 보물찾기라도 하듯 찾을 수밖에….

 

<겨울산책(1843)> 바람을 견딜 수 있는 것은 오직 미덕이 깃든 것들뿐

구석구석 스며드는 차가운 바람은 모든 전염병을 몰아낸다. 바람을 견딜 수 있는 것은 오직 미덕이 깃든 것들뿐이다. 산꼭대기처럼 춥고 황량한 곳에서 무엇을 만나든, 우리는 청교도적 강인함과 같은 꿋꿋한 무구함을 존경한다….

 

1854년 1월 12일의 일기, 연못도 깊은 잠에 빠져든다.

매해 겨울이 되면 연못은 수면에서부터 깊은 바닥까지 단단하게 언다. 소나 말이 끄는 매우 무거운 수레도…. 이내 눈이 내려 연못과 땅을 구별할 수 없는 높이…. 연못도 깊은 잠에 빠져든다.

 

1860년 1월 27일의 일기, 그때가 바로 성공하기 직전이다.

당신이 발걸음이 아무 이득도 없고 실패라는 생각이 들 때, 이제는 발길을 돌리지 않을 이유가 거의 없을 때, 그때가 바로 성공하기 직전이다. 우울해지고 탈진하려는 순간, 자연은 반드시 문을 열어주기 때문이다.

 


 

1860년 1월 30일의 일기, 까마귀 소리

높이 날아오른 까마귀가 우리를 위해 하늘의 고막을 건드린다. 그리하여 비로소 그 음색이 드러난다.

 

1856년 12월 12일의 일기

우리의 삶과 우리와 동행하는 삶은 얼마나 멋지고, 놀라운가!. 사람이 아니라 야생의 동물 같은 존재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은 인류와 함께 사회 비슷한 상태에 도달해야 한다!.

고양이는 학교에 가지 않고, 성경을 읽지도 않는다. 그러나 학교에 다니고 성경을 읽은 것처럼 행동하지 않는가!

 

1857년 12월 13일의 일기

병들고 무기력할 때는 삶이 장애물로 막혀있으며, 이제 막바지에 다다랐다고 인정하는 게 용기를 준다. 그래야 손해가 없어 보인다. 잃어야 할 때 잃는 것은 힘을 축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몇 편의 일기를 봤다. 겨울날에서 겨울날로 이어지는 혹독한 시기, 자연도 긴 쉼 속에 잠겨 들고, 당신이 실패했다고 느끼는 순간이 성공하기 직전의 상황임을 느껴라…. 겨울의 긴 쉼은 봄을 위한 것이듯, 당신에게 이득이 없다고 실패할 것 같다고 여기는 순간 이미 성공을 향한 여정은 시작됐고, 그 길 가운데 서 있음을 자각하라. 시작이 반인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짧은 문장을 보면서 지금의 내 안에서 일어나는 감정을 투영해보는 것도 흥미롭다. 마치 게임처럼, 어제 내가 이 책을 읽고 써 놓은 글과 일주일 뒤, 읽고 써 놓은 글이 같을까, 그렇지 않을까, 누구도 모른다. 자연과 하나 된다는 말, 자연 속에서 산다는 말은 공간과 시간이 아니다. 내 마음의 평온상태를 말하는 것이기에, 글을 쓰면서 내 마음의 상태를 드러내 보이는 것도 좋지 않을까, 일기 쓰기란 여간 어렵다. 보기보다는 쉽지 않다는 말이기도 하다. 내 생각을 자판 가는 대로 누르고 때리면 문장이 되듯, 우선 두들겨 보고, 써보고, 말해두고,

어차피 자연이란 내 안에 있는 자유의지인 것을….

 


 

이 책<매일 읽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은 헐거워짐을 막기 위해 양장본으로 만들었나 보다. 라는 생각이 계속들 게 한다.

 

비타민 한 알처럼 날마다 조금씩 나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로서는 좋지 아니한가, 순서도 날짜도 제멋대로인데, 그냥 아무 데서나 읽기 시작해도 좋다.

출근길에 상상해보자, 자기 전에 상상해보자. 나만의 자연을 상상해보자.

이것이 날마다 소로를 읽어야 할 이유이다.

 

 

<출판사에서 보내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