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글도 책이 될까요? - 글을 쓸 때 궁금한 것
이해사 지음 / 모아북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글도 책이 될까요?

 

글을 쓸 때 궁금한 것, 이 책은 2021 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이다.

지은이 이해사는 투잡을 한다. 주경야독이랄까, 낮에는 지적 관련 분야의 일을 하며, 매일 밤, 몇 시간씩 열심히 글을 쓰는 글 밭을 갈고 있는 “호머 부커스”다. 그는 이 책의 첫머리에 “한 권의 책은 저자가 만드는 균형 잡힌 삶의 총체”라고 말한다.

 

이 책은 왜 글쓰기가 필요한지 그 효용에 대해서 적고 있다. 글쓰기 책은 이 책을 비롯하여 넘쳐 날 정도로 많다. 이 책이 왜 우수출판콘텐츠가 됐는지를 조금만 생각해보면 여느 글쓰기 책과는 그 결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지은이는 삶을 더 열정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으로 글쓰기를 이야기한다. 글쓰기를 해야 할 이유 5가지를 들고 있고, 우선 자신을 드러내는 성스러운 행위라고 한다. 그다음으로 수명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즉, 인생이 길어진다는 것인데, 이때 글쓰기가 삶을 윤택하게 해줄 수 있다는 말이다. 여기에는 자본이 들지 않는 활동으로 노후생활비용에 보탤 수 있다고, 뭐 이 역시 효용이다. 세 번째로 들고 있는 것이 자신을 표현하는 법을 알게 되며, 넷째로 관찰력과 통찰력이 생겨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긍정적 사고를 하게 된다.

이렇게 보면 글쓰기는 자기반성과 성찰의 기회이며, 세상을 보는 눈을 길러주고, 자신을 표현하며 긍정적 사고를 기르는데 그만이라는 말이다. 이는 글쓰기 이유이자 효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과히 촌철살인이다.

 

글 쓰는 사람의 유형 중에 나는 어디에 속할까,

 

지은이는 쓰는 유형을 4가지로 구분한다. 

첫째, 어느 한 분야의 전문가, 둘째 인생의 곡절이 있는 사람, 셋째 대단히 유명한 사람, 넷째 나와 같은 일반인으로, 이 책은 바로 네 번째와 같이 보통사람들의 글쓰기에 대해서 그의 경험을 바탕으로 조언을 하고 있고 이 책에 7장으로 나눠, 설명한다.

1장에서는 글을 써야 하는 이유를, 2장, 무엇을 써야 할까? 글쓰기의 콘셉트를 잡기에 관한 이야기를, 3장 글을 어떻게 쓰는가에 관한 내용을 담아두었고, 4장 글을 쉽게 쓰는 방법, 5장 출판사를 설득하는 방법 등 아주 실무적인 내용을 언급했고, 6장과 7장, 어떤 책이 잘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되는지, 그리고 제대로 글을 쓰기 위해서는 어떤 여건이 필요한가에 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글쓰기 원칙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선 “글을 쉽게 써야 한다.”라는 원칙이다. 아인슈타인의 말을 인용하고 있는데 실제로 그렇다. 당신이 아는 것을 다섯 살배기 아이에게 설명할 수 없다면 실제로 아는 것이 아니라는 말, 즉 짧고 명확하게 모호한 문장이 없는 단문으로 써라, 구어체를 써라, 어려운 개념은 보충설명을 붙여둬라. 비유, 예시, 비교, 사례를 구체적으로 보여줘라, 그리고 능동형 문장을 쓰고 논리적 흐름에 신경을 쓰라. 마지막으로 편집, 가독성이 좋아야 한다(7개 원칙, 103쪽 참조).….

 

독자에게 공간을 주어라

 

책 쓰기는 독자와 상호작용이니, 단정을 짓지 말고 질문을 하고, 강요하지 않아야 책을 읽는 이는 그에 대해서 자기 생각을 정리해볼 수 있다. 또 결론을 짓지 말고 제안을, 여운을 남을 수 있도록 하며, 솔직, 정직, 투명하게 해야만 쓰는 쪽과 읽는 쪽의 공동작업이 될 것이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남을 의식하는 글쓰기가 되면 곤란하다. 남들은 내 글에 관심이 없다. 그리고 우리는 타고르나 헤밍웨이처럼 천재가 아니기에 일부러 남에게 잘 보이려는 글쓰기를 하는 순간에 나는 없어지고 솔직, 정직, 투명이라는 원칙은 어디론가 사려져 버린다. 있는 그대로 당당하게 써라

 

글쓰기를 위한 습관을 길러라, 강준만의 글쓰기에서 메모를 이야기한다. 쓴 글이 다는 아니다. 고치고 또 다듬어라, 그리고 매 순간 생각이 떠오를 때마다 메모해라, 글은 고쳐 쓰면서 무럭무럭 자란다. 여전히 그리고 다시 한번 기억해야 할 것은 우리는 글쓰기 천재가 아니라는 사실이며, 남에게 잘 보이려는 글을 쓰려고 노력도 하지 말아라. 다만, 묵묵히 솔직하게 정직하게 당당하게 주장하자, 그 주장의 수준과 정도는 단정이 아닌 질문을,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물어 글에 여운을 남긴다. 그리고 결론은 읽는 이가 내리도록 충분한 공간 배려를 하는 것이다.

 

얼핏 보기에는 아주 쉬워 보이고 간단하지만, 글쓰기를 하는 순간, 늘 욕심이 생기고, 애매할 때는 포기하기 쉽다는 점도 염두에 두자, 지난한 글쓰기와 순식간에 쓰는 글들도 있다. 마치 불교 수행법, 돈오돈수냐, 돈오점수냐, 어느 한쪽 수행법이 좋다 나쁘다는 문제가 아니라 방법이다. 따라서 글쓰기도 자신의 성정에 맞는 방법을 자연스레 터득할 때까지는 부지런히 쓰고 다듬고, 읽는 이의 처지에서 즉 눈높이에서 쓴 글들을 다시 살펴보라는 것이다. 내가 이해한 글쓰기는 바로 이런 것이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글쓰기를 해야 할 이유 5가지를 들고 있고, 우선 자신을 드러내는 성스러운 행위라고 한다. 그다음으로 수명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즉, 인생이 길어진다는 것인데, 이때 글쓰기가 삶을 윤택하게 해줄 수 있다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