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 도스또예프스끼의 삶과 예술을 찾아서
이병훈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글로 밥을 먹고 사는 사람들중 누군가 이런말을 했다' 하면 글로 밥을 먹고 살 만 하군..싶었을 것이다.
그들은 과거, 혹은 미래의 시간속에 눈길을 던져둔 채 지금의 시간을 해석하기도 하고 현실의 고단스런 일상을 반짝이는 형용사를 섞어 역설해 보이는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므로.
하지만,
눈앞에서 생사가 뒤집어지는 절체절명의 순간을 뛰어넘어 본 사람이 이런 말을 했다면....
그 사람을 휴머니스트로 생각해야 하는지 운명에 묵묵히 순응하는 숙명론자로 생각해야 하는지 잠깐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미리 계획된 일이었다고는 하지만) 눈앞에서 사형이 집행되는 극단적인 공포와 극적인 순간을 마주한 사람이라면 사상의 체계가 완전히 뒤바뀔 수 있고 이전과 전혀 다른 삶을 선택하며 살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순간을 실제로 맞이했고 그때의 기억을 바탕으로 세계문학사에 길이 남을 작품<백치>로 남긴 작가,
'도스또예프스끼'
그는 정말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수있다고 믿은 것일까?
도스또예프스끼의 이름은 낯설지 않다.
흔한말로 그는 세계 문학사에 길이 남을 주옥같은 작품들을 남겼다.
주옥같은 작품들의 이해로 삶의 진지한 성찰로 이어져 그를 기억하기도 하지만, (부끄럽지만) 그의 문학적 정신세계와 작품분석을 탐구하는 시험대비용 문제들을 통해서 그를 더 친숙히 여기게 되었음을 부인할 수없다.
그도 그럴것이 주옥같다는 작품들은 하나같이 딱딱하거나 어렵거나 심오하거나 깊이가 있어 책장이 잘 넘어 가지 않는다.
책 읽기가 무거워지고 숙제와 같이 느껴질 때 그 작품이 가지는 가치와는 별개로 흡인력없이 꾸역꾸역 삼켜야하는 고통이 따른다. 삼킨뒤에 나타나는 영양적인 측면의 효과는 맛있게 흡입했을 때나 꾸역꾸역 삼켰을 때나 별반 다르지 않겠지만 도스또예프스키의 작품은 한젓가락에 후루룩 넘길 수없는 묵직함과 침잠된 어둠이 함께 있다. 그래서, 가벼워 날리는 일 없는 그의 작품을 완독하기란 시간이 걸리고 모든 작품을 다 섭렵하기란 나같은 독자에겐 무척 힘겨운 일이다. 부끄럽다.
이병훈 교수가 쓴 이 책은 도스또예프스끼의 일생을 그려나가면서 삶 고비고비마다 태어난 그의 작품을 연결시킨 책이다.
우리가 모르고 있었던 도스또예프스끼의 성장배경, 가족들과의 관계, 영향을 받은 문학가, 감옥과 유형 생활, 편집자로서의 사업, 아내와 아이들, 도박과 앓고 있던 간질병등을 통해 그를 좀 더 가깝게 느낄 수있도록 하고 그의 작품세계로 한 발짝 다가갈 수있는 기회를 주었다.

날카롭고 형형한 그의 눈빛안에 그가 평생 앓았던 질병의 그림자가 함께 스며 있음을,
든든한 후원자이자 평생의 벗인 미하일 형과 좋은 조력자이자 헌신적인 아내,
문학적 스승으로 삼았던 고골과 뿌쉬킨,
편집자로서의 사업수단과 작가가 되어 펴낸 작품들,
질병과도 같았던 도박증세와 종교로의 회귀...
작품으로만 알던 도스또예프스끼는 멀고 다가가기 힘든 사람으로 느껴졌다면, 삶을 따라 가며 슬쩍 슬쩍 들은 그의 작품들은 그의 인생과 결속되어 있고 그가 느꼈을 아픔과도 상통해 있음을 느낄 수있어 주옥으로만 빛나고 있던 작품들을 다시 들쳐봐야 겠다는 의지를 솟게 했다.
반을 넘기지 못하고 덮었던 죄와벌, 백치, 죽음의 집의 기록 등 먼지를 뽀얗게 뒤집어 쓰고 책장의 무늬로 꽂혀있는 책들을 다시 쓰다듬어 빼 놓게 했다. 왜 도스또예프스끼가 우리곁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작가인지를 알고 싶어졌다.
작가가 들려주는 도스또예프스끼의 일생도 흥미로웠지만, 도스또예프스끼의 숨결이 닿아 있는 곳을 발로 걸으며 그곳의 풍경과 느낌을 전해받는 것도 독자로서는 쏠쏠한 재미였다.
특히, 도스또예프스키가 주로 거주했던 모든것이 교차하는 광경을 한 눈에 볼 수있는 모퉁이 집의 전경과 (놀랍게도 도스또예프스끼는 7번이나 모퉁이를 끼고 서 있는 집에 살았다.)백야의 무대가 된 뻬쩨르부르그 거리 풍경, 도스또예프스끼가 각혈을 하며 쓰러졌던 서재의 8시38분을 가리키는 시계 등...같이 올려진 그림들을 보면서 도스또예프스끼가 살았던 도시들에 대한 궁금증
이 증폭되면서 책은 더 풍성해졌고 작품의 현장을 보여주려는 작가의 발품담긴 배려가 고맙게 다가왔다.
어두운 얼굴의 진지하기만 하던 도스또예프스끼가 인간적인 고뇌로 괴로워하며 울고 웃었던 나와 비슷한 사람이었음을 느낄 수있었던 것은 이 책이 나에게 주는 가장 큰 고마움이다.
어떤 사람을 좋아하게 되면 그 사람의 주변도 사랑하게 되고 관심을 갖게 되 듯, 도스또예프스끼 작품에서는 머뭇머뭇 나아가지 못했던 관계가 그를 이해하게 됨으로 더 가깝게 다가옴을 느낀다. 마지막장까지 읽을 수있는 에너지를 공급받은 것 같다.
절망의 시대에 던진 구원의 메세지...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라는 믿음!!
나도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