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스티스맨 - 2017년 제13회 세계문학상 대상 수상작
도선우 지음 / 나무옆의자 / 2017년 6월
평점 :
피살자의 이마에 두 발의 총알자국을 남겨놓는 희대의 연쇄살인이 벌어집니다.
패닉에 빠진 검찰과 경찰이 전혀 감도 못 잡고 있는 사이,
한 인터넷 카페에 살해된 자들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와 함께
그들이 잔혹하게 살해당해도 마땅한 인물들이었다는 기막힌 사연들이 게시됩니다.
살해된 자들은 어떤 식으로든 타인에게 유무형의 끔찍한 폭력을 휘둘렀던 자들이고,
그 폭력의 희생자들은 평생 지워지지 않을 깊은 상처 속에서 살아가게 됐다는 것입니다.
그 카페의 운영자 저스티스맨은 ‘추정’ 또는 ‘각색’이라고 전제했지만,
마치 직접 살인을 저지른 킬러의 고백 기록처럼 너무나 완벽하고 사실적인 스토리에
카페 회원들은 ‘저스티스맨=킬러’라고 의심하면서도 그의 ‘정의구현’에 열광합니다.
● ● ●
어딘가 복수와 응징의 냄새가 느껴지는 총기에 의한 연쇄살인,
연쇄살인의 정확한 판세를 읽어내는 인터넷 카페 운영자 저스티스맨의 가공할 추리,
저스티스맨에게 열광하며 희대의 연쇄살인마 ‘킬러’를 숭배하는 익명의 네티즌들의 광기,
그리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가릴 것 없이 사회 전체에 만연한 잔혹한 폭력에 대한 고발 등
‘저스티스맨’은 다루는 내용이나 그것을 풀어가는 형식 모두 독특하고 도발적인 작품입니다.
피살자들이 어떤 식으로 서로 연관된 인물들인지,
그들이 살해되기 전 어떤 악행을 저질렀고, 어디에서 어떤 모습으로 최후를 맞이했는지 등
저스티스맨이 올린 연쇄살인의 전말을 읽으면서 독자는 계속 위화감을 갖게 됩니다.
도대체 어떻게 이 모든 디테일을 알고 있는 것일까?
정말 그가 범인일까? 아니면 범인과 특별한 관계이거나 아니면 공범일까?
독자 역시 소설 속 카페 회원들과 마찬가지로 저스티스맨을 의심할 수밖에 없지만,
작가가 그렇게 선선히 미스터리의 열쇠를 줄 리는 없으니,
분명 후반부에 가서 엄청난 반전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 죽어 마땅한 인물들을 상대로 한 냉정하고 빈틈없는 사적 복수는
일반적인 ‘감정적 사적 복수’와는 차원이 다른 엄청난 이입을 경험하게 만드는데,
덕분에 ‘절대 잡히지 말기를’, ‘마지막 장에서도 킬러가 무사하기를’ 간절히(?) 바라게 됩니다.
작가는 연쇄살인 미스터리 서사 속에 ‘폭력’에 대한 꽤 묵직한 담론도 함께 담았습니다.
권력에 의한 폭력, 약자에 대한 쾌락적 폭력, 욕망 분출을 위한 폭력, 학교 폭력 등
다양한 형태의 폭력을 연쇄살인의 출발점, 즉 피살자들의 ‘죄’로 설정해놓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킬러를 숭배하며 피살자들을 증오하던 카페 회원들은
댓글로 논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그들끼리 ‘폭력’을 주고받게 됩니다.
닉네임 뒤에 숨어 욕설과 비아냥으로 범벅된 언어적 폭력을 휘두르는 것은 물론,
‘현피’까지도 서슴지 않는 그들의 온라인 폭력은 사실 피살자들의 ‘죄’와 다를 게 없습니다.
오프라인의 폭력을 증오하면서도 온라인의 폭력을 무감각하게 여기는 그들을 통해,
또 하이에나 무리처럼 집단의 폭력성에 길들여진 그들을 통해
작가는 미세한 입자의 안개처럼 사회 곳곳에 스며든 폭력의 광기를 대놓고 비판합니다.
이 지점에서 “그럼, 킬러의 연쇄살인은 용서받을 수 있는 폭력인가?”라는 문제가 제기되는데,
작가는 초반부에 ‘악’에 대한 킬러의 자기 철학을 장황하게 묘사함으로써,
킬러의 살인과 피살자들의 폭력이 어떻게 다른지 미리 ‘변명 아닌 변명’을 풀어놓습니다. 즉,
“태초의 정통성을 지닌 악은 인간을 속박과 굴레로부터 해방시켜주는 강렬한 힘을 지녔는데,
언제부턴가 그것이 비열하게 뒤틀린 모습으로 세상 곳곳에 드러나게 되었다.
그 비열한 악이 바로 우리 사회 구석구석에서 끊임없이 자행되는 폭력이다.
하여 킬러는 비열한 악을 응징하고 진짜 악을 실행하는 순간을 자신의 프레임에 담는다.”
(알라딘 책 소개글에서 인용, 수정했습니다)
말하자면, 킬러의 ‘순수한 악의’ 또는 ‘악의 정통성’은
피살자들의 ‘비열하게 뒤틀린 악’과는 분명히 다른 차원의 문제이며,
그렇기에 “킬러의 연쇄살인을 비난하지 마!”라는 메시지를 분명히 던지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작가의 ‘변명’은 약간은 난해하고 과대포장지처럼 느껴진 것도 사실입니다.
킬러는 ‘운명적으로 순수 악을 지니고 태어난 신적 존재’도 아니었고,
또, 엄청난 내공을 지닌 판타지 서사 속의 영웅도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그저 ‘비열하게 뒤틀린 악’에게 분노하는 평범한 인간이었을 뿐인데,
작가가 지나치게 신비하고 화려한 외피를 입힌 셈이랄까요?
폭력에 대한 약간의 과한 주제의식과 막판에 힘이 좀 빠진 점만 제외한다면,
‘저스티스맨’은 지금껏 맛보지 못한 색다른 미스터리의 성찬입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사적 복수를 담고 있어서 더 매력적으로 읽혔고,
두어 번쯤 되읽어야 그 의미를 음미할 수 있는 화려한 수사와 문장들도 마음에 들었습니다.
아무튼...
도선우라는 대단한 이야기꾼을 발견한 반가움과 함께 후속작에 대한 기대를 갖게 됐습니다.
‘저스티스맨’보다 불과 몇 달 앞서 문학동네 소설상을 수상한 ‘스파링’도 궁금하고,
그가 앞으로 내놓을 미스터리는 어떤 새로움을 선사할지도 궁금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