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버 스톰
매튜 매서 지음, 공보경 옮김 / 황금가지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크리스마스를 눈앞에 둔 어느 날, 거대한 눈폭풍과 함께 사이버 테러가 뉴욕을 공격합니다.
대규모 정전 사태, 수백 명의 사상자를 낸 열차 사고, 급작스런 조류독감의 창궐 등
예기치 못한 상황 속에 모든 문명의 이기들이 일시에 중지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집니다.
통신은 두절되고, 일상생활을 지배하던 인터넷이 끊기면서 뉴욕은 공황상태에 빠집니다.
맨해튼의 아파트에 살던 마이클은 평소 광적인 전쟁 대비론자인 친구 척 덕분에
추위와 허기를 모면하며 가족들을 지켜내고 있었지만,
눈폭풍과 사이버 테러가 장기화되면서 결국 종말과도 같은 지옥도와 맞닥뜨리게 됩니다.
● ● ●
뉴욕을 덮친 사이버 테러와 거대한 눈폭풍, 인류의 종말을 그린 서사 등
할리우드가 좋아할 만한 다양한 코드들을 지닌 작품이지만,
실은 ‘사이버 스톰’은 영웅 스토리도, 악을 쳐부수는 액션 스토리도 아닙니다.
오히려 재난의 상황을 리얼하게 그린 암울한 이야기입니다.
문제는 그 재난이 지구와 운석의 충돌이라든가 갑작스레 찾아온 빙하기 등
‘일어날 가능성이 별로 없는 영화적이고 비현실적인 상황’이 아니라,
오늘 당장이라도 벌어질 수 있는 지극히 현실적이고 피부에 와 닿는 상황이란 점입니다.
거대한 눈폭풍이라는 보조 설정 덕분에 더욱 극한의 상황이 연출되긴 하지만
‘사이버 스톰’이 그린 암울한 디스토피아의 근원은
이제는 너무나 친숙해져 도저히 일상에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인터넷입니다.
인터넷의 단절 또는 왜곡은 결코 미래의 일도, 남의 일도 아닙니다.
당장 오늘 내 계좌의 잔고가 전부 사라지고, 갖고 있던 주식이 휴지조각이 된다면?
출근길 신호등이 모두 파란불로 바뀌면서 모든 방향의 차들이 교차로 중심으로 달려온다면?
마트의 POS 시스템이 고장나면서 아무런 물건도 살 수 없는 상황이 된다면?
그런 상황이 하루 이틀이 아니라 몇 달, 몇 년을 간다면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지게 될까요?
인류는 과연 인터넷이 단절되고, 스마트폰이 먹통이 된 세상에서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요?
이제 맹아기에 있는 사물인터넷과 자율 주행차까지 보편화된다면
인류의 일상은 거의 100% 인터넷에게 지배당하게 될 것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누군가 클릭 한 번으로 인터넷을 왜곡할 수만 있다면,
그것은 핵폭탄보다 더 큰 위력으로 인류를 절멸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인터넷의 단절이 폭력과 약탈, 살인과 식인에 이르는 과정이 언뜻 쉽게 연상되진 않지만,
‘사이버 스톰’은 그것이 얼마나 자연스러운 일인지 세세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방대한 분량 속에 비슷한 상황이 동어반복처럼 이어지고,
그 덕분에 지루하고 느슨해진 전개가 독자를 힘들게 하는 점이 옥의 티이긴 하지만
‘사이버 스톰’은 그 어떤 재난 또는 종말의 스토리보다 사실적인 힘을 가진 작품입니다.
오늘 하루도 저의 일상을 지배할 인터넷을 가만히 떠올려보면
‘사이버 스톰’ 속의 인물들이 겪은 엄청난 참극이
결코 먼 미래의 일도, 나와는 무관한 남의 일도 아니라는 점을 깨닫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이 작품을 읽은 뒤 조금은 불편했던 아날로그의 시대를 그리워하게 되는 것은
비단 저만의 경험은 아닐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