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스머신
노리즈키 린타로 지음, 박재현 옮김 / 반니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비록 킹을 찾아라한 편밖에 읽어보지 못한 노리즈키 린타로지만, ‘녹스머신은 같은 작가의 작품이 맞나, 싶을 정도로 간극이 크게 느껴졌습니다. 딱히 SF물을 멀리 하는 편은 아니지만 과학이 서사의 중심에 있는 이야기는 아무래도 가까이 하기가 좀 힘들었는데, ‘녹스머신에 수록된 단편들은 말 그대로 Scientific Fiction의 정점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작품들이라 그리 길지 않은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체감 독서시간은 꽤 길었습니다.

 

평행이론과 타임 패러독스를 다룬 표제작 녹스머신과 후속편 격인 논리 증발은 양자역학 같은 먼 나라(?)의 개념들이 수두룩하게 등장해서 정말 많이 난감했지만, 그래도 바탕에 깔린 메인 스토리나 정서 자체는 충분히 공감 가능해서 재미와 호기심을 갖고 끝까지 읽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탈출을 테마로 한 바벨의 감옥은 기본적으로 일본어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 서술 미스터리라 그런지 다 읽고도 정신이 혼미할 지경이었습니다. 어느 분의 친절한 서평을 보니 , 그런 거였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누가, 어디에서, 무엇을 피해, 왜 탈출하려는지 결국엔 이해불가의 영역에 남아버렸습니다.

그나마 편하게 읽힌 들러리 클럽의 음모는 너무나 유명한 고전 탐정들의 조수들이 등장하여 공공의 적인 애거서 크리스티와의 한판을 놓고 논리와 자존심 대결을 펼치는 이야기인데 기획의 신선함에 비해 마무리가 아쉬웠던 작품이었습니다.

 

고백하자면, 한 인터넷 카페에서 이 작품의 서평단을 모집한 적이 있는데, 대략의 소개글을 보곤 지레 겁을 먹고 아예 응모 자체를 포기했었고, 시간이 지나 도서관에서 빌려 읽어보곤 역시 응모 안 하기를 잘 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작가가 신인도 아니고 작품 역시 SF물로서의 미덕을 갖췄는데 그 내용을 제대로 이해 못한 독자가 어설픈 서평을 올리는 건 출판사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이 작품이 일본의 주간문춘 미스터리’, ‘본격미스터리’,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등에서 나름 의미 있는 순위를 기록한 걸 봐도 그렇고, 한국 인터넷서점에서 평균 4개 이상의 평점을 받은 걸 봐도 그렇고, 환호하며 즐길 독자층이 있는 건 분명해 보이지만, 학창 시절 내내 과학 수업이 든 날이면 아침부터 스트레스를 받던 저 같은 독자에겐 그 진가를 발견하기도 전에 답답함과 자기연민이 먼저 찾아올 것 같은 작품이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