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린 1 - 사도세자 이선, 교룡으로 지다
최성현 지음 / 황금가지 / 2014년 4월
평점 :
영조와 정조, 그리고 사도세자는 역사 속 인물 가운데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가장 많이 조명된 인물들입니다. 아버지가 아들을 죽이고, 손자가 (할아버지 손에 죽은) 아버지의 뜻을 잇는, 어찌 보면 비극이면서도 막장에 가까운 이야기이고, 동시에 극성(劇性) 강한 소재이다 보니 여러 장르를 통해 오늘날까지 복원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결과일 수밖에 없습니다.
‘역린’의 실질적 주인공은 이산 정조대왕이겠지만, 1권에서는 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죽음까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전의 동 시대를 다룬 무수한 소설, 연극, 영화, 드라마와의 차별화를 위해 작가는 몇몇 픽션의 인물을 탄생시켰는데, 아무래도 낯익은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낯선 인물들에게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습니다.
사도세자 이선의 위기를 지켜내는 강직한 무관 황율과 그의 여인 개울, 난폭한 살인기계 광백과 그가 길러내는 살수들, 광백의 살수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자질을 지닌 갑수 등이 그들입니다. 일부는 1권에서 운명을 다하기도 하고, 일부는 이후의 이야기에서 큰 역할을 맡을 것으로 묘사되는데, 그들을 이야기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자연스럽게 끌고 오는 작가의 필력이 돋보입니다.
흥미로운 인물 묘사 외에도 ‘역린’은 쉽고 빠르게 읽히는 문장이라는 매력이 있는데, 때론 현학적인 어휘를 사용하여 상황을 묘사하기도 하고, 때론 중의적이거나 화두를 닮은 언변으로 정치인들의 내밀한 대화를 표현하지만 결코 난해하거나 지나치게 느껴지진 않습니다. 오히려 당대의 어지러운 정치판과 그 안에서 살아남기 위해 투쟁하는 노회한 정객들의 진면목을 설명하는데 있어 더없이 적절한 문장들입니다.
300여 페이지의 분량이지만 한나절도 안 돼 마지막 페이지까지 달릴 수 있었던 것은 그 시대 자체의 매력 뿐 아니라 역사적 사실과 픽션의 적절한 조합 덕분이었습니다. ‘역린’이 몇 권까지 출간될지는 모르겠지만, 사실과 픽션의 조합을 통해 이전의 작품들과 차별화된 영정조 시대를 다룬다면 오랜만에 의미 있고 재미있는 대하소설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