셜록 미스터리
J.M. 에르 지음, 최정수 옮김 / 단숨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10대 시절 청소년판 셜록 홈스 시리즈에 푹 빠진 적이 있긴 하지만 정작 성인이 된 후엔 완전판 홈스를 찾아볼 생각을 못한 게 사실입니다. 묵은 숙제처럼 여겨지긴 해도 어지간해선 독서 욕구를 불러일으키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또 셜로키언이 집필했거나 등장하는 작품들의 경우 별 매력을 못 느꼈을 뿐 아니라 그 자체가 장사속이라는 느낌밖엔 갖지 못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읽게 된 셜록 미스터리는 셜로키언에 대한 저의 편견을 조금은 바로 잡아준 작품입니다. 물론 다소 비현실적인 전개라든가 다분히 연극적인 캐릭터들이 눈에 거슬리긴 했지만 셜록 홈스의 유산을 이렇게 기발하게 활용할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에 기대 이상으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소르본 대학 홈스학과의 정교수가 되기 위해 산 속 호텔에 모였다가 차례차례 목숨을 잃는 11명의 홈스 전문가들은 누구 하나도 평범한 캐릭터가 아닙니다. 마약이나 성형, 심지어 심령에 중독된 사람들이거나 이른바 ‘7개의 대죄가운데 두세 가지쯤은 저지른 바 있는 대체로 이기적이고 거만하고 독선적인 캐릭터들입니다. 하지만 작가는 관찰자 역할을 맡은 오드리의 입을 통해 이들에 대한 나름의 애정을 묘사합니다.

 

이곳에 모인 사람들은 셜록 홈스에게 자신의 인격을, 자신의 욕망을 투영하는 것 같았다. 모두 셜록 홈스를 제 것으로 삼고, 자신을 셜록 홈스를 추억하는 질투 많은 수호자로 여겼으며 (중략) 열정이 그들 안에 살고, 그들을 성장시키고, 그들을 먹여 살리고 있었다. 하지만 열정은 또한 그들을 파괴하고 있었다.” (p197)

 

셜록 홈스의 현신처럼 묘사된 레스트레이드 경감은 오드리의 메모를 비롯하여 녹음테이프와 포스트잇 등 11명의 홈스 전문가들이 유물처럼 남긴 자료들을 검토하며 참사의 실체를 밝힙니다. 중간중간 늘어지는 부분도 있고 작위적인 부분도 있지만 미스터리를 풀어가는 과정은 나름대로 눈길을 끄는 미덕을 갖고 있습니다. 또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결론에 도달하긴 하지만 작가는 막판까지 몇 차례의 비틀기를 통해 (소소한 규모지만) 끊임없이 반전을 시도합니다.

 

셜록 미스터리에서 가장 눈에 띄고 기억에 남는 점은 작가의 현란하고 독특한 비유와 개성 넘치는 문장들입니다. 소동극으로 데뷔해 큰 성공을 거뒀고 즐거움과 놀이, 유머가 소설의 원동력이라고 자평하는 작가인 걸 보면 셜록 미스터리의 색깔을 대략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마 똑같은 줄거리를 평범한 문장으로 서술했더라면 이 작품의 매력 중 최소 90% 이상은 휘발됐으리라는 것이 제 판단입니다.

 

셜록 홈스의 진지함과 그에 대한 외경심, 그리고 치밀한 추리를 기대한 독자에겐 아쉬움이 더 크게 남을 수도 있겠지만 유쾌한 지적 유희와 엔터테인먼트 미스터리를 맛보고 싶은 독자에겐 생각보다 괜찮은 선택이 돼줄 거란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