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스트 ㅣ 그렌스 형사 시리즈
안데슈 루슬룬드.버리에 헬스트럼 지음, 이승재 옮김 / 검은숲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같은 작가들이 쓴 ‘쓰리세컨즈’를 읽고 어느 정도 만족했던 기억이 있어서 나름 기대를 갖고 ‘비스트’를 펼쳤습니다. 이왕이면 출간 순서에 맞춰 읽었다면 좋았겠지만 어찌어찌 하다 보니 데뷔작인 ‘비스트’를 나중에 읽게 됐습니다.
이야기는 의외로 심플합니다. 소아성애 연쇄살인범 벤트 룬드가 호송 중 탈주를 하고, 경찰이 허둥지둥 대는 사이 또다시 소녀를 강간, 살해합니다. 단서를 잡고 수사망을 좁히지만, 그들보다 한발 앞서 누군가 벤트 룬드를 응징합니다. 여기서부터 ‘무능하고 물러터진 사법 체계’와 ‘개인의 복수’에 대한 논쟁이 시작됩니다. 이후는 스포일러가 될 가능성이 높아서 이야기는 여기까지만 소개하겠습니다.
‘개인의 복수’에 대한 이야기를 무척 좋아합니다.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일이라 해도 적어도 픽션 속에서라도 법망을 벗어난 악인에 대한 응징이 이뤄지면 속이 시원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사법체계 對 개인의 복수’의 논쟁이 시작됐을 무렵, 스웨덴의 두 작가는 어떤 결말을 내줄 것인지 무척 궁금해졌습니다. 앞부분에서 다소 맥이 빠진 상태라 크게 기대는 안했지만, 그래도 ‘마지막 한 방’을 기다려보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뭐랄까... 좀 찜찜한 상태로 마지막 페이지를 덮게 됐습니다. 대략적인 느낌만 정리하자면...
‘쓰리 세컨즈’에서도 비슷한 인상을 받았는데, 그때 남겨놓은 메모를 보니 “분량에 비해 안이하고 불필요한 설정이 많다”라고 적혀있습니다. 그런데 비스트는 그냥 많은 정도가 아니라 과하게 많은 편입니다.
주인공인 그렌스 경정과 스벤 형사는 분량도 적고, 하는 일도 별로 없습니다. 그에 반해 교도소 특별감호구역을 맡고 있는 렌나트 오스카숀은 특별한 역할도 없는데 동성애자라는 성 정체성 묘사가 장황하게 펼쳐집니다. 교도소 내 실권자 릴마센과 그 일당 역시 허망한 엔딩 몇 페이지를 위해 괜히 여기저기 등장하면서 책의 두께만 늘려놓습니다. 교도소의 인물들이 등장한 이유? 아무리 생각해도 모르겠습니다. 가장 어이없었던 점은 ‘개인의 복수’를 영웅 시 여기는 모방범들의 ‘활약’입니다. 작품의 의도를 강조하기 위해 억지로 끼워 넣은 사족에 가까운 에피소드로 보였습니다. 좀 심하게 얘기하면, 위에 언급한 조연들이 모두 빠져도 이야기 전개엔 별 무리가 없습니다.
잔혹하기 이를 데 없는 소아성애 연쇄살인범이 등장하고, 물렁한 사법 체계에 대한 비판과 개인의 복수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는 등 파괴력을 지닌 소재들임에도 불구하고 잘 요리하지도, 잘 소화해내지도 못했다는 느낌입니다. ‘쓰리 세컨즈’ 역시 비슷한 한계를 갖고 있긴 했지만, ‘비스트’를 읽고 나니, 그나마 데뷔작 이후 많은 단점들이 보완됐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쉬움이 많이 남긴 했지만, 그래도 두 스웨덴 작가의 작품을 한 편쯤은 더 지켜볼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