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쌈리의 뼈 ㅣ 로컬은 재미있다
조영주 지음 / 빚은책들 / 2025년 5월
평점 :
과거 평택역 인근의 집창촌 쌈리에서 벌어진 연쇄살인사건을 그린 소설 ‘쌈리의 뼈’를 집필하던 중 치매에 걸린 윤명자는 딸 해환에게 소설의 완성을 부탁합니다. 엄마의 부탁이 내키지 않았던 해환은 쌈리의 한 성매매업소에서 유골이 발견됐다는 소식에 깜짝 놀라며 엄마가 쓰던 소설이 어쩌면 실화를 바탕으로 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복잡한 심경이 됩니다. 결국 소설 집필에 달려든 해환은 직접 쌈리를 찾아가 취재하는 것은 물론 주인공 ‘나’에 의해 여러 여자가 살해당하는 소설 내용이 사실이라 확신하며 과연 누가 ‘나’인지를 찾아내기 위해 수차례의 수정을 고치며 소설을 완성해나갑니다. 그러던 중 해환은 어쩌면 엄마가 엄청난 비밀을 숨겨왔을지도 모른다는 충격적인 결론에 이릅니다.

‘쌈리의 뼈’는 치매와 기억에 관한 심리스릴러이자 오토픽션(Autofiction, 작가의 실제 경험과 허구가 결합된 문학)과 살인사건이 절묘하게 결합된 미스터리입니다. 치매에 걸린 엄마와, 엄마를 간호하다가 스스로의 기억에 문제가 생긴 딸 사이에 벌어지는 심리스릴러가 바탕에 깔린 가운데 “혹시 오토픽션을 즐겨 쓰던 엄마가 소설 속 연쇄살인범 ’나‘가 아닐까?”라며 의심하는 딸이 진짜 ‘나’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상상과 추리를 동원하여 소설을 완성하는 이야기가 전개되기 때문입니다.
‘나’로 짐작되는 사람이 바뀔 때마다 해환이 집필하는 소설은 큰 폭으로 수정됩니다. 윤명자가 집필한 소설 초반부엔 거듭되는 연쇄살인만 묘사됐을 뿐 ‘나’의 성별과 나이조차 그려져 있지 않은데, 그러다 보니 해환은 윤명자가 ‘나’일 수도 있고, 거꾸로 윤명자가 ‘나’의 범죄피해자일 수도 있으며, 거꾸로 ‘쌈리의 뼈’는 오토픽션이 아니라 100% 허구일 수도 있다고 여깁니다. 그러던 중 윤명자의 오랜 편집자인 상모 아저씨와 함께 쌈리를 직접 취재하면서 해환의 추리는 급물살을 탑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두 건의 죽음이 발생하자 해환은 큰 충격과 함께 그동안 써놓은 소설에 대해서도 확신을 갖지 못하게 됩니다.
독자의 관심은 “‘나’의 정체는 누구?”에 가장 먼저 쏠릴 수밖에 없지만, 동시에 “애초 ‘쌈리의 뼈’를 쓰려 했던 윤명자의 진짜 의도는 무엇이며 치매와 제정신을 오가는 그녀가 딸 해환에게 밝히지 않은 비밀과 거짓말은 무엇인가?”에도 촉각이 곤두서게 됩니다. 또한 진실에 다가가면 갈수록 소설이 단지 엄마 윤명자뿐 아니라 자신과도 연관 있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사로잡히는 해환 때문에 독자의 호기심과 궁금증은 증폭될 수밖에 없습니다.
해환 주변의 조연들은 언뜻 평범해 보이지만 하나같이 의심스러운 구석을 지니고 있습니다. 윤명자의 데뷔시절부터 함께 해온 편집자 상모 아저씨, 뼈가 발견된 성매매업소 사장 핑크젠틀맨, 아직도 성매매 일을 하는 ‘미니’라는 이름의 여성, 윤명자처럼 치매기가 보이는 붕어빵 할머니와 그녀를 ‘언니’라고 부르는 미용실 언니 등 대부분 악의라고는 찾아볼 수 없지만 뭔가를 감추는 듯한 인상을 풍기곤 해서 마지막까지 의심의 눈초리를 거둘 수 없습니다.
재미있게 읽었지만 가장 아쉬웠던 대목은 인물들의 관계가 ‘자연스럽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딱히 구체적으로 말할 순 없지만 왠지 작위적으로 엮인 듯한 인상을 여러 차례 받았고, 일부 인물은 등장 자체나 역할이 다분히 도구적으로 보인 게 사실입니다. 모든 관계의 중심에 있는 해환도 간혹 이해하기 힘든 행동을 보이곤 하는데, 그런 탓에 한참 그녀에게 몰입해 있다가 갑자기 툭 하고 몰입이 끊긴 적도 몇 번 있었습니다. 독자에 따라 소설 ‘쌈리의 뼈’와 현실 사건 사이의 접점에 대해 시비를 거는 경우도 있을 것 같은데, 저 역시 살짝 의문이 들기도 해서 다른 독자들의 서평을 참고해볼 생각입니다.
아주 오래 전 ‘붉은 소파’를 읽은 뒤로 처음 만난 조영주의 작품이라 무척 반가웠습니다. 소개글을 보니 이 작품이 ‘시간 3부작’의 마지막 작품이라는데, 기회가 되면 나머지 두 작품도 찾아 읽어보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