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원숭이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2-4 링컨 라임 시리즈 4
제프리 디버 지음, 유소영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링컨 라임은 FBI와 이민귀화국의 지원 요청을 받고 최악의 스네이크헤드(중국인 밀입국 브로커이자 인신매매범)인 연쇄살인범 콴왕, 일명 고스트와 10여 명의 밀입국자가 탄 푸저우 드래곤호를 찾아내는 데 성공합니다. 하지만 아멜리아 색스와 해안경비대가 도착하기 직전 고스트는 배를 폭파시켜 모두를 충격에 빠뜨립니다. 그에 그치지 않고 고스트는 가까스로 해변에 도착한 일부 생존자를 죽이는 것은 물론 뉴욕 차이나타운으로 숨어든 나머지 생존자들까지 남김없이 죽이기 위해 청부업자를 고용합니다. 배가 폭파되는 상황까지 예측 못한 자신의 책임을 통감한 라임은 살아남은 밀입국자들을 구하고 고스트를 체포하기 위해 전력을 다합니다.

 


라임과 색스에게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미션이 주어집니다. 국제적인 수배령이 내려졌지만 얼굴조차 노출되지 않은 고스트를 체포하는 것은 물론 생존한 밀입국자들을 고스트보다 먼저 찾아내야 하는 상황에 처했기 때문입니다. 사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인신매매나 밀입국에 관심이 없는 FBI가 요원과 병력 차출을 꺼린 점도, 도무지 믿을 구석이라곤 찾아보기 힘든 이민귀화국 사람들의 어리숙한 행태도 라임과 색스를 더욱 답답하게 만들뿐입니다. 배는 유력한 단서들을 품은 채 침몰했고, 사건 당일 현장에 몰아친 태풍급 비바람은 미량증거물을 모조리 못 쓸 지경으로 만들어버려서 라임으로선 뉴욕에 숨어든 고스트와 밀입국자들의 행방을 찾아낼 길이 요원할 따름입니다.

 

고스트와 밀입국자 모두 중국인인데다 라임과 색스를 돕는 수사진에도 중국인 또는 중국계 미국인들이 가세하다 보니 돌 원숭이에는 중국의 문화와 역사와 가치관을 언급하는 대목이 무척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오직 미량증거물과 과학적 단서만을 유일무이한 잣대로 삼는 라임 입장에선 직감과 풍수와 자신이 모시는 신을 신봉하는 중국인들을 상대하는 게 그저 난감할 뿐입니다. 특히 수사진에 참여한 중국인이 번번이 자신의 법과학과는 배치되는 방식으로 단서를 찾아내고 한발씩 앞서 나갈 때마다 라임은 부글부글 끓어오르곤 합니다. 그런 라임이 중국술을 마시고 바둑을 배우며 풍수에 관심을 가지는 등 조금씩 중국 문화를 습득하는 과정은 역설적이면서도 흥미진진한 대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제프리 디버는 초반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이번 수사에서는 그 누구도 믿어서는 안 된다.”라는 메시지를 독자에게 던집니다. 절대악인 고스트를 제외하곤 밀입국자들에게도, 수사진에게도, 국가기관의 요원들에게도 뭔가 하나씩 비밀을 감춘 듯한 인상을 심어놓아 독자로 하여금 거듭 혼선을 빚게 만듭니다. 제프리 디버의 이 고약한 메시지는 막판에 터지는 반전을 통해 그 실체를 드러내는데, 어느 정도 예상이 가능할 정도로 전작들에 비해 다소 강도는 약해도 그만의 반전은 충분히 매력적이었습니다.

 

라임과 색스의 관계는 사건 못잖게 독자의 관심을 끄는 대목인데, 전작인 곤충 소년에 관한 스포일러가 될 수 있어서 자세한 언급은 못하지만, 이번 작품에서 두 사람의 관계가 명확한 일보전진이자 동시에 애틋한 일보후퇴를 겪게 된다는 정도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뿐 아니라 대부분의 독자가 한편으론 안심하면서도, 한편으론 안타까운 한숨을 내쉬게 될 텐데, 특히 (라임과 관련된) 예기치 못한 사태로 절망에 빠진 색스가 수사에 집중하지 못하는 장면에선 연민 이상의 감정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사족이지만, 사실 이 서평에서 라임과 색스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했어야 하는 인물이 한 명 있는데, 그를 언급조차 하지 않은 건 이야기 속 첫 반전의 주인공이기 때문입니다. 첫 반전까지의 아슬아슬함이 무척 흥미진진한데, 그 인물의 실체를 서평에서 밝히는 건 아직 이 작품을 안 읽은 독자에겐 나름 작지 않은 스포일러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설명조차 스포일러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돌 원숭이를 읽을 예정이라면 가급적 다른 정보 없이 출판사 소개글 정도만 참고할 것을 권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