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대답하는 너의 수수께끼 - 아케가미 린네는 틀리지 않아
가미시로 교스케 지음, 이연승 옮김 / 블루홀식스(블루홀6) / 2024년 8월
평점 :
아무 정보도 없이 제목과 표지만 보면 전형적인 일본 라노벨로 오해할 여지가 많지만, ‘내가 대답하는 너의 수수께끼’의 몸통은 본격 미스터리이며, 그 안에 라노벨의 달달함이 녹아있기도 한 흥미로운 작품입니다. 극과 극인 두 주인공의 캐릭터나 미스터리를 푸는 방식도 독특하고, 10대 청춘들의 아슬아슬한 로맨스도 즐길 수 있어서 여러 가지 특별한 요리를 한꺼번에 맛볼 수 있는 뷔페 같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케가미 린네는 신관 집안의 딸로 ‘한순간에 진실을 꿰뚫어 보는 능력의 소유자’입니다. 다만 그 추리 속도가 너무 빠르고 무의식중에 이뤄지는 탓에 어떻게 진실에 도달했는지 본인조차 설명하지 못합니다. 누군가는 린네의 이런 능력을 신관 집안에 내려오는 ‘신의 계시’라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실은 린네의 추리는 빛의 속도로 전개됐을 뿐 명백히 단서와 증거에 의한 정상적인 추리입니다. 길어야 1~2분 동안 현장을 지켜보거나 관련자의 진술을 듣기만 해도 린네는 곧바로 범인을 지목하곤 “자명한 이치에요.”라는 말로 마무리를 합니다. 문제는 그 과정이 모조리 생략된 탓에, 또 린네 본인조차 그 과정을 설명하지 못하는 탓에 제대로 된 추리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은 같은 반 친구인 이로하 토야가 맡습니다. 토야는 어릴 적 겪은 비극적인 사고 때문에 일찌감치 변호사가 되기로 결심했고, 법의 덕목 중 ‘무죄추정’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인물입니다. 말하자면 아무리 심증이 확실한 용의자라도 판결이 나기 전까진 무죄라고 믿는 토야는 명확한 단서와 증거를 통해 논리적인 추리를 완성해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고, 그런 점에서 린네와 극과 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실에서 벌어진 괴롭힘 사건 때문에 특별한 관계가 된 린네와 토야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본 적 없는 명탐정 커플로 활약합니다. 린네가 단번에 범인을 지목하면 토야는 ‘린네의 추리’를 추리합니다. 즉 린네가 특정인을 범인으로 지목한 이유를 전형적인 본격 미스터리 탐정이 되어 입증하는 게 토야의 임무인 것입니다.
하지만 두 사람의 관계는 결코 우호적이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사람과 소통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4차원 소녀 린네 때문에 토야의 스트레스 지수는 롤러코스터마냥 큰 진폭을 겪습니다. 린네 역시 자신과는 말이 통하지 않는 토야의 캐릭터 때문에 수시로 불끈 성을 내거나 토라지곤 합니다. 마치 고집불통 공주와 집사처럼 보이는 두 사람의 관계는 사건이 거듭될수록 조금씩 미묘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 과정은 라노벨 특유의 재미와 10대 로맨스의 달달함을 품고 있어서 미스터리만큼이나 흥미롭게 읽힙니다.
이 작품에서 린네와 토야가 맡은 사건은 모두 세 개입니다. 첫 수록작이 두 사람의 전형적인 명탐정 활약을 그렸다면, 두 번째 수록작은 두 사람의 첫 만남을, 세 번째 수록작은 두 사람을 훌쩍 성장하게 만드는 가슴 아픈 사건을 그립니다. 마지막에 수록된 ‘인터루드’는 시리즈 두 번째 작품의 예고편으로, 린네와 토야가 앞으로 어떤 우당탕탕 로맨스를 겪게 될지 궁금하게 만드는 떡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고 듣는 즉시 범인을 지목하는 ‘신의 탐정’ 린네와, 사소한 단서와 증거를 면밀하게 관찰하여 수수께끼를 풀어내는 ‘본격 미스터리 탐정’ 토야의 두 번째 이야기도 머잖아 한국 독자에게 소개될 것 같은데, 미스터리도 잘 짜였고 두 주인공의 캐릭터도 매력적이라 충분히 기대해도 좋겠다는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