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희망이 죽은 밤에
아마네 료 지음, 고은하 옮김 / 모로 / 2024년 6월
평점 :
14살 소녀 도노 네가가 같은 반 소녀 노조미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됩니다. 네가는 범행 수법은 순순히 진술하지만 살해동기에 관해서는 함구합니다. 현경 수사1과 형사가 된 뒤 첫 사건을 맡은 마카베는 상사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신속한 수사를 추진하지만 동기를 안 밝히는 네가 때문에 초조해집니다. 더구나 배정받은 파트너가 생활안전과 소년계 여경인 나카타라는 점 때문에 짜증이 치밉니다. 소년범죄 담당자지만 살인사건을 여러 건 해결했다는 나카타는 특별한 ‘상상력’과 촉을 발휘하여 여러 번 마카베를 당황하게 만듭니다. “가난한 네가가 부잣집 딸 노조미를 질투하여 살해한 것”이라는 마카베의 추리와 달리 나카타는 침착하게 두 소녀 주위를 탐문하며 자신만의 상상에 빠지곤 합니다. 마카베의 초조함이 극에 달한 가운데 뜻밖의 목격자와 단서가 나타나면서 두 사람은 두 소녀 사이의 놀라운 비밀을 알게 됩니다.
‘희망이 죽은 밤에’라는 제목에는 크게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는 살인사건의 가해자와 피해자인 두 주인공 도노 네가(ネガ)와 가스가이 노조미(のぞみ)의 이름이 희망을 뜻하는 한자어 ‘希’와 연관 있다는 점이고, 또 하나는 “그날 밤, 어떻게든 살아내기 위해 가까스로 붙잡고 있던 ‘희망’이 죽어버렸다.”라는, 액면 그대로의 의미입니다. 그리고 그 희망을 죽인 건 1차적으론 극도로 지독한 가난이었습니다. 거기에다 무책임한 어른들과 무관심한 사회가 가한 2차 가해는 가난의 강도와 고통을 견딜 수 없게끔 만들었습니다.
사회파 미스터리를 꽤 여러 편 읽었지만 ‘극도의 가난’이 소재인 작품은 거의 처음인 듯합니다. 특히 주인공이 14살의 중학교 2학년이란 점이 눈길을 끌었는데, 그래선지 철없고 무책임한 어른이 자초한 극도의 가난이 14살 소녀의 몸과 마음에 낸 상처가 너무나도 참혹하게 읽혔습니다. 그리고 그 상처가 곪고 썩어간 끝에 살인이라는 돌이킬 수 없는 사태까지 초래했다는 사실에 내내 무거운 마음으로 페이지를 넘길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와중에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건 전형적인 살인사건 수사관 마카베와 ‘특별한 상상력’을 지닌 생활안전과 소년계 여경인 나카타의 대비되는 캐릭터입니다. 마카베가 성과에 집착한 나머지 밀어붙이기 식 수사를 강행하는 반면, 나카타는 네가와 노조미를 비롯하여 사건에 연루된 사람들에 대해 이런저런 ‘상상’을 하며 실마리를 찾는 특이한 수사를 고집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두 사람의 장점이 시너지 효과를 내어 진상을 파악하긴 하지만, 무겁고 어두운 이야기 속에서 마카베와 나카타의 대립되는 캐릭터는 잠시나마 쉬어갈 틈을 주는 흥미로운 설정임에 틀림없습니다.
‘마카베와 나카타의 수사’와 ‘네가와 노조미의 과거’가 한 챕터씩 번갈아 전개되는데, 이야기는 중반부쯤 큰 반전과 함께 급격하게 선회합니다. 그 반전을 공개할 수 없다 보니 뒷이야기에 대해 조금도 언급할 수 없긴 하지만, 이때부터 독자는 작가가 숨겨놓은 여러 개의 지뢰를 차례차례 밟게 됩니다. 또한 뒤통수를 때리는 크고 작은 반전이 마지막 장까지 연이어 터지면서 안 그래도 심란한 독자의 마음을 거듭 씁쓸하게 만들곤 합니다. 미스터리의 문외한이라도 중반쯤 사건의 진상을 추정할 수 있도록 작가는 대놓고 ‘단서’를 공개합니다. 실제로 그 예상대로 전개되긴 하지만, 작가는 “난 이미 진상을 알고 있었어!”라고 자만에 빠진 독자의 뒤통수를 사정없이 후려치면서 뜻밖의 진상을 내놓습니다. “‘극도의 가난’을 소재로 한 사회파 미스터리라면 대략 이렇게 흘러가지 않을까?”라는 어리숙한 예상과 짐작을 통렬히 비웃듯 ‘희망이 죽은 밤에’는 책장을 덮을 때까지 쉼 없이 독자를 들었다 놨다 하는 작품이란 뜻입니다.
무엇보다 막판에 드러난 사건의 진상은 너무나도 안타깝고 참혹해서 지독한 가난과 무책임한 어른들과 무관심한 사회가 14살 소녀에게 가한 무형의 폭력에 대해 분노하게 만듭니다. 이름에 희망을 의미하는 ‘希’가 들어간 소녀가 세상을 살아갈 모든 희망을 잃은 그 밤에 느꼈을 까마득한 절망에 안타까움을 느끼면서도 독자는 연민 이상의 그 무엇도 할 수 없는 무력감에 빠지기도 합니다. 부디 이런 참극이 현실에서 벌어지지 않기를 기도하는 것 외에 달리 할 수 있는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아마네 료는 ‘희망이 죽은 밤에’를 통해 처음 한국에 소개된 작가입니다. 일본의 한 평론가는 “재미있는 작가가 굉장한 작가가 되는 순간이 있다. 이 책으로 인해 아마네 료는 대단한 작가가 되었다.”라고 극찬을 했는데, 검색해보니 일본에서 출간된 작품이 엄청나게 많은데다, 이 작품이 ‘나카타 시리즈’의 첫 작품이라고 해서 깜짝 놀랐습니다. 생활안전과 소년계 여경답게 ‘나카타 시리즈’ 모두 소년범죄를 다루고 있는 것 같은데, ‘희망이 죽은 밤에’가 좋은 성과를 거둬 남은 작품들도 꼭 만나볼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