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가족은 모두 살인자다
벤저민 스티븐슨 지음, 이수이 옮김 / arte(아르테)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 덮인 휴양원에서 열리는 가족모임에 참석할 것을 통보받은 어니스트 커닝햄(이하 어니)의 심경은 복잡해집니다. 단순한 가족모임이 아니라 살인죄로 3년을 복역하고 출소하는 형 마이클을 맞이하는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3년 전 어니는 마이클을 경찰에 고발한 것은 물론 법정에서도 그의 죄를 증언했고, 그 일로 인해 가족들과 갈라선 채 살아왔습니다. 착잡한 마음으로 휴양원에 도착한 뒤 가족들의 냉대 속에 하룻밤을 보낸 어니는 곧 재회할 형 때문에 더욱 곤혹스러워지는데, 그때 휴양원 인근에서 시신이 발견되면서 가족들은 혼란에 빠집니다. 더 큰 문제는 경찰이 휴양원에 막 도착한 마이클을 다짜고짜 용의자로 체포한 일입니다. 이후 거센 눈 폭풍이 몰아치는 가운데 휴양원에선 연이어 끔찍한 일들이 벌어집니다.

 

우리 가족은 모두 살인자다라는 제목은 얼핏 블랙코미디 같은 인상을 풍기지만 실은 지독한 사실을 적시하는 제목입니다. 35년 전 어니와 마이클의 아버지가 경찰을 살해하고 사살 당한 일을 시작으로 현재 휴양원에서 벌어진 사건들까지 포함하면 이 제목은 조금의 과장도 없는 100% 팩트이기 때문입니다.

 

증오, 질투, 연민 등 여러 가지 감정이 뒤섞인 커닝햄 일가의 비극적인 가족사에 기괴한 방법으로 살인을 저지르는 연쇄살인마 미스터리가 접목된 독특한 작품입니다. 어니를 비롯하여 새아버지와 어머니와 의붓동생, 고모 부부, 형수와 아내 등 마이클을 맞이하기 위해 휴양원에 모인 커닝햄 가족은 서로를 향해 언제라도 폭발할 수 있는 시한폭탄과도 같은 분위기를 내뿜습니다. 그런 와중에 마이클이 출소하는 순간을 기다렸다는 듯 살인사건이 벌어지고, 그 수법이 최근 화제가 된 블랙 텅 연쇄살인과 동일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커닝햄 가족은 자신들을 향한 정체불명의 악의에 큰 충격을 받게 됩니다. 연이어 참극이 벌어지는 가운데 커닝햄 가족은 35년 전 시작된 비극에서부터 3년 전 마이클이 일으킨 살인사건에 이르기까지 자신들의 과거를 되짚으며 현재 벌어지고 있는 사건과의 연관성을 찾아내려 합니다.

 

제목만큼 눈길을 끄는 건 1인칭 화자인 어니가 이야기를 서술하는 방식입니다. 소설은 모든 사건이 종료된 뒤 범죄소설 애호가이자 작법서 작가인 어니가 휴양원에서 벌어진 일들과 커닝햄 가족의 비극을 회고하듯 기록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중간중간 독자에게 알림같은 문장들이 툭툭 튀어나와 픽션에 몰입해있던 독자를 놀라게 하기 때문입니다. 가령 또 사람이 죽기까지 이제 87쪽 남았다.”라든가 “121쪽 뒤에야 내가 나체인 상태에서 그녀와 입을 맞붙인다는 얘기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처럼 마치 낭독회 도중 청자에게 말을 거는 듯한 상황들이 수시로 등장합니다. 또 첫 페이지부터 추리소설가이자 신부였던 로널드 녹스가 1929년에 발표한 탐정소설 십계명을 거론하며 자신이 이 십계명에 충실하게 기록을 남기겠다는 다짐을 하는 것은 물론 그것을 충실히 실천하고 있음을 독자들에게 종종 알려주기도 합니다. 비극의 무게와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서술방식이지만 무척 흥미롭게 읽힌 게 사실입니다.

 

여러 인물이 얽힌 가족사에다 35년 전 어니와 마이클의 아버지가 일으킨 사건, 3년 전 마이클의 살인, 그리고 현재 휴양원의 사건까지 섞여 있어서 구도 자체가 꽤 복잡한 작품입니다. 메모가 필요할 정도는 아니지만 집중해서 읽지 않으면 큰 그림을 놓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역설적이게도 바로 이 점이 이 작품에서 가장 아쉬운 점이기도 한데, 너무 많은 인물과 너무 많은 사건이 동원된 탓인지 후반부로 갈수록 이야기가 꼬인다는 인상을 받았고, 그 꼬인 지점을 풀기 위해 자꾸만 덧칠을 하거나 무리수를 두는 느낌을 받기도 했습니다. 화자인 어니가 한순간에 모든 걸 깨닫는 비약을 통해 갑작스런 결론을 내리는 장면 역시 고개를 갸웃거릴 수밖에 없었는데, 어디에서 그 모든 깨달음을 얻은 건지 통 이해하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독특한 소재와 개성 넘치는 캐릭터에다 낯설지만 재미있는 서술방식은 충분히 매력적이었지만, 중반까지의 빠르고 팽팽했던 미스터리가 너무나도 복잡한 설계도 때문에 후반까지 그 힘을 발휘하지 못한 것은 못내 아쉬웠습니다. 그래선지 (출간된 지 얼마 안 돼서 인터넷에 올라온 서평이 별로 없지만) 다른 독자들이 이 작품을 어떻게 읽었을지 무척 궁금합니다. 크게 호불호가 갈릴 작품은 아니지만 제가 못 알아본 미덕이 있을지도 모르니 다른 분들의 서평을 꼭 찾아 읽어볼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