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이름은 어디에
재클린 부블리츠 지음, 송섬별 옮김 / 밝은세상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43, 위스콘신에 살던 18살 앨리스 리와 호주 여성 36살 루비 존스가 각자 다른 사연을 갖고 한날 뉴욕에 도착합니다. 앨리스가 절망뿐이던 과거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삶과 빛나는 미래를 꿈꾸며 뉴욕에 왔다면, 루비는 이미 다른 여자와 약혼한 남자를 사랑했다가 더는 희망이 보이지 않자 불안감과 우울함을 못 이기고 도망치다시피 뉴욕으로 왔습니다. 화려한 대도시 뉴욕에서 상반된 행보를 보이던 두 사람은 한 달 후 기구한 만남을 갖게 됩니다. 폭우가 쏟아지던 날 아침, 허드슨 강 자갈밭에서 괴한에게 무참히 살해된 앨리스의 사체를 루비가 발견하게 된 것입니다. 그날 이후 루비는 경찰이 이름조차 알아내지 못한 그 소녀가 누군지, 왜 무참히 살해당해야 했던 건지 알아내지 않곤 견딜 수 없을 것 같아집니다.

 

살인사건이 벌어지고 종국엔 그 범인을 찾아내는 이야기이긴 하지만, ‘네 이름은 어디에는 단순히 살인 미스터리 혹은 범죄소설로 볼 수 없는, 여러 장르가 복합된 작품입니다. 무엇보다 범인은 누구?”보다 피해자는 누구?”에 더 방점이 찍혀 있는데다, 살해된 앨리스의 영혼1인칭 화자로 등장해서 사랑과 영혼스타일의 판타지가 전개되기도 하고, 사체를 발견한 충격으로 트라우마에 사로잡힌 루비가 위안을 찾기 위해 가입한 소모임 데스클럽멤버들의 대화는 마치 죽음에 관한 에세이의 분위기를 풍기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막판에 범인을 찾아내는 미스터리가 전개되긴 하지만, 살해당한 앨리스의 영혼이 바랐던 건 범인 찾기가 아니라 내 이름이 뭔지, 내가 누구인지, 내가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를 사람들이 알아주는 것.”이라 미스터리 자체가 이 작품의 결정적 서사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살인사건을 다루는 작품이라면 거의 100% 경찰이나 탐정이 신출귀몰하고 사악한 범인을 찾는 것이 기본 틀입니다. 하지만 작품 속 대부분의 피해자들은 소품이나 단역, 즉 범인의 잔혹한 범행수법을 묘사하기 위한 도구처럼 잠깐 등장했다가 사라지곤 합니다. 특히 계획범죄가 아닌 우발적인 묻지마 범죄의 피해자인 경우엔 이름이나 나이 등 한두 줄의 정보 외엔 아무 것도 남는 게 없습니다. 그리고 이런 사정은 현실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 점에서 이름조차 밝혀지지 않은 피해자 앨리스의 영혼과 그녀의 사체를 발견한 루비가 번갈아 화자를 맡아 피해자의 삶에 초점을 맞춘 네 이름은 어디에는 무척 파격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어떤 기대와 희망을 갖더라도 주인공인 앨리스가 어차피 살해될 것이란 점 때문에 이 작품을 읽기를 주저했던 게 사실입니다. 단돈 600달러와 카메라만 갖고 뉴욕에 도착한 18살 앨리스가 새로운 삶의 단초를 찾아내고 난생 처음 행복이란 걸 맛보는 초반을 읽을 땐 더는 페이지를 넘기고 싶지 않은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앨리스의 시신을 발견한 루비가 큰 충격과 트라우마에도 불구하고 앨리스에 대해 알아내기 위해 애쓰는 장면이 이어지면서 그녀의 분투가 어떤 결실을 맺게 될지 궁금해졌고, 소멸되지 못한 채 루비 곁에 머물며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앨리스의 영혼이 애틋했던데다 루비가 가입한 데스클럽멤버들이 삶과 죽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들도 눈길을 끌어 결국 마지막 장까지 달릴 수 있었습니다.

 

출판사 소개글에 따르면 집으로 돌아오지 못한 모든 여성들을 대변하는 소설이자 거리를 안전하게 걸을 수 있는 여성들의 권리에 대한 소설이라고 하지만, 넓게 보면 이 작품은 성별을 떠나 피해자에 초점을 맞춘 이야기라는 생각입니다. 물론 작가가 곳곳에서 사회적 약자이자 성범죄 피해자의 대부분인 여성을 강조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성별 논쟁을 전면에 내세운 것은 절대 아닙니다. 성폭행 피해자의 끔찍한 삶과 함께 남성 중심의 사회가 여성을 성적 도구로만 바라보는 방식을 다룬 마리에게 생긴 일’(이네스 바야르)과 달리 네 이름은 어디에는 좀더 보편적인 의미에서 범죄 피해자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란 뜻입니다.

 

누가 범인?”에만 관심 있는 독자라면 당혹감을 느낄 수도 있겠지만, 그동안 소설 속에서 소품이나 도구로 등장했던 피해자를 주인공으로 삼은 이야기는 일반 미스터리와는 전혀 다른 종류의 인상과 여운을 남겼습니다. 무엇보다 현실에서든 소설에서든 범죄 피해자를 예전과는 조금은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 각별하다는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