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받지 못한 사람들
나카야마 시치리 지음, 김성미 옮김 / 북플라자 / 2019년 1월
평점 :
품절


버려진 연립에서 부패한 시신 한 구가 발견된다.

희생자는 생활보호대상자를 선정하는 보건복지사무소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이었다.

그는 사지가 묶인 채 굶주림과 탈수증상 속에서 서서히 죽어갔다.

명백히 원한에 의한 살인 사건이라 여겨졌지만,

주변 사람들 모두 피해자는 그 누구에게도 원한을 살 만한 사람이 아니었다고 입을 모은다.

그러던 중 동일한 방식으로 살해된 현직 지방의회 의원의 시체가 추가로 발견되는데...

(출판사의 소개글을 인용했습니다.)

 

● ● ●

 

최근 1년 반 동안(20177~) 무려 13편의 나카야마 시치리 작품이 국내에 소개됐는데,

북로드와 블루홀6가 독점한 나카야마 시치리 출간에 북플라자까지 (이 작품으로) 가세했네요.

봇물처럼 출간되는 나카야마 시치리의 작품 가운데 시리즈가 아닌 스탠드얼론입니다.

미코시바’, ‘와타세’, ‘고테가와등 그의 주요 시리즈가 사이타마 현과 도쿄가 무대였다면,

이번 작품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상흔이 남아있는 센다이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과거 보건복지사무소에 근무했던 두 남자가 아사(餓死)라는 방법으로 잔혹하게 살해당하자

미야기 현경의 도마시노는 피해자들의 과거를 추적하던 중 의외의 사실을 알게 됩니다.

, 일본의 보건복지, 특히 기초생활수급이라든가 생활보호대상자의 실태가 얼마나 참혹한지,

담당 공무원과 극빈층 사이에 얼마나 큰 갈등과 대립이 있는지,

,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가 몰고 온 예상치 못한 보건복지의 사각지대가 얼마나 큰지 등,

연쇄살인의 배후에 자리 한 일본의 그늘진 곳의 참상을 목격하게 된 것입니다.

 

사실, 그리 유능한 형사가 아니더라도 이 사건의 용의자는 쉽게 특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나카야마 시치리답게 막판에 반전을 보여주긴 하지만,

그 역시 찬찬히 페이지를 넘기다 보면 어느 시점쯤엔 쉽게 추리가 가능한 대목입니다.

그래서인지 이 작품은 미스터리보다는 메시지에 더 주력한,

즉 사회파 미스터리이긴 해도 일종의 사회고발성 다큐멘터리에 더 가깝게 느껴집니다.

말하자면, 나카야마 시치리는 누가 범인?’ ‘?’라는 미스터리의 기본적 질문보다는

이런 참극이 벌어질 수밖에 없는 현실을 고발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급격하게 늙어가는 일본 사회, 그중에서도 대지진의 여파로 극빈층이 급증한 센다이에서는

한정된 재원, 폭주하는 복지신청, 늘어나는 부정수급, 공무원의 자의에 의한 대상자 선정 등

첨예한 갈등과 대립을 야기할 만한 요소가 나날이 늘어가는 상태였고,

그런 와중에 돌이킬 수 없는 비극의 씨앗 역시 이곳저곳에 흩뿌려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씨앗 중 특별히 위험하고도 강렬한 것 하나가 오랜 시간 동안 증오심을 키운 끝에

탈수와 아사라는, 비인간적이고 참혹한 방법을 동원한 살인으로 발전했다는 설정은

비단 일본이나 센다이라는 특수한 배경에서만 가능한 일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우리 역시 곧 마주칠, 아니 이미 마주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점에서,

이 작품이 다룬 사건 자체는 피하고 싶지만 피할 수 없는 엄연한 현실일지도 모릅니다.

 

나카야마 시치리의 잔혹한 미스터리와 놀라운 반전을 기대한 독자에겐

다소 심심하게 읽힐 수도 있는 작품입니다.

, 사회파 미스터리라고 해도 메시지가 좀 과하게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앞서 언급한대로 사회고발성 다큐멘터리처럼 읽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작가의 의도라면 그 나름대로 미덕과 의미를 갖췄다는 점 역시 사실입니다.

아쉬움도 분명 있지만 생각하고 고민해봐야 할 숙제를 남긴 작품이라고 할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