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류행 - 건축과 풍경의 내밀한 대화
백진 지음 / 효형출판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건축의 아름다움이라고 하면 처마의 곡선, 살짝 추켜 세운 추녀를 꼽는다. 하지만 처마 밑에 보이는 공포에 대해서는 그리 관심을 갖지 않는 편이다. 사실 관심을 가지려고 해도 너무 복잡해서 이내 포기기 십상이다. 게다가 단청마저 칠해져 있다면 거의 매직아이 수준이어서 뚫어지게 바라보기 조차 힘들다. 기둥 위에 올라 앉아 지붕을 비롯 상부구조를 떠받치고 있는 공포는 조형적 아름다움을 위해 그토록 복잡하게 만든 것이 아니다. 오히려 최소의 부재로 최적의 형태를 추구한 것이며 나뭇가지가 태양을 향해 뻗듯 하중에 의해 자연스레 자란 것이다. 건축가 서현의 <배흘림기둥의 고백>을 읽어보면 공포의 탄생 과정을 매우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은 생명체가 주어진 환경에 맞춰 진화하며 그것에 적응해 발달해 나가는 것과 너무나 흡사하다.

 

건축도 마찬가지이다. 공포가 마땅히 그래야 하는 모습으로 자라듯 건축물도 자신이 놓인 환경에서 가장 잘 살아갈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지어진다. 쉬운 예로 우리나라에서는 구들이, 일본에서는 다다미가 발달하는 것이다. 건축이 제아무리 용을 쓴다고 해도 지진이 많은 나라에서는 높아질 수 없고, 북극과 같은 곳에서는 나무로 지어질 수 없다. 그것은 자연스런 방식, 최적의 방식이 아니기에 불굴의 건축적 기적을 이루려는 특별한 의도가 아닌 이상 기를 쓰고 구현할 필요도 없다. 이처럼 건축의 발생에 운명적인 밑그림을 제시하는 것은 인간이 만든 건축 사조나 건축 기술의 위에 있으니, 그것은 다름아닌 바로 기후이다.

 

저자는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고민이 많았던 것 같다. 그는 이 관계를 '풍경'이라고 부르곤 했는데, 어느 날 우연히 접한 일본의 환경철학자 와쓰지 데쓰로의 저서에서 매우 적합하고도 유사한 단어를 찾아낸다. 그것은 이 저서의 제목이기도 한 단어로, 기본적으로는 '기후'에서 출발했으나 이것이 자연과 인간과의 내밀한 관계를 나타내는데 미흡하다고 생각하여 '풍토'라는 표현을 즐겨 썼다고 한다. <풍경류행>의 '풍경'도 많은 의미에서 '풍토'와 같다. 그리고 이 책은 단순한 건축 순례가 아니라 자연과 인간이 관계해 나가는 풍토 속에서의 건축을 중심으로 흘러간다.

 

4가지의 풍경 이야기를 담은 이 책은 우리가 얼마나 자연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고(풍경과 삶), 세계관을 형성하고(풍경과 마음), 삶의 터전을 만들어가는지(풍경과 공동체)에 대해 새삼 깨닫게 한다. 시야를 넓혀 더 큰 그림을 바라보게 만드는 에세이들은 건축이란 인간의 손길로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하기 쉬운 우리의 속단에 허를 찌르듯 무향, 무미, 무취로 우리 곁에 늘 존재하는 자연의 존재를 부각시킨다. 그리고 일반적인 건축서에서 말하듯 자연과 건축을 최단거리 직선으로 연결해 버리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에둘러 길고 굽은 자연스런 선분을 그려나가고 있다.

 

이어령 선생이 적었듯 모든 것을 축소하여 소유하기를 원하는 일본인의 마음이 정원에도 반영되어 있다면,(중략) 자연이 좀처럼 말을 듣지 않고 심지어 고삐 풀린 망아지처럼 날뛸 때도 있으니, 내 말을 잘 따라주는 유순한 자연을 각고 싶었을 것이다.(중략) 정원 속의 자연이 고요하고, 맑고, 정돈되어 있다는 것은 그만큼 바깥 자연이 정글처럼 얽혀 있고, 지진처럼 난폭하다는 반증일 것이다.(p.22-24)

 

몬순지대 사람들은 체념적이고 순종적으로 만드는 데는 또 다른 풍토적 원인이 있다. 몬순지대의 자연은 습기가 어떻게 변하느냐에 따라 주기적으로 난폭해진다.(중략) 이렇게 해서 몸에 밴 체념과 순종이 낳은 세계관은 무엇일까? 와쓰지에 의하면 체념과 순종은 받아들임을 의미한다. 어떤 형태의 자연물이든 힘을 지니고 있거나 특색이 있으면 다 신격화되었다. 특히 인도가 그러한 경향이 강하다.(p.72)

 

좋은 광장은 한 천재에 의해 완성된 공간이 아니라 사람들이 살아온 흔적을 담아내고, 필요하면 변형할 수 있도록 열려 있는 곳이어야 한다. 이러한 광장이야 말로 나의 것이 되고 너의 것이 되며 더 나아가 우리의 것이 된다.(중략) 이름없는 이들이 이름없는 건물을 하나씩 더해가는 무명의 광장이 필요하다.(p.137)

 

저자가 풍토를 강조하는 까닭은 지속적인 풍경, 그리고 그 안의 지속적인 건축을 위해서이다. 그가 생각하는 지속적인 건축이란 세계 각국의 권위자들이 모여 친환경적 기술을 개발하고 에너지 문제를 논의해서 만들어나가는 것이 아니다. 자연보다는 풍경을 바라보고 재발견하며, 자연과 더불어 공동체성이 살아있는 풍경이 친환경적이요, 지속적이라 믿는 것이다. 요즘처럼 도시 안에 건축물의 개별성과 차별성이 넘쳐나고, 어느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기 위한 아우성이 거세지는 시기에 주어진 환경 속에서 인간과 어우러지며 자연히 그러하게 자라나는 그럴 연(然)의 건축은 커다란 미덕으로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