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국의 어린이들
이영은 지음 / 을유문화사 / 2025년 8월
평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일제강점기는 어떠한 시대였을까? 우리의 공적 기억, 공적 역사에서 일제강점기는 고통과 암흑의 시대였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누군가에게는 부조리와 모순의 시대였을 것이고, 누군가에게는 출세를 위한 기회의 시대였으며, 누군가에게는 전통과 근대가 충돌하는 시대였을 것이다. 역사의 책무는 그러한 미세한 시각을 포착하는 것이다.(물론 그렇다고 뉴라이트가 주장하는 것처럼 일제강점기가 행복의 시대라는 것은 결코 역사적 팩트가 아니다.)
그렇기에 이 책의 시각이 새롭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를 경험한 어린이들의 시각을 면밀히 살펴본 책이다. 물론 그 시각은 일제가 개최한 조선총독상 글짓기 경연대회라는 틀 속에서였지만 아이들의 순수한 시각으로 바라본 일제강점기의 다양한 모습을 이 책은 볼 수 있게 해준다.
특히나 이 책에서 수집한 자료들의 구성이 매력적이다. 단순히 조선 어린이들의 글만 실은 것이 아니라 이 땅 조선에서 살았던 일본 어린이들의 글도 함께 수록하였다. 그래서 오히려 일제강점기가 어떠한 시대였는지가 잘 드러난다. 여기에 수록된 조선 어린이와 일본 어린이의 글을 읽어보면 민족에 따라 상반된 생각, 상반된 처우, 상반된 일상이 잘 드러난다. 그리고 그것이 어린이의 시각에서 묘사되므로 사실성은 더욱 잘 보인다.
또한 이 글 속에는 전쟁을 바라보는 어린이의 시각, 국가주의 일제의 식민교육이 어린이들에게 강요한 사상의 흔적 또한 확인할 수 있다. 그간 우리 역사학계는 독립운동가, 친일파, 노동자와 농민 등 어린의 시각에서 일제강점기를 바라보았다. 하지만 이 책에 담긴 어린이의 눈에 비친 일제강점기의 모습은 또 다른 형태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새로운 사료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의 눈에 비친 일제강점기는 민족을 어떻게 차별했는지, 식민지인들의 일상을 어떻게 파고들었는지, 어떠한 세상을 지향했는지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