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청춘.길
베르나르 포콩 사진, 앙토넹 포토스키 글, 백선희 옮김 / 마음산책 / 200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사이 서점을 자주 가게 된다. 예상치못한 연애처럼, 어떤 책은 급작스레 내게 말을 걸어오지만,
어떤 책은 늘 내 가까이에 있으면서도 아주 더듬더듬, 어눌하게 말을 건네기도 한다.
<청춘. 길> (사진:베르나르 포콩, 글:앙토넹 포토스키)이라는 책이 그러하다.
한 페이지 전체를 결코 넘지않는, 정갈한 문장들을 받아들이는 순간, 나도 모르게 아주 여린 눈물이 나려했다.
 
무슨 사이인지 전혀 알 수 없는 두 남자(한 사람은 50년생, 또 한 사람은 74년생, 부자관계는 아닌듯 하다)가 낯선곳을 여행한다.
그들이 가는 곳은  결코 친숙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미얀마, 말리, 사헬 지역으로, 실려있는 사진들 역시 조금 낯선 방식으로 찍혀있다.
( 인위적으로 조작되어 멈춰진 아름다움이 아닌, 그저,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사진들 같다)
문장들은 투명하고 나른한 슬픔으로 부드럽게 감싸져 있는 듯 했다.
 
"이날 저녁, 한바탕 소나기가 퍼붓고 지나간 정원에서 신선한 공기와 나무들의 냄새를 음미한다. 나는 새끼 고양이를, 그리고 녀석의 머리를 때린 두 개의 돌멩이를 다시 생각한다. 그리고 행복한 슬픔을 느낀다. 나는 그 새끼 고양이도 좋고 녀석에게 돌은 던지는 이 사회도 좋다. 이 저녁에 내가 이곳에 있다는 사실이 행복하다. 어린 시절의 큰 슬픔이 떠오른다. 세상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기 위해서는 때때로 동물들의 가련한 삶에 뜨거운 눈물을 흘리고, 우리의 눈물을 다정한 그 무엇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날 저녁의 아름다움은 병든 고양이의 머리에 부딪친 돌멩이를 닮았고, 너무 많이 울고 난 뒤에 찾아드는 감미로운 느낌을 닮았다."
 
 
낯선 이국 땅에서 느껴지는 슬프고도 감미로운 느낌은,
그 순간 자신이 그곳에 존재한다는 감동과 더불어, 자신의 역사를 반추하는 가운데 느껴지는 삶의 애뜻함이다. 나 역시 홀로 했던 여행 속에서 느껴야했던 여행의 정점 아니었던가.
 
"더운 계절 아침 10시경에 사헬의 거리로 나간다는 것은 현기증 나는 열기와 눈부신 빛 가운데로 뛰어드는 것과 같다. 거리의 메마른 흙 위를 걸으면서 나는 이곳의 높은 기온과 너무도 강렬한 빛에 짓눌리기보다는 오히려 내가 이곳에 있다는 사실에, 온전히 이곳에 있다는 사실에 흥분했고, 그러자 견디기가 별로 힘들지 않았다. 난 이제 덜 더운 곳에서는, 살기가 편한 곳에서는 살지 못할 것 같다. 다른 어느 곳도 이곳보다는 살기가 편할 것이다. 검은 아프리카를 보고 나면 북아프리카의 온화함이 그렇게 쾌적할 수 없다. 그렇지만 사헬로부터 멀어져서 안락하게 사는 것은 세계의 표면에서 산다는 느낌을 준다. 내면은 여전히 나 없이 돌아가고 있는데 말이다. 육신이 편안한 곳에서는 더이상 나의 존재를 느낄 수 없다. 내 육신이 견뎌낸 혹독한 삶이 이젠 존재규범이 된 듯하다. 아주 뜨거운 열기가 정상적인 규범을 녹여버리기라도 한 듯이...."
 
미친 무더위와 비상식적인 풍경들, 그러나 어느 틈엔가, 이 낯선 것들에게 애정을 품고 있는 생의 에너지야말로 청춘인 것이다. 편하고 안락하게 산다는 것, 그것에서 느껴지는 삶의 무기력함, 느껴지지 않는 존재감, 무의미.... 이 모든것을 아주 조용하고 담담하게 거부하며, 고요한 열정으로 자신의 존재감을 채워가려는 문장의 주인공이 몹시도 사랑스럽다. 더이상 낯설고 불편한 것들에게 애정을 느낄 수 없는 순간이 온다면, 그리하여 더이상 길 떠나기가 내켜지지 않는 때가 온다면, 그대, 이젠 편안히 쉬어라, 그대는 이미, 미련없이 쉬어도 좋을만큼 충분히 '늙어버린' 사람일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인자들과의 인터뷰
로버트 K. 레슬러 지음, 손명희 외 옮김 / 바다출판사 / 200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살인자들과의 인터뷰>는 겉표지에 연쇄 살인범들의 실제 사진들을 잔뜩 실어놓은 것 부터가 어쩐지 심상치 않았다. 처음 몇 페이지를 넘겨다보고는, 정말이지, 토할 것처럼 현기증이 났다. 태어나서, 순수하게 글만 읽고서 이렇게까지 심적 충격을 받은 것은 처음이었다. 너무나 하드코어적인 묘사가 자세히 펼쳐지고 있어서리, 상상만 해도 소름이 쫙쫙 끼쳤다.
 
전직 FBI 요원인 작자는 실제로 흉악한 연쇄 살인범들과 허심탄회하게 면담을 한 내용을 이 책에 담고 있다. 그 면담한 내용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체계를 세워놓은 것이 프로파일링이라는 범죄수사기법인 것이다. 대략 10명 정도의 연쇄 살인마들의 행적과 심리분석 등을 소개해 놓았는데, 어느 케이스 하나 빠질 것 없이 엽기, 충격, 하드코어적인 범죄의 극치를 보여준다. 그리고 거의 99 퍼센트 정신 이상자에 의해서 저질러진 것이다. 또한 그 정신 이상자의 대부분은 불행한 가정과 애정 결핍증에서 탄생했으며, 자신의 범죄에 대해서 별다른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있다. 마치 살인이 취미인것처럼 아무렇지도 않게 살인행각을 벌이고도 멀쩡히 봉사활동을 한달지, 보이스카웃의 지도자 역할을 하기도 하고, 대통령의 영부인과 사진을 찍고, 또 본인 스스로가 심리 상담가가 되기도 한다.
 
이런, 말로서는 표현조차 할 수 없는 끔찍한 범죄자들을 사형시켜버리는 것만이 속이 좀 풀리겠지만,(이 책을 읽은 후로, 정신 이상자에 대한 동정심이 거의 사라져버렸다) 그것은 사실 현실적으로 생각해볼 때 별 도움이 안 된다. 이 책의 저자인  로버트 K. 레슬러의 말대로, 오히려 그런 흉악한 연쇄 살인범들은 연구해볼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들의 범죄 패턴이나 심리 상태를 오랜 시간을 두고 관찰 연구하여 프로그램화 하면, 앞으로 일어날 다른 범죄 사건을 예방할 수 있고, 사건이 일어났을 경우, 더 커지기 전에 미리 막아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을 읽고서 든 인간에 대한 회의감 하나는, 정신 장애는 왠만해서는 고쳐지기 힘들다라는 사실이다. 연쇄 살인범들은 10년 후에 만나도 전혀 거리낌없고, 운좋게 모범수 연기를 한 후에 석방이 된다고 해도 다시 범죄를 저지를 확률이 너무 크다는 것이다. 책을 덮고 나니, 마음이 몹시도 심란하다. 정말, 심란하다. 이렇게 나를 심란하게 했던 책도 없었는데, 인간이 그렇게 철저하게사물처럼 대상화되어서 살인당할 수도 있는 존재라는 것이 서글프다. 이 인식은 말로서는 표현할 수 없는 뜨끔한 심적 아픔이다. 또한 점점 범죄는 아무런 스토리를 지니지 않는 다는 사실이 슬프다. 최근의 살인 범죄는 면식범이 아닌 불특정한 누군가를 향한 정신 이상자의 이유없는(이유가 있다면, 단순 쾌감이나 충동) 범죄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누군가가 어릴적에 어머니의 사랑을 충분히 받고, 자라면서도 좋은 친구들과 교류하며, 주변에서 인정 받고, 또한 성인이 된 후에는 호감있는 이성에게 사랑을 받는 패턴으로 살아갈 수만 있다면, 그는 (비극적 숙명이 개입되지 않는한) 절대로 그는 위와 같은 종류의 살인마로 자라나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을 읽은 후로, 사람에 대한 나의 평가는 매우 느슨해질 전망이다. 조금은 성격이 괴팍하거나, 조금은 이기적인 사람이면 어떠랴. 연쇄 살인범만 아니면 된다. 살인으로 쾌감을 느끼는 싸이코만 아니면 된다. 실제로 이같은 연쇄 살인 싸이코들은 정말이지 매우 극소수 일테니, 나는 왠만한 불편한 사람들은 참아낼 수 있는 저력이 생긴 것이다. 위의 내심, 성격 장애로 분류한 주변의 몇몇 사람들 정도야, 별거랴....
 
그렇다면, 나는 이 슬프고도 충격적인 책을 선택한 일이 썩 나쁘지만은 않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