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닮은 사람
누쿠이 도쿠로 지음, 김은모 옮김 / 엘릭시르 / 2017년 9월
평점 :
발간된 책을 발견할 때마다 늘 읽게 되는 작가 누쿠이 도쿠로. 작년 가을에 신간이 나왔길래 냉큼 집어들었습니다. 문득 따져보니 누쿠이 도쿠로의 책은 일곱권을 읽었더라구요. 이번이 여덟번째 책이네요. 누쿠이 도쿠로가 문장을 심플하게 쓰면서도 심리묘사를 잘 하는 편이고 주로 사회파 미스터리를 쓰는 작가다보니 제가 좋아하는 요소를 많이 갖추고 있습니다. 미스터리 작가로서는 저랑 궁합이 잘 맞는 작가인듯 합니다.^^
이번 책 '나를 닮은 사람'은 추리소설이라기 보다는 사회비판 소설의 느낌이 더 강하게 들었어요. 평소 작가의 생각인지, 소규모 테러라는 소재를 통해 이야기를 끌고나가기 위한 포석을 까는 것인지 인물들의 대사 속에 일본사람들의 성향과 사회분위기를 비판하는 내용이 날 것으로 섞여들어 있는 부분들이 꽤 되네요. 덕분에 요즘 관심을 갖고 있는 일본사회에 대해서도 더욱 많이 알게 된 거 같습니다.
"히데부 씨는 사회에서 떠밀려났습니다. 그건 일본 사회에 관용이 없기 때문이에요. 일본은 세계 여러 나라에 비해 유독 동질성이 강한 사회를 형성했습니다. 불평등이 만연하고 이질적인 사람을 배제하는 사회죠. 그래서 약자에게 차갑고, 재능 있는 사람을 시기하고, 평범함을 중요시하죠. 일본 사회에서 히데부씨가 살아갈 곳은 없을 겁니다."
"일본인을 정직하고 도덕적이라고 생각하는 외국인이 많고, 실제로 잃어버린 지갑이나 휴대전화의 주인을 찾아주는 몇 안 되는 나라이기는 하지만 어째서인지 개인 수준에서만 그렇다. 집단이 되면 윤리에 반하는 짓을 서슴없이 저지르는 것 또한 일본인의 기질이다."
'난반사'와 '프리즘'에서 보았던, 하나의 사건을 구심점으로 얽히고설킨 다양한 인물들의 시선으로 사건을 풀어내며 전체적인 이야기를 구성해나가는 작가의 장기가 이 소설에서도 잘 발휘되고 있네요. 이 소설에는 챕터별로 총 열 명의 주요 인물이 나오고 그 인물들은 소규모 테러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부조리한 사회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이 저지른 소규모 테러가 이 소설의 사건입니다. 트럭을 몰고 상점으로 돌진한달지, 횡단보도에서 칼을 휘둘러 행인에게 상처를 입힌달지, 본인이 점원으로 일하던 가게에서 점주와 손님을 찌른달지 하는 우발적으로 보이는 소규모 테러의 배후에는 누가 있으며, 그들은 도대체 왜 그런 일을 저지르는 것일까요?
작가가 건드리고 있는 문제는 사회의 불평등입니다. 그 불평등은 거품경제의 혜택을 받은 기성세대와 그렇지 못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젊은 세대간의 갈등, 또 같은 기성세대나 젊은 세대 사이에서도 엄연한 계층 차이가 존재합니다. 소설 속 인물들 중 현재 불행하거나 사회적 격차 때문에 의기소침한 인물들은 그 원인을 사회부조리에 돌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사회적 약자로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소규모 테러를 실행하기를 부추키는 인물이 등장하지요. '도베'라는 인물인데요, 그 '도베'라는 인물은 무수히 자기 복제를 하여 주로 SNS 상에서 자신이 조종하기 쉬운 인물들만을 골라서 소규모 테러를 부추킵니다. 이 소설에는 세상에 절망한 인물들이 많이 나오는데, 그래서 미스터리 소설이라기보다는 사회고발소설 같은 느낌도 들었습니다.
재미있게 읽긴 했지만 솔직히 '난반사'만은 못했어요. 무언가 조금 완결성은 떨어진다는 느낌? 그리고 무언가 마무리가 미진했어요. 의외의 인물이 최초의 도베로 밝혀지긴 했지만 그 전개가 좀 급작스러웠고, 별로 궁금한 부분도 아니었어요.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 하나하나에 빨려들어가듯 읽긴했지만 좀 산만한 부분도 있었어요. 뭐랄까 인물수를 줄이고 더 밀도있게 구성을 했더라면 더 좋았을 것 같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