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급생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신경립 옮김 / 창해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책같은 삽화 때문에 만화같이 알콩달콩한 학원물일거라는 예상을 하게 하는 겉표지의 소설이다. 일본 소설의 특징일지도 모르는데, 왜 일본소설은 고등학교가 배경이 되고, 고등학생들이 등장인물로 나오는 경우가 많은 지 모르겠다. 이것도 또 하나의 의문사항 추가!

 서장에서 주인공 니시하라의 여동생 하루미가 심장에 구멍이 생겨서 아프다는 이야기를 가장 먼저 하고 있고, 이 이야기는 소설 전체에서 약간 붕 뜨는 이야기기 때문에 결국 사건의 근원적 동기나 범인과 동생과는 무언가 연관이 있겠다,는 짐작은 할 수 있었다.

 잠깐 사귀고 꽤 깊은 단계까지 갔던 미야마에 유키코의 죽음을 추적하던 니시하라는 뒤이어 일어난 미사키 선생님의 살해 용의자로 의심을 받게 된다. 유키코의 죽음에 대한 책임 그리고 미사키 선생님의 살해 용의자 누명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니시하라는 사건을 집요하게 분석하고 추적하게 된다.

 이 소설에는 두 번의 죽음과 한 번의 사고가 있었지만, 결국, 범인은 없다.  첫 번째 죽음이었던 유키코는 이유야 어찌 되었던 사고사였다. 그리고 두 번째 죽음은 조금 어이없게도 자살로 판명되었다. 이 부분이 조금 이해가 안 되기도 했다. 12킬로짜리 아령을 동원하면서까지 굳이 교실 한 복판에서 줄을 연결하고 자살을 하려는 미사키 선생님의 의도가 잘 와닿지 않았다. 차라리 화끈하게 살인사건(?)으로 처리해버려도 좋았을 죽음이었는데.....

 그리고 이 모든 사건 이면에 숨겨진 니시하라와 히로코의 관계. 나는 이렇게 사건을 벌여놓고, 아픈 동생과 어떻게 연관을 짓나 했더니 의외로 니시하라와 히로코의 훈훈한 우정으로 마무리가 되고 있었다. 그리고 니시하라가 의심받는 내내 함께한 가오루와 가와이의 우정도 있었고. 그래서 제목이 '동급생'인가?

 이 소설은 특이하게도 작가의 말이 더욱 인상적이었다. 작가의 말에서 히가시노 게이고는 초등학교 때부터 교사를 너무나 싫어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까지 읽은 그의 소설 세 권에서 모두 교사가 등장하지만, 전부 뭐랄까 비호감 캐릭터로 나온다. 소심하고 능력은 없으면서 허세만 부리고, 사욕으로 가득 찬... 그런 류의 인간...... 무언가 트라우마가 있는 걸까. 어떤 기억들이 작가에게 그런 느낌을 심어준 것일까.

 그런 작가의 의식이 담겨있는 탓인지 이 책 <동급생>에서도 학교측의 교사들은 정의보다는 자신의 체면과 학교의 이미지만 생각하는 이기적이고 한심한 사람들로 묘사되어 있다.   

나는 초,중,고등학교를 통털어서 교사에 대해 그닥 부정적인 기억이 없다. 성장과정에서 나를 서운하게 하거나, 분노하게 했던 교사를 만나지 못했다는 것이 오히려 이상한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