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질투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4
알랭 로브그리예 지음, 박이문·박희원 옮김 / 민음사 / 2003년 8월
평점 :
흰 것은 종이요. 까만 것은 글자다. 첫 장을 펼쳤을 때, 다가온 첫 느낌이다. 전혀 와 닿지 않는 문장들, 무거운 묘사로 차있지만 감정이 없어 가볍게 넘어가는 책장.
‘글자가 쌓아올린 차가운 기계의 포착은 감정이 텅 빈 『질투』를 남겼다.
책을 가볍게 읽고 다음 날 휘날린 단평의 주 내용이었다. 감정이 삭제된 소설은 대체 어떤 의도를 가진 것일까 고민했다. 고민 속에 수어번 책을 다시 펼쳐 읽고, 나는 글을 삭제했다. 과연 책 속의 ‘질투’는 정말 삭제 된 것일까, 의뭉한 인물로부터 한 겹 가려졌던 것은 아닐까. 두 가지 가정이 충돌했기 때문이다.
먼저 첫 번째 가정, 로브그리예가 의도적으로 ‘감정’을 잘라낸 것이라면, 그 의도는 독자를 작품으로부터 소외시키기 위한 것으로 짐작된다. 기존의 소설이 가진 관습을 타파하려는 누보로망의 시도는 독자와 주인공의 동일시를 거부한다, 게다가 지루하게 나열된 묘사, 지리멸렬한 시간의 흐름은 독자를 전혀 배려하지 않는다.
소외된 독자는, 스스로 ‘질투’를 자신의 경험과 상상을 바탕으로 새롭게 창조하게 된다. 어떤 이는, 어떤 것도 더하지 않는 무채색의 질투로 책을 덮을 테고, 어떤 이는 언젠가 바람을 피고 떠난 연인을 떠올리며 분노로 가득 찬 새 빨강의 질투를 그려놓을 테다. 펜을 쥔 이는 작가지만, 붓을 쥔 이는 독자가 된다.
두 번째 가정, 화자는 지독한 관찰 뒤에 질투를 숨긴 인물로 설정된 것일까. 그의 시선과 행동은 충분히 질투의 은유로 해석 될 여지가 있다. 머리카락 한 올 마저 포착하는 시선 그 자체의 질투, 그리고 페인트가 다 벗겨진 낡은 난간을 바라보다 ‘난간 전체를 산뜻한 노란색으로 새로 칠할 것이다. A…가 그렇게 결정했다.’는 진술을 이으며 자신과 프랑크를 대비시키는 듯 한 배치는, 도식적으로 해석하기엔 위험이 따르지만 충분히 ‘질투’라는 감정으로 확장 가능하다.
그에게 어떤 콤플렉스나 열등감이 존재하는지, 그 배경엔 어떠한 일이 숨겨져 있는지, 그가 아내를 대놓고 ‘질투’할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상상의 여지가 남아있다, 결국 화자에게 ‘질투’라는 감정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 된다. 화자는 스스로 ‘질투’라는 본능적 욕망을 소외시키지만, 객관적인 듯 보이는 서술 안에 철저히 개인적인 시선을 부여한 것이다.
어떤 가정이 작가의 의도였던, 독자가 어떤 방식으로 글을 읽었던, 『질투』는 대부분의 독자에게 외면 받고 만다. 삭제되거나 혹은 철저히 숨겨진 인물의 감정은 쉽게 동화될 수 없어 읽는 이를 즐겁게 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질투』는 독자에게 무례한 소설이다. 그러나 자꾸만 다시 펼쳐, 개운치 않은 무언가를 찾게 만든다. 이것이 작가의 진정한 의도가 아닐까.
다시 책을 펼쳤다. 『질투』의 감정을 삭제된 페이지로만 읽었던 나는, 책을 너무도 가볍게 읽었다. 그제야 검은 글자 사이에 가려진 하얀색 바탕을 보게 된다. 도화지에 ‘질투’의 색을 칠한다. 은유로 감춰진 질투의 색을 찾아 칠할지, 내 안의 질투를 칠할지는 나의 몫이다. 책장이 느리게 덮였다. 당신은 작품 하나를 완성했다. 제목은 『질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