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사람들은 명품을 살까? - 베블런이 들려주는 과시 소비 이야기 경제학자가 들려주는 경제이야기 15
김현주 지음, 윤병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학자가 들려주는 경제 이야기 / 왜 사람들은 명품을 살까? / 자음과모음

집에 변변한 명품하나 없지만 다른 맘들이 명품이라면서 가지고 다니는

백이나 기타 물건들을 보면 사실 부럽기도 합니다.

일명 들고 다니면 폼이 날 것 같고 왠지 멋있어 보이고

명품은 뭔가 다를 것 같은 기분도 들기 때문인데요, 그런 제 마음을 알았을까요?

자음과 모음에서 이런 제목으로 책이 나왔더라고요.

 

왜 사람들은 명품을 살까요?

제품이 좋아서? 아니면 돈이 많아서? 그 이유가 궁금한데요,

그것을 알기 위해 원시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원시시대에서 오늘날 까지 다른 계급과는 달리 한가하면서도 비생산적인 삶을 사는 유한계급은

사냥꾼, 전사, 귀족, 기업가의 모습으로 진화를 했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 위해 충분한 여가를 즐겼고

이러한 삶은 일반계층으로 하여금 우월한 계급으로 인정,

따라하고 싶은 고상한 행동으로 인식이 되었지요.

 

남편들은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 위해 아내들을 이용하고

이러한 과시소비는 현대사회에서 자신의 능력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이어졌는데요,

사람들의 소비는 제품의 질이 좋아서라기보다는 남들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함이고,

특히 유한계급은 자신들만의 특별함을 과시하기 위해 낭비적인 소비를 하며

이러한 것을 ‘베블런 효과’라고 합니다.

그리고 일반계층은 이를 흉내 내고 이에 한 몫을 하는 것은 광고이고요.

 

보석이나 명품 등 비싸면 비쌀수록 많이 팔리는지... 그 이유가 밝혀졌는데요,

결국 유한계급, 즉 상류층의 낭비적인 소비를 멋진 것으로 오해하고 착각하면서

우리 일반인들이 따라하는 것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사람을 처음 보면 외모나 옷차림을 먼저보고 보게 되는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의 내면이라 할 수 있는데요,

현실적으로는 알면서도 실천하기가 쉽지는 않은 것 같네요.

하지만 알아야겠습니다.

명품을 사용하든 일반 물건을 사용하든...

왜 사람들이 명품을 좋아하는 지 그 이유를 알고 물건을 소비한다면

지금처럼... 그렇게 무작정 남을 따라 하는 과소비는 줄어 들 것이고

남보다 앞서고 싶다는 욕망 역시 이 조금은 잠재울 수 있지 않을까요~~

 

어렵게만 느껴졌던 경제이야기였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알아가는 재미가 있습니다.

그러면서 이 문제와 현재를 연결해 보고 세상을 큰 흐름을 이해하게 되고요.

경제학자시리즈...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세상을 보는 또 하나의 눈이고

이를 통해 우리 아이들은 올바른 경제습관을 형성할 수 있을 테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