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델이 들려주는 유전 이야기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 이야기 2
황신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이야기 / 멘델이 들려주는 유전이야기 / 과학자 시리즈
아이들이 나의 이런 점만은 닮지 않았으면 좋겠는데
예상을 완전히 깨고 아이들은 이런 것들은 꼭 닮지요.
아이들이 부모를 닮는 것은 어쩜 당연하지만
닮지 말아야 할 것을 닮는 것을 보면 이게 바로 우성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오늘은 멘델이 들려주는 유전 이야기를 통해
유전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옛날 사람들 역시 아이가 부모를 닮는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했지만
어쩌다 아이가 부모를 닮지 않으면 임신한 아내가 조각상에 눈이 팔려서
아이가 부모를 닮지 않았다고 생각을 했다는데요,
지금 생각하면 어이가 없지만 그때는 이것을 믿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부모의 형질이 자손에게 전해지는 유전을 밝히기 위해
멘델은 생장기간이 짧으면서 쉽게 기를 수 있고
교배도 간단하면서 대립형질은 뚜렷한 완두를 선택하게 되는데요,
완두의 교배를 통해 부모의 유전형질이 자손에게 어떻게 전달되는지 살펴봅니다.
한 쌍의 대립형질이 유전 될 때 나타나는 형질을 우성,
나타나지 않는 형질을 열성이라고 하고,
잡종1대에서는 우성만 나타나는데 이것을 우열의 법칙이라고 한답니다.
잡종 1대에서 나오지 않았던 열성형질은 없어진 것이 아니라
잡종1대를 자가수분 했을 때 잡종2대에서는 우성과 열성의 비가 3:1로 분리되어 나타나는데요,
이것을 분리의 법칙이라고 하고요.
말로 풀어 쓴 유전자를 알기 쉽게 알파벳 기호를 사용하고
우성의 경우는 대문자를 열성의 경우는 소문자를 사용하는데요,
YY, Yy는 표현형은 같지만 유전자형은 다르답니다.
2쌍의 대립형질은 다음 세대로 유전 될 때 독립적으로 행동하여
우열의 법칙과 분리의 법칙을 따르게 되는데요,
이와 같은 유전 현상을 독립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개체가 진짜 순종인지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열성 순종을 이용하여 개체와 교배를 시키고 이것을 검정교배라고 하는데요,
잡종 1대에서 나온 형질로 충분히 순종인지를 판단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식물이 멘델의 유전 법칙을 따름에도 불구하고
분꽃의 경우는 붉은 꽃과 흰 꽃을 교배했을 경우 분홍 꽃이 나오는 예외 현상을 일으켰지만
잡종 2대에서는 붉은 꽃과 분홍 꽃, 흰 꽃의 비율이 1:2:1로 나타남으로써
유전자형은 멘델의 유전 법칙을 따르고 있답니다.
사람의 유전은 환경 등과 같은 다른 요인으로 어려움이 있어 간접 방법을 사용하며
가계도 조사, 집단 통계, 쌍생아 연구 등의 방법을 이용한답니다.
멘델의 유전 법칙이 유전과 관련해 모든 것을 설명하지는 못하지만
유전 공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만들어 내는 기초가 되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텐데요,
유전학은 나와는 상관없는 학문이고 재미없는 학문이라고 느꼈던 학생들에게
멘델이 들려주는 유전이야기는 유전학의 기초는 물론
유전 법칙을 통해 유전학에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기에 충분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