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5 - 새 나라 조선을 세우다 (1392년~1600년)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5
장지연 지음, 백금림 그림 / 웅진주니어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주보는 한국사교실 5권

<새 나라 조선을 세우다> 1392년 - 1600년

 

불교를 멀리하고 성리학에 바탕을 둔 왕도 정치의 이상을 실천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해 농업을 장려하고,

명을 섬기고 일본과 여진과는 사이좋게 지낸다는 3가지 기본 정책을 정해 실천하면서

이성계와 신진 사대부들은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이념에 걸맞은 나라의 기틀을 다지는데 노력하지요.

 

집현전의 인재들을 통해 나라를 다스리는데 필요한 여러 제도와 문물을 연구하게 하고

농업발전을 위해 과학과 기술을 장려하면서

이 시기에 농사법을 정리한 농사직설이나 비의 양을 측정하는 측우기가 만들어지고요,

훈민정음을 창제함으로써 백성들이 나라의 정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어요.

 

조카인 단종을 몰아내고 왕이 된 세조는 왕권을 위협하는 원로들을 제거하고 왕권을 강화하지만

훈구세력이라는 더 강력한 세력을 키우게 되고요,

왕이 된 성종은 홍문관을 새로 고쳐 학문을 연구하게 함으로써 정치와 학문을 크게 발전시켰어요.

 

무오사화와 갑자사화 등 사림파와 훈구세력을 꺾은 연산군은

조선 최악의 폭군으로 신하들에 의해 쫓겨나고 중종이 임금이 되고요,

중종을 도와 개혁을 꿈꾸었던 조광조는 훈구파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고

사림파 역시 여러 차례 어려움을 겪지만 결국은 조선 정치의 중심세력으로 성장하네요.

 

16세기 오랜 내전을 끝내고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대륙 침략 계획을 세우는데요,

전쟁 초기에 일방적으로 몰렸던 조선군은 조선의 수군과 의병에 의해 반격을 시작하고

명의 지원을 받아 싸우면서 전쟁은 유리하게 흘러가지만 전쟁터가 된 조선의 피해는 엄청났어요.

 

조선을 제외한 명과 일본의 강화도 조약 내용을 보며 참 어처구니없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군사력을 길러야 한다는 황윤길의 말을 무시하고

일본의 침략전쟁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조선 정부에 화가 나기도 했답니다.

 

임진왜란이 끝난 조선이 어떻게 나라를 다시 정비할지... 다음 이야기 속으로 달려가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