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로 보는 우리 바다의 역사
김용만 지음, 백명식 그림 / 살림어린이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나온 역사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줍니다. 좋은 역사든 나쁜 역사든 역사를 통에 우리는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힘을 얻고 살아갈 방법을 찾기도 합니다. 아이와 역사책을 읽을 때는 주로 대륙을 중심으로 한 역사책을 읽었던 것이 사실이에요. 중간중간에 바다를 통한 전쟁이나 외교 등을 읽기는 했지만 완전히 대륙을 중심으로 한 역사였기에 우리 바다를 중심으로 역사를 풀어 놓은 이 책이 신기하기만 했답니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이고 바다를 어떻게 잘 이용하였는지에 따라 그 나라의 흥망성쇠와도 깊은 관련이 있었다는 것을 이번 기회를 통해 알게 되었어요. 신석기 시대부터 우리 조상들은 해양활동을 시작했고, 삼국가운데 가장 유리한 해양조건을 가진 백제는 해상왕국을 만들어내 동남아시아와 다양한 교역을 하여 나라를 발전 시켰고요, 일본에 많은 문화와 물건을 전해 줌으로써 ‘구다라’ 열풍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결국은 당나라가 바다를 건너와서 백제를 공격해 오리라는 예상을 못했기에 결국 멸망하고 말았어요.

 

진취적이고 용맹한 기상을 지닌 고구려는 백제를 제압해 서해와 동해를 이용해 다양한 해상활동을 펼쳤고, 뒤늦게 발전한 신라는 우산국을 정벌해 동해에서의 해양활동에 박차를 가했고, 당나라와 연합해 백제를 멸망시키고 그 이름도 유명한 해상왕 장보고를 탄생시켰어요. 고구려의 유민들이 세운 발해는 동해를 건너 일본과 활발한 사신 왕래를 했고, 대립 관계가 끝난 후에는 신라, 당나라와도 활발한 무역활동을 했고요, 동아시아 바다를 누빈 고려의 국제 무역항인 벽란도는 늘 외국 무역선들로 북적였어요. 몽골의 침략으로 해군력이 크게 약해진 고려는 이때 등장한 왜구의 침략을 받으면서 바다를 잃어버린 나라가 되고 말았어요.

 

명에 의한 해금정책과 고려 때부터 이어진 공도정책으로 조선은 바다에서의 이익을 얻지 못했지만 이순신 장군은 조선 해군의 위력을 보여주듯 일본과의 전쟁에서 백전백승을 했지요. 하지만 폐쇄적인 정책을 펼치고 현실에 안주하던 조선은 해양활동을 활발히 하지 못했고 외국문물을 발 빠르게 받아들여 그것을 자기 것으로 만들었던 일본의 지배를 받고 말았어요.

 

이렇듯 우리의 역사를 살펴 볼 때 해양활동을 활발히 한 경우에는 나라가 흥했고 소극적인 경우에는 쇠퇴했음을 알 수가 있지요. 21세기는 예전보다 더 치열한 생존 경쟁이 벌어지는 시기라는 것을 감안 할 때 우리 역시 바다를 알고 바다를 통한 다양한 해양활동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이 책은 알려주고 있어요. 바다 속에 숨겨져 있는 다양한 자원과 어류는 물론 우리의 생명줄이나 다름없는 바다를 지키는 해군에 대한 관심도 필요할 테고요. 생존을 위한 미래의 터전인 바다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게 된 뜻 깊은 시간이었던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