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쩡한 이유정 푸른숲 작은 나무 13
유은실 지음, 변영미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라는 것을 조금씩 먹어가면서 느끼는 점은 어느 집이건 크던 작던 걱정 없는

집이 없다는 사실에요.  돈이 많으면 돈 이외의 것에서 걱정이 있고, 모든 것이 만족스럽다고 생각하면 남들에게 말 못하는 걱정이 있고, 그래서 사람 사는 것은 다 비슷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요.

 

이 책은 5편의 서로 다른 걱정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의 이야기랍니다. 

 

‘멀쩡한 이유정’

겉으로 보기에는 남들과 별 차이가 없는 아이입니다.

방향감각이 너무 없다보니 동생과 함께 등하교를 한다죠.  그러던 어느 날 먼저 가버린 동생 때문에 혼자서 집으로 가게 됩니다.  이 길이 그길 같고, 그 길이 또 아까 그 길 같고 물어물어 겨우 집 근처를 가게 되지만 그곳에서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선생님을 만납니다.  유정이는 이때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아마도 “어른도 저런데 난 아이잖아.  그러니깐 괜찮아.” 하고 조금은 위안이 되지 않았을까요?

 

그 외의 다른 이야기들도 마찬가지입니다. 

‘할아버지 숙제’은 사실 옛날 우리 엄마 아빠들의 우울한 이야기가 될 수 도 있어요. 하지만 이것을 다른 시각으로 재미있게 표현한 이야기입니다.  할아버지에 대해 조사해 오라는 학교숙제.  경수는 자신의 할아버지와 외할아버지가 다른 친구들처럼 훌륭한 분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걱정합니다.  숙제는 해야 하고 사실대로 하면 창피를 당할 것이 분명하기에 고민을 하죠.  이때 엄마가 거짓말을 하지 않고 경수가 창피해 하지 않으면서 숙제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사실을 말하되 조금은 돌려서 말하기.  그러면서 바람난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해야 할 친구를 걱정하며, 조금이나마 위안을 얻습니다.

 

그 외에도 모든 것들이 자신에게만 불공평하다고 생각하는 영지에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갑조차도 없어서 눈사람을 못 만들고 있는 옆집 아이의 모습은 어떻게 비춰졌을까요?

“그래,  난 다행인지도 몰라. 저 아이는 내가 가지고 있는 장갑도 없잖아”하는 작게나마 위안이 되었을 것 같아요.

 

이렇듯 5편에 나오는 아이들은 각자 나름대로의 아픔을 가지고 있어요.  하지만 이것이 단순한 아픔에 그쳤다면 이 이야기가 재미가 없었을 텐데, 이 아이들은 나름대로 아픔 속에서 또 다른 위안과 희망을 찾아 걸어갔다는 것이에요.  그래서 이 글을 읽고 있는 우리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주는 듯해요.

 

지금 자신의 처지에 힘들어 하고 마음 고생하는 아이들이 있다면 이 책을 통해 새로운 희망을 찾았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