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할머니 달님 키다리 그림책 4
도나 스테인만 글, 김상일 옮김, 태마라 기온 그림 / 키다리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아이들 아빠는 달을 보며 군 시절 혹독히도 추웠던 겨울을 이겨 낼 수 있는 따뜻한 손난로를 생각했다고 한다.  그런 반면 나에게 있어서 달은 좋지도 그렇다고 싫지도 않은  한번쯤은 바라보며, 말도 안 돼는 나의 소망을 빌어보는 그런 단순한 의미로 다가온다.

할머니를 잃은 툴라는 환한 보름달이 뜨면 할머니가 들려주었던 이야기가 생각난다.  밤하늘의 휘영청 떠오른 달을 보며, 옛날 사람들은 달 속의 여인(엄마 달)을 위해 축제를 벌였단다.  하지만 마을이 도시로 변하면서 어느 누구도 달의 여신을 찾지 않게 되었다.  그런 툴라에게 할머니를 닮은 엄마달이 찾아온다.  너무나 반가워 이제부터 ‘할머니 달’이라고 이름 짓고, 아파트 사람들에게 깜짝 파티를 위한 초대장을 만들어 직접 돌린다.  저녁에 초대를 받은 사람들은 모두  할머니 달을 찾아보며, 옛날 사람들이 했던 것처럼 북과 나팔로 연주도 하고 달빛 아래 춤추고 노래를 한다.  사람들은 잊고 있었던 달의 아름다움을 다시금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책을 읽고 나서 그림이 참 인상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두우면서도 어둡지 않은 뭐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한번 읽으면 잊혀 지지 않는 그런 그림?  오래도록 머릿속에 남을 것 같다.

보름달이 뜨면 아이들과 달 속의 그림자 모습을 확인해 봐야 할 것 같다.  지금 당장이라도 확이 하자는 아이들을 진정시키고, 보름달이 뜰 때를 기다리자니 시간이 더디게만 가는 듯하다.  정말로 거울을 들고 있는 여인의 모습이 나오는지, 당나귀의 모습, 두꺼비의 모습이 나오는지 아이들 눈으로 확인하고 싶은 모양이다.

옛날이야기에 나오는 토끼 한 마리도, 계수나무도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달은 아이들에게 희망을 안겨주는 수호신 같다는 생각이 든다.  밤하늘에 덩그러니 떠 있는 보름달을 보면 뭐가 그리도 좋은지 팔딱팔딱 뛰고, 나 잡아 보라는 듯이 달려가는 아이를 보면 절로 기분이 좋아 진다.  잃어버렸던 달의 아름다움을 나 역시 다시 찾게 되는 재미난 계기가 된 것 같아 마음이 따뜻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