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아지 내기 이야기 보물창고 10
이금이 지음, 김재홍 그림 / 보물창고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는 ‘송아지 내기’.  아이가 태권도에 간 사이 엄마인 내가 먼저 읽게 되었다.  표지를 보아하니 표지속의 아이가 누군가와 송아지 내기를 한듯한데....  내용이 너무나 궁금하다.  그림이라기보다는 사진과도 같은 표지를 넘기며 나는 점점 이야기 속으로 빠져든다.

어른들의 윷놀이가 너무나 재미있어 보였던 ‘동해’는 영도 할머니와 내기를 건 윷놀이를 하게 된다.  물론 내기 상대는 송아지,  자신의 집소가 새끼를 배고 있다는 사실을 안 영도할머니의 제안이다.  자신이 이길 수 있을 거라는 상상에 동해는 자신감이 넘쳐흐른다.  하지만 결과는 영도 할머니의 승리.  자신의 송아지가 태어나고 언제 들이 닥칠지 모르는 영도 할머니 때문에 동해는 안절부절 못한다.  그러던 어느 날, 영도 할머니가 집에 오셨다.  너무나 놀란 동해는 “안 돼요, 송아지를 가져가면 안 돼요”하며 할머니에게 소리친다.  그제 서야 할머니는 동해와의 내기를 생각해내며 그것이 장난이었음을 이야기한다.  할머니의 말에 동해는 방아깨비처럼 자꾸만 절을 한다.

책을 읽어 나가며, 내가 시골에 와 있는 듯 착각에 빠진다.  시골의 풍경들과 영도 할머니와 마을 주민들이 동해를 상대로 내기를 걸려 오고가는 장난기 서린 눈빛들, 할머니의 익살스런 표정, 동해의 걱정스런 표정 하나 하나가 살아있는 듯 실감이 난다. 혹여 할머니를 만나면 자신의 송아지를 달라고 할까봐 숨어 있는 모습이 정말로 압권이다.

누구나 한번쯤은 동해와 같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시험을 못 봐 성적표를 받고나서도 엄마에게 숨겼을 때나, 엄마가 아끼는 접시를 깨트린 후 그것을 남의 집 휴지통에 버렸을 때도 나는 동해와 같은 심정이었다.  너무나 불안해서 가슴이 터질 것만 같았었는데.  지금 책을 읽어보니 한 때의 나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시골 생활을 경험하지 못했던 아이들에게 아름답고 서정적인 시골의 풍경과 생활을 느끼며, 우리친구 동해의 속마음에 따라 변하는 다양한 표정과 생각들을 재미있게 읽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