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중하고 아름다운 효 이야기 알면 힘나는 우리 문화 1
장수하늘소 지음, 임연기 그림 / 깊은책속옹달샘 / 2008년 2월
평점 :
품절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효를 중요시 했다.  그래서 ‘동방예의지국’이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그런데 비해 요즘은 달라도 너무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말이다.  자식이 부모를 죽이고, 부모가 자식을 죽이고.  옛날 선조들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들이 너무도 많이 벌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은 요즘은 자주 접할 수 없는 효에 관한 옛 선조들의 실화와 설화들로 구성되어 있다.  자신의 팔에 상처를 내어 그 피로 죽어가는 아버지를 살린 이율곡의 이야기, 아버지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항상 아버지의 똥을 맛본 손탁수의 이야기, 자신을 버린 부모를 살리기 위해 괴물과 결혼한 바리데기 공주의 이야기까지.  조금은 억지스러우면서도 우리의 조상들의 효를 얼마나 중요시 했는지를 알 수 있는 이야기 들이다.


효라는 것이 거창하고 어렵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부모의 걱정을 덜어 드리는 일부터 효를 시작했다는 손탁수의 이야기처럼 부모를 생각하는 작은 마음부터가 효의 시작이 아닐까한다.  내가 부모에게 효를 다 할 때, 내 자식에게도 효를 기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기에 나 스스로를 되돌아보게 된다.


세상이 변해도 변하지 말아야 할것이 있으니 그것이 바로 ‘효’.  효가 사라져 가는 요즘, 아이들에게 효에 대한 올바른 의미를 가르쳐 주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