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오랜 친구, 미생물 이야기 즐거운 과학 탐험 13
외르크 블레흐 지음, 염정용 옮김, 공미라 그림, 김사열 감수 / 웅진주니어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제목은 "인간의 오랜 친구, 미생물이야기" 이다.


미생물이 어떻게 인간의 친구가 될 수 있을까 라는 의구심으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세균, 미생물들은 우리가 실생활에서 눈으로 볼 수 없다. 그래서 항상 조심스럽고 심지어 위협감을 느끼는 존재가 아니던가.


이책은 "우리 몸에 생물들이 우글거리고 있다"라는 소재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생물들이 우리 몸에서 우글거린다니,실로 소름이 오싹할 만한 혐오감을 주는 주제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혐오감은 책 내용에서 방귀이야기와 벼룩이야기를 읽을때 즈음에 즐거움을 주는 주제로 바뀌어 있었고, 앞으로 이야기될 미생물의 실체를 어림잡을 수 있게 하였다.

 

여러 수많은 미생물들이 우리의 몸 안팍에서 서로의 영역을 지켜가며 살아가고 있고,
그중에는 우리의 몸에 유익한 세균도 있고 더러는 우리의 몸를 해롭게 하는 세균들도 있지만,
여기서 참으로 인상적인 것은, 이러한 해로운 세균들 일지라도 그들의 삶의 터전인 우리의 몸을 황폐화 시킬 정도로 해롭지는 않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몸이 황폐화된다는 것은 세균 자신들도 위태롭다는 것을 자연의 질서로 알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해로울지언정 우리 몸의 조화와 균형을 깨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 인간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암적인 존재라는 말이 생각나게 하는 대목이다.
가장 단순한 세균 조차도 알고 있는 이러한 자연의 질서를 우리 인간은 깨닫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지금까지의 내 상식은 항상 몸은 청결하여야 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들에 대해서는 조심하여야 하여야 한다는 것이지만,
조심하고 경계해야할 대상이 이런한 세균, 미생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우리가 항상 지켜야할 공존의 규칙은,
세균들과 우리 몸 사이의 균형과 조화를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지나친 청결은 우리 몸의 면역력을 떨어뜨릴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