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트 스팟 - 인생의 숨은 기회를 찾는 9가지 통찰
샘 리처드 지음, 김수민 옮김 / 북플레저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받아들고 처음 든 생각은 '예상보다 판형이 작다'였습니다. 큰 기대를 가지고 '스위트 스팟'을 읽기 시작하지도 않았습니다. 오히려 책 띠지에 있는 '전 세계 최초 국내 출간', '유튜브 누적 조회수 1억', '펜실베이니아대 인기 강의'라는 수식어를 보면서, 확실히 알 수 있는 내용은 외국에서 출간된 책이 아니기에 책으로 검증되지 않았구나라는 생각을 하면서 책을 읽었습니다.


책의 제목이기도 한 '스위트 스팟'이 도대체 뭔지 궁금해서 읽었습니다. 책을 다 읽은 지금도 저자가 말하는 '스위트 스팟'과 내가 받아들인 '스위트 스팟'이 동일하다고는 못하겠습니다. 책 날개에 있는 저자 소개 글에서는 '스위트 스팟'을 누구나 자신의 삶 속에서 가지는 인생의 가장 완벽한 순간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저는 저자가 말하는 '스위트 스팟'이 각자가 자신을 잘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상태를 말하고 있다고 느꼈습니다.


저자는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자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석좌교수라고 합니다. 저자의 유튜브 누적 조회수가 1억뷰가 넘는다고 하는데, 저도 저자의 강의 영상을 유튜브에서 접한 적이 있습니다. 주로 교수가가 던진 질문에 학생이 대답하는 내용과 그에 대한 교수의 코멘트를 짧게 편집한 영상이었습니다.



프롤로그 인생에서 중요하지 않은 때는 없다


Chapter 0 오리엔테이션

당신이 가진 최고의 이야기를 따라가라


Chapter 1 첫 번째 수업 : 호기심 Curiosity

질문이 이끄는 곳으로 가라


Chapter 2 두 번째 수업 : 자기 발견 Knowing Oneself

나를 찾는 여행은 인생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Chapter 3 세 번째 수업 : 자신감 Confidence

가장 큰 실패는 시도하지 않는 것이다


Chapter 4 네 번째 수업 : 편견 Breaking Biases

우리는 모두 우상파괴자가 되어야 한다


Chapter 5 다섯 번째 수업 : 길 바꾸기 Altering One's Path

문을 열어야 또 다른 문이 열린다


Chapter 6 여섯 번째 수업 : 리더십 Leadership Habit

리더십은 한 가지 방식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Chapter 7 일곱 번째 수업 : 관계 Relationship

함께 갈림길을 넘을 때 인연은 필연이 된다


Chapter 8 여덟 번째 수업 : 자산 관리 Resource Management

당신이 가진 것들이 당신을 흔들 수 없도록 하라


Chapter 9 아홉 번째 수업 : 끝까지 하는 힘 Perseverance and Finishing

인생은 해낸 일과 해내려고 했던 일의 총합이다


Chapter 10 마지막 수업 : 질의 응답 Q&A

다 하지 못한 이야기


에필로그 자신의 삶을 더 사랑하기를



책은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사이에 총 11개의 챕터가 있지만, 앞부분의 오리엔테이션과 마지막에 나오는 질의 응답을 빼고나면 총 9개 챕터에서 9개의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각각 하나씩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 챕터들이지만 챕터 전체가 하나의 흐름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아마도 저자가 강의실에서 강의했던 내용이나 유튜브 내용 중에서 책에 쓸만한 내용을 추려낸 후에 주제별로 재구성하여 편집했지 않을까 짐작합니다. 그래서인지 챕터 뿐 아니라 책 전체도 주제 안에 있기는 하지만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져 있지는 않습니다.


책 전체나 각 챕터가 하나의 흐름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는건 책에서 어떤 내용을 기대했는지 혹은 어떤 내용을 다루는지에 따라서 평가가 달라집니다. 파고들어야하는 주제를 다루거나 깊은 내용을 기대했다면 단점이겠지만, 꼭 그러지 않아도 되는 경우라면 오히려 장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전공서적이 아닌 이상 순서대로 읽거나 전체를 다 읽지 않아도 되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책의 내용이나 구성이 파고드는 식으로 되어있지 않다고해서 깊은 내용을 다룰 수 없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책 속에 한국에 대해서 상당히 많이 다루고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접한 내용은 주로 한국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내용이 많았지만, 저자가 한국 사회를 그런 식으로 긍정적으로만 평가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저자는 한국에 대해 관심이 있고 평가할만큼 충분히 알고 있는 외부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저자의 시선을 통해서 한국 사회의 장단점을 찬찬히 생각해볼 수 있는 지점이 많았습니다.


띠지에 있는 "삶은 질문에서 시작되고, 기회는 통찰에서 열린다"라는 문장에서 이 책의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책 속에서 정답을 찾을 수 있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스위트 스팟'이라는 책 전체가 삶에 던지는 좋은 질문이면서 동시에 기회를 열 수 있는 통찰을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40대에 접어들면 인생의 대부분이 결정되어 있고 평탄한 삶을 살 것 같지만 어디 그렇던가요? 가지고 있던 것들이 한순간에 없어지기도 하고, 점점 더 줄어드는 기회 앞에서 초조해지기도 하는 시기이지요. 그렇다고 무언가를 시작하기에 늦은 나이도 아닙니다. 인생이라는 여정의 반환점도 돌지 않은 시기에요. 여전히 무언가를 이룰 수 있는 나이입니다."


"저는 이 책을 통해 인생의 갈림길을 만나 고민하는 모든 사람에게 그들이 겪는 혼란스러움과 불확실성 속에서 자신만의 길을 찾고, 스스로를 이해하며, 인생에서 자신만의 균형을 잡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마음에 힘이 되는 하루 한 문장 영어 필사
위혜정 지음 / 센시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참 마음에 드는 책을 만났습니다. 중의적인 표현인 '마음에 드는'이라는 말에 대해 부연설명을 좀 해보자면, 내용도 내용이지만 물리적인 책 자체가 아주 마음에 듭니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판형의 책은 너무 매끄럽지도 그렇다고 거칠지도 않은 촉감의 겉면을 가졌습니다. '표지'라고 하지 않고 '겉면'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유는 필사를 위한 책이다보니 중철제본이 되어있는데 책의 앞뒷면과 달리 책등을 따로 감싸지 않아서 중철제본의 끈이 그대로 드러나 있기 때문입니다. 중철제본 덕분에 책 어디를 펼쳐도 완전히 반듯해집니다. 오른손으로 글을 적기 수월하도록 책 오른쪽에만 적는 자리가 배치된 것은 덤입니다.


1. Spring

세상의 모든 것이 시작되는 시간

2. Summer

인생이라는 황홀한 여름날을 만끽하는 시간

3. Fall

풍성함과 쓸쓸함이 공존하는 시간

4. Winter

무탈하게 한 해를 정리하는 시간


 <<마음에 힘이 되는 하루 한 문장 영어 필사>>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계절로 나뉘어있습니다. 작가의 말을 빌리면 '철 따라 다른 행복을 보듬기 위해 계절별로 구분해 매일 힘이 되는 문장들을 책 한 권애 챙겨 넣었다.'고 합니다. 각각의 계절별로 40일 그러니까 40개의 필사 구문이 담겨있습니다.


 120일 째, 그러니까 가을의 마지막 구문을 살펴보겠습니다.


What matters most are the simple pleasure.

Hapiness doesn't lie in the objects we gather around us.

To find it, all we need to do is open our eyes.


가장 중요한 건 작은 기쁨이야.

행복은 우리가 수집하는 물건에 있지 않아.

행복을 발견하기 위해서 필요한 건 눈을 뜨는 일 밖에 없어.


 미치 앨봄의 소설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에서 따온 '행복'에 대한 문장이 실려있습니다. 왼쪽편에 영어와 한글로 내용이 나와있고, 오른쪽에는 필사할 수 있는 여백이 펼쳐져있습니다. 보통 필사할 영어 문장은 책 제목처럼 한 문장인 경우가 많지만 두세문장인 경우도 제법 있습니다. 줄 수로는 세 줄 안팍이 대부분이지만 간혹 열 줄 가까이 되기도 합니다.


 오른쪽 페이지의 공간은 영어 문장을 한 번 필사하기엔 넘칩니다. 영어 문장을 두세번 쓸 수도 있겠지만, 자신만의 글을 함께 기록해도 좋겠습니다. 네 계절을 지나는 동안 <<마음에 힘이 되는 하루 한 문장 영어 필사>>와 함께 하고나면 책 속 문장에서 마음에 힘을 얻는 만큼 누군가에게 힘이 될 수 있는 글을 남길 수 있을듯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클로드로 책쓰기 - 책 쓰기를 위한 나만의 현명한 AI 활용 비법
황준연 지음 / 작가의집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기나 쓰기라는 주제의 책에는 항상 눈길이 갑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지만 이왕이면 더 잘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기 때문입니다. 어떤 일을 잘하기 위해서 가장 쉬운 방법은 누군가의 도움을 받거나 좋은 도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클로드로 책쓰기>>는 글쓰기를 위해서 AI의 도움을 받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크지 않은 판형의 <<클로드로 책쓰기>>는 130여쪽으로 두꺼운 편도 아니기 때문에 한 자리에서 단숨에 읽어낼 수 있습니다. 내용이 많지 않은 만큼 AI 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법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다는게, 오히려 한 번이라도 AI를 접해본 사람에게는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 목차를 보면 '클로드 기본 사용법'이라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해당 부분에서는 클로드와 어떻게 대화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프롤로그

1. 클로드를 만나다

2. 클로드 기본 사용법

3. 책 쓰기 과정별 활용하기

4. 장르별 특화 활용법

5. 주의사항과 윤리

에필로그


책을 읽으면서 많은 사람들이 AI의 도움을 받아서 글을 쓰고 있음을 알게되어서 놀랐습니다. 처음 AI를 마주했을 때 신기하다는 느낌은 받았지만, 그 뒤로 제대로 활용해본 적이 없었는데 누군가는 이렇게 잘 사용하고 있다는게 대단해보였습니다. AI의 활용 자체보다 오히려 저작권 등 법적인 관점이나 앞으로의 발전상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졌는데, <<클로드로 책쓰기>>를 시작으로 실질적인 활용을 해봐야겠다는 결심을 했습니다.


책에 소개된 많은 이들이 글쓰기에 AI를 활용하면서 동시에 AI 사용과 관련한 윤리적인 고민도 하고 있었습니다. 저작권 문제와 관련해서 실험 노트를 쓰듯이 모든 것을 기록하는 방법과 최종 창작물에 AI를 활용했다고 밝힐지 여부 등이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AI 자체가 발전하는 만큼 AI 활용과 관련된 저작권 등 윤리적인 기준이 정립되어야만 하겠습니다.


서두에 무언가를 잘 하기 위해서 가장 쉬운 길은 누군가의 도움을 받거나 좋은 도구를 사용하는거라고 했습니다. 클로드를 사용해서 글을 쓰는건 좋은 도구를 사용하는 것과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 중간 어딘가 즈음에 있습니다. AI는 이제 우리 곁에 있습니다. 어떻게 잘 활용할지 고민해야한다는 저자의 말이 계속 머릿 속을 맴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스도쿠 퍼즐킹 (스프링) - 한 권이면 끝! 두뇌근육을 극대화하는 5단계
개러스 무어 지음 / 시원북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스도쿠를 접한게 언제인지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습니다. 확실하진 않지만 창고정리 게임과 함께 스마트폰 이전에 사용하던 핸드폰으로 처음 접했던것 같습니다. 창고정리 게임도 그렇고 스도쿠도 그렇고 둘 다 확실한 해법이 있다는 점이 시간을 들여서라도 풀고싶게 만듭니다. 이런 면은 수능 이전 까지 즉 고등학교 과정 까지의 공부와 시험도 마찬가지입니다.


<<스도쿠 퍼즐킹>>을 지은 게리 무어 박사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머신 러닝을 박사 학위를 받았다고 합니다. 세계 퍼즐 연맹의 이사였고, 현재 영국 퍼즐 협회 이사입니다. 지은 책 대부분은 퍼즐 책이고, 퍼즐 책이 아닌 경우에도 <<어른을 위한 두뇌 놀이 책>>, <<기억력 천재 게으른 뇌를 깨워라>>, <<40일 만에 기억력 천재가 되다>>처럼 두뇌나 기억력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스도쿠 넌 누구니?

스도쿠를 풀면 이런 효과가!

스도쿠 기본 규칙

스도쿠 푸는 요령 3가지

Level 1-쉬움(Easy)

Level 2-중간(Moderate)

Level 3-까다로움(Tricky)

Level 4-어려움(Hard)

Level 5-익스트림(Extreme)

정답


<<스도쿠 퍼즐킹>>의 책 구성은 간단합니다. 책 앞쪽에 스도쿠 소개와 기본 규칙 및 간단한 요령이 나와있습니다. 책의 본 내용에 해당하는 스도쿠는 '쉬움, 중간, 까다로움, 어려움, 익스트림' 이렇게 난이도를 기준으로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놨습니다. 각 난이도별로 40개의 스도쿠가 포함되어있고, 보너스 문제도 있다고 합니다. 





<<스도쿠 퍼즐킹>>이라는 책을 접하고나서야 스도쿠가 왜 스도쿠가 되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일본식 이름을 가지고 있기에 막연하게 일본에서 시작한 퍼즐인가 했는데, 스도쿠의 고향은 18세기 스위스라고 합니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알파벳 배열로 만든 '라틴방진' 배열표에서 알파벳 대신 1부터 9까지의 숫자를 넣고 '넘버 플레이스'로 이름을 바꾼게 그 시작입니다. 이후 일본에서 유행하면서 1984년 일본의 니코리 출판사에서 나온 퍼즐 잡지에서 스도쿠라는 이름을 처음 사용했다고 합니다.


책에 있는 모든 퍼즐을 다 풀 수는 없어서 난이도별로 접근을 해봤는데, 특이한 점이 있었습니다. 보통은 스도쿠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주어지는 숫자의 개수가 줄어들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스도쿠 퍼즐킹>>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얼핏 봐서는 쉬움과 익스트림을 구분하기 힘들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스도쿠를 풀면서 빈 칸을 채워나가다 보면 제시된 숫자가 많은데도 익스트림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스도쿠를 좋아합니다. 스마트폰에도 스도쿠 어플을 깔아두고 종종 풀어봅니다. 지금 눈 앞에 빈 칸이 많아도 결국에는 해답이 있다는걸 알기에 안심하고 집중할 수 있습니다. 당장 눈 앞에 있는 종이에 빈칸이 몇 개 안되보여도 단숨에 여러 빈칸을 채울 수 없다는걸 알기에, 한 칸씩 숫자를 제하거나 정하면서 정답을 찾아갑니다.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다시, 행복을 풀다 - 구글X 공학자가 찾아낸 불안을 이기는 행복 코드
모 가댓 지음, 강주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행복을 풀다>>라는 제목만 봤다면 책을 읽지 않고 넘어갔을텐데, 책 표지의 '구걸X 공학자가 찾아낸 불안을 이기는 행복 코드'라는 부제를 읽고는 그럴 수 없었습니다. 도대체 공학자가 행복이라는 이질적인 두 단어를 보면서 무슨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갈지 궁금해졌습니다.


저자인 모 가댓은 전 23년간 구글에서 일한 구글X의 신규사업개발총책임자였습니다. 2014년 의료사고로 아들을 잃은지 17일만에 글을 쓰기 시작해서 처음 쓴 책이 <<행복을 풀다>>였습니다.

이후 <<AI쇼크, 다가올 미래>>를 썼고, 이번에 <<다시, 행복을 풀다>>를 출간했습니다.


저자소개를 읽고 <<행복을 풀다>>는 <<다시, 행복을 풀다>>와 내용이 얼마나 겹칠지 궁금해졌습니다. 검색을 해보니 한글 제목은 비슷했지만, 원서 제목은 차이가 났습니다. <<행복을 풀다>>는 Solve for Happy, <<다시 행복을 풀다>>는 That Little Voice In Your Head입니다. 번역판 목차를 비교해봐도 겹치지 않습니다. 두 책 모두 '행복'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기에 내용이 중복될 수는 있지만, 별개의 책이라고 봐야할듯합니다.


프롤로그

1장 생각과 행복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1부 심리적 고통의 원인

2장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잘못된 입력

3장 우리와 함께하는 세 가지 방어기제

4장 반복할수록 더 고통스러워진다면

5장 양극단에 있는 두 뇌

6장 모든 불행의 근원, 말 말 말

1부 요약


2부 생각의 부작용

7장 감정을 느낄 수 있는가

8장 우리 행동을 지배하는 연금술

9장 생각의 순환 고리를 끊으려면

2부 요약


3부 더 행복한 삶을 향한 경로

10장 현실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1장 당신 안의 공학자: 행복하다고 생각하라

12장 당신 안의 예술가: 몰입을 배워라

13장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이기적인 선택

3부 요약


옮긴이의 글



<<다시, 행복을 풀다>>는 총 3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이하게 1부가 시작하기 전에 '생각과 행복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라는 제목의 1장이 나옵니다. 뒤이어 각각 다섯 개, 세 개, 네 개의 장을 가지고 있는 1,2,3부가 나오는데, 각 부가 끝에 저자의 요약이 붙어있습니다. 프롤로그와 1장에 따르면 저자는 책을 순서대로 읽기를 원합니다. 단지 순서대로 읽기만 할 뿐 아니라 책에 나오는대로 해보기를 권하는데 저자의 표현을 빌리자면 '존재하고Be - 학습하고Learn - 행동해야Do' 진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앞서도 언급한것처럼 처음에는 공학자가 무슨 행복에 대한 책을 쓰나 하는 시선을 가지고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저자가 공학자기에 나올 수 있는 행복에대한 표현이 나오는데, 적어도 제 입장에선 그 편이 더 이해가 잘되는걸 보면서 좀 더 열린마음으로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우리 행복은 삶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한 인식과, 삶이 어떤 모습이어야 한다는 기대치와 희망 사항 사이의 차이보다 크거나 같다.'

'행복 >= (당신 삶에서의) 사건들 - (당신 삶은 어때야 한다는) 기대들'


위의 문장과 수식은 둘 다 행복에 대한 설명입니다. 앞에 나온 문장으로 된 행복에 대한 설명을 읽을때는 한 번에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나중에 수식으로 표현된 행복을 보고서야 앞에 나온 문장이 이런 뜻이었다는걸 알 수 있었습니다. 


저자는 이 책을 '컴퓨터과학과 신경과학의 융합에 대해 명쾌하고 이해하기 쉽게 쓴 책'이라고 주장합니다. 사실 이 대목에서 저자가 공학자라는 사실 이상으로 이질감이 들었습니다. 책 중간에는 '영적'이라는 표현까지 나오다보니 우려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습니다. 어찌되었건 저자는 우리 뇌가 예측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뇌를 움직이기 위한 '명확하고 간결한 사용자 설명서'를 만들 수 있다고 봅니다. <<다시, 행복을 풀다>>는 일종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명확하고 간결한 사용자 설명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행복이 생각에 달려있다는 저자의 주장을 큰 틀에서는 동의합니다. 아들을 잃은 슬픔을 겪은 후 스스로 만든 행복 모형을 1,000만명에게 알리려했던 저자의 노력이나, 10억명이 긍정적인 폰지 게임을 하게 된다면 세상을 바꿀 수 있을꺼라는 저자의 주장을 완전히 부정하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그런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다시, 행복을 풀다>> 속에 담겨있는 공학자라는 저자의 경력이 곳곳에서 떠오르는 설명이 흥미로웠고, 여러가지로 유익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