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야사록 1 - 실록이 전하지 못하는 놓쳤던 조선사
최범서 지음 / 가람기획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봄기운이 완연한 삼월의 첫 월요일 오후다.

햇살이 이토록 좋은날에 책속에 파묻혀 시간을 보냈다는 것도 

활발함을 감추지 못하는 내게 어찌보면 곤역이기도 하리라.

하지만 긴 방학을 보내고 개학을 하는 아들을 학교보내고 최대한 빠른시간에 집안일을 끝내고

책을 붙들지 않을 수 없었다.

야사록이지 않는가.

평소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는걸 누구보다 싫어하는 나의 성격상 야사록에 관심을 두는것도

어찌보면 아이러니할 수도 있다라고 나스스로가 고개 갸우뚱할 수 있는 일이지만

평소 책을 읽으면서도 소설을 쓰는 작가들을 존경해마지 않았다.

소설, 그 중에서도 역사 소설을 쓰는 작가들을 그 어떤 작가들보다 위대하다고 여기는 나로서

조선왕조 500년의 뒷담화 라는 요지만으로도 이 책이 나를 끌어 당겼다고 할 수 있다.

 

실록이 전하지 못하는 놓쳤던 조선사는 무엇일까.

우리는 두 가지의 기록을 통해서 역사를 알 수 있다.

정사와 야사가 바로 그것이다. 그것들로 인하여 우리는 오랜 역사를 통한 우리 민족의 삶을 볼 수 있다.

야사는 정사와 대립되는 의미로 쓰인, 즉 사찬의 역사를 말한다.

정사는 관에서 편찬한 역사이다.

야사를 주로 풍속이나 전설로 알고, 도청도설, 즉 유언비어쯤으로 아는 경향이 있는데,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정사의 결함을 보완해주기도 하고, 오류를 시정해주기도 하며, 때로는 정사보다 당대의 시대상을 더 잘 반영하고 있다.

그리하야 사료의 가치가 정사보다 더 돋보일때가 있는 것이다.

역사의 기록이 강자의 편에서만 쓰이고 남아 있는게 사실이지 않는가.

그런 의미에서 운곡 원천석의 야사가 불태워졌다는 것은 너무도 안타까운 일이다.

​자손들 또한 화를 당하지 않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귀중한 역사의 기록을 불길에 던져버릴 수 밖에 없었던 심정은

어떠했을까 생각하니 착잡하기까지 하다.

 우리의 과거가 그랬고 (강자의 편에서만 쓰여졌다는 점),

우리의 현재, 미래까지도 그렇게 되는 일은 없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이 책은

정사로만 알고 있는 조선왕조 500년의 결정적 사건들에 대한 통렬한 뒷담화가 있다는 점이다.

내가 학교에서 배운 역사 그대로, 때론 사극을 통해  알고 있는 역사의 이야기들을 ​야사로 비교해가면서

알게 된다는 것이다.

어떤 것이 진실이고, 어떤 것이 거짓인지는 아이러니하기도 하겠지만

때론 정사만이 진실이 아닌 어떤 의미에서 역사의 기록은 그 중요성에 따라 야사에 의존해야 할 역사의 순간들이

많다는 데 야사의 가치가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우리가 학창시절 외운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

제1대 태조 시대부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시대를

다루고 있다.

 

어쩌면 우리 역사는 피비린내 나는 전쟁터라고 할 수도 있고, 부모자식간의 패륜도 있고,

정치라고 하면 머리부터 아픈 게 현실이다.

하지만, 그런 역사까지도 우리의 역사이기에 무시할 수 없는게 사실이지 않는가.

역사를 모르고 미래를 가늠할 수 없듯이, 우리의 역사도 제대로 모르면서 어찌 떳떳할 수 있겠는가,

어제가 3.1절 96주년이었다.

여전히 일본은 과거역사에 대해서 반성할 줄 모르고, 6.25 세대가 아닌 우리들은 남북이 왜 이토록

오랜 세월동안 떨어져 지내야 하는지에 대한 현실성이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는 대한민국 국민이기에 이땅에 살고 있는 한 우리의 역사에

조금이나마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하지 않겠는가 생각해본다.

우리나라의 그 어떤  시대보다도 가까운 조선왕조 500년의 숨겨진 이야기에 관심을 집중해 보자.

*<조선왕조야사록>은 사건과 인물 본위로 <연려실기술>을 토대로 각종 야사를 참고하여 재구성했다.

사건과 인물 위주로 엮은 것은 정사에 기록된 사건과 인물이 야사에서는 어떻게 기록되어 있는지 비교해보는 것도

큰 의의와 흥미가 있을 것이다.

책이 미래다.
나는 미래를 준비한다.그리고 언젠가 나에게 기회가 올 것이다.
blog.naver.com
본문으로 이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