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다, 우리는 꽃필 수 있다 - 김별아, 공감과 치유의 산행 에세이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별아 작가의 책을 읽은 경험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데

이 책 역시도 나에게 주는 깨달음은 클것이라 여겼다.

역시 프로 작가구나 했다.

글재간이 없는 내가 김별아 작가의 글을 읽고 작가만이 풍길 수 있는 언어의 유희는

감히 따라갈 수도 없는 미지의 경지에 있는 듯 했으니까.

역시나 이 책 또한 내게 주는 배움은 놀ㄹ움 그 자체였다.

요즘의 현실 문제들의 끝은 어딘가 싶을 정도로 사회 혼란은 끝이 없고 각개개인의 삶들은

간절한 치유를 원하듯 외치고 싶은 욕구가 가득하리라 생각된다.

나 자신만 되돌아봐도 알 수 있듯이....

김별아 작가의 소설을 읽는맛하고는 확실한 차이가 있는 듯 하다.

(그전까지 나는 김별아 작가의 책은 '소설' 만 읽었었기에, 느끼는 감정이다.)

에세이는 작가의 일상의 느낌을 부담없이 편하게 나와 똑같구나, 공감하면서 읽을 수 있으니까,

작가가 백두대간을 산행하면서 느낀 생각과 함께한 사람들, 공감의 마음,

어린 시절, 가족, 친구들 이야기까지도 고스란히 들어 있어서

사람들 속에서 함께 살아가면서 느끼고 깨닫는 무수한 사고의 늪을 함께한다는 공감감,

나의 뼈속까지도 작가의 생각이 내 생각인냥 그렇게 내게 물들어갔다.

(솔직히 '백두대간' 의 확실한 어원도 몰랐었는데, 작가 덕분에 배우고 익혀본다.)

백두대간의 '백두' 는 백두산의 '백' 자와 지리산의 다른 이름인 두류산의 '두' 자가 합쳐진 이름이란다.

*작가가 아니면 그 누가 이런 표현들을 쓸까?

역시 작가는 부럽기 그지 없다.

*김별아 작가의 언어 구사력을 짚어 본다면

(대간꾼, 나부죽이 엎드려, 도글도글, 푸닥지게, 말긋말긋한, 둔중하게, 눈을 홉뜨고, 아삭아삭하다,

오달지게 힘들었지만, 짭짤찮다는, 아버지를 빼쏜, 어슬녘 산기슭, 도동실 하늘로, 치도곤을 먹였다,

진창길, 독한 칼바람이 뺨을 철벅철벅 갈기며 몰아친다, 울울창창한, 서름하기만 하다, 앙버티는, 강강하다,

감탕길, 이런저런 추억이 물밀어 들어 아프다,애면글면, 꺼둘리고, 낙낙할지,수런수런하다,

고무락고무락, 분분히 피어나리라, 시름겹게,해시시해진다,,,,,,,,

또한 작가답게 좋은책 소개도 많이 해줬다. 작가들도,

*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벽초 홍명희 대하소설-임꺽정, 인류학자 로렌 아이슬리-과학 에세이 -광대한 여행,

북송 도원선사의 역사서-경덕전등록, 이성부 시인, 한국 1세대 여성 산아가인 남난희,

유정하-유정하의 서울대 말하기 강의, 에드워드 데시-마음의 작동법,김원일 -사랑의 길,

소설가 이청해-빗소리, 정약용 - 주역심전,역학서언, 소설가 홍양순, 유시춘 선생,

육당 최남선-조선의 상식, 코오롱 등산학교 이용대 교장-등산교실,니코스 카잔차키스 소설-그리스인 조르바,,

또한 순간순간 그때그때의 감흥과 맞물려 떠오른 '시' 들을 들려줬는데

나에게까지 전달되는 따듯한 마음과 눈시울 붉어짐은 나한테도 그런 추억이 있었지하는 잔물결로 밀려왔음을,,,

*본문에서 소개되는 시

1.이원규 시 -행여 지리산에 오시려거든(25쪽~26쪽)

2. 도종환 -흔들리며 피는 꽃36~37

3. 안도현- 겨울 나무들한테 배운다 48

4. 곽재구 - 바닥에서도 아름답게 60~61

5. 반칠환 - 새해 첫 기적 71

6. 최승호- 하루로 가는 길 82

7. 정현종 -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 94~95

8. 박노해 -삶의 나이 104~105

9. 고정희- 더 먼저 더 오래 116

10. 윤제림 -어린 날의 사랑 126~127

11. 천양희 -지나간다 138~139

12. 신현림 - 꿈꾸는 행복 150

13. 정희성 -태백산맥 163~164

14. 이성선 -문답법을 버리다 176

15. 이성복 -나는 저 아이들이 좋다 188

16. 이성부 -좋은 일이야 199~200

17. 나희덕 고통에게2, 210~211

18. 함민복 - 몸이 많이 아픈 밤 220~221

19. 유하 - 그리움을 견디는 힘으로 232

20. 장석주 - 동행 242~243

21. 문정희 - 한계령을 위한 연가 253~254

22. 최상호 - 내 아들아 266

23. 박재삼 -산에서 278~279

특히 도종환의 흔들리며 피는 꽃,천양희의 지나간다가 특히 더 가슴에 와 닿더군요.

*흔들리며 피는 꽃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중략

젖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빛나는 꽃들도/다 젖으며 젖으며 피었나니/

바람과 비에 젖으여 꽃잎 따뜻하게 피웠나니/젖지 않고 가는 삶이 어디 있으랴/

*지나간다

바람이 분다/ 살아봐야겠다고 벼르던 날들이 다 지나간다/세상은 그래도 살 가치가 있다고/

소리치며 바람이 지나간다/ 중략

가치있는 것만이 무게가 있다고 믿었던 날들이 다 지나간다/사소한 것들이 그래도 세상을 바꾼다고/소리치며 바람이 지나간다/

바람소리 더 잘 들으려고 눈을 감는다/ '이로써 내 일생은 좋았다'고/말할 수 없어 눈을 감는다/

* 이 책을 통해 배우는 기쁨

쪽동백은 겨울눈이 두 개씩 붙어 돋는다

얼레지 꽃말-바람난 여인

*공감의 마음

*우리가 다할 수 있는 최선은 순간순간을 놓치지 않고 영원처럼 사는 것뿐이다.(85)

*영원히 살 것처럼, 죽음이란 영영 남의 일인 것처럼.

삶의 노다지란 노다지는 다 놓쳐버리고 쭉정이 같은 욕심과 허상만을 붙든 채 그마저 잃을까 봐

애면글면 안달복달한다.(92쪽)

* 내가 나이를 먹었다고 느끼는 것은 눈가에 자글자글한 주름이나 무심히 들춘 머릿속에서

흰머리를 발견할 때가 아니다. 나보다 어린 사람들이 다 안쓰럽고 애틋해 보이고,

그들에게 한없이 미안해질 때다.(118)

*가슴에 와 박히듯 멋진 구절

*나무와 바위와 가끔씩 얼굴을 비추는 창백한 해가 흔들리고 비틀거리면서도 가야만 하는 길을 알러준다

*이또한 지나가리라! -솔로몬

Soon it shall also come to pass!

*인생에는 2가지 길이 있다. 하나는 기적이란 없다고 생각하며 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모든 것이 기적이라고 생각하며 사는 것이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사랑하는 나 자신을 다독이며 나 자신을 위로하며 나 자신의 마음을 치유하고싶다면

김별아 작가의 이 책을 읽어보기를 권해본다.

마음까지도 위로가 되고 얼굴 가득 햇살이 퍼지듯 미소가 번지는 예쁜 그림이,

공감의 시들이 함께해서 더 좋은 책이다.

한동안 이 책의 좋은 글귀들과 내 가슴에 박히듯 나를 위로해주는 좋은 시들에

푹 빠져 지낼거 같다.

*역시 잘 만들어진 좋은 책이다. 역시 김별아답다, 여기 해냄 출판사답다.

해냄 책을 읽으며 늘 느끼는 생각이지만 대접받는 기분이 든다.

*함께 읽으면 더 좋은 책

김별아의 미실:

http://blog.naver.com/pyn7127/120152934759

김별아의 채홍:

http://blog.naver.com/pyn7127/120148896958





height="91" marginHeight="0" src="http://mixsh.com/widget/new_mixup/loader_plugin.html?domain=book.interpark.com/blog/gnslalslakal&media_type=10&guid=book.interpark.com/blog/gnslalslakal/2775547&regts=20120617190204&showhitcnt=1&platform=11" frameBorder="0" width="402" marginWidth="0" scrolling="no">


김별아, 에세이, 괜찮다우리는꽃필수있다, 마음이치유되는좋은책, 해냄책을만나면대접받는기분이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