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하는 힘 - 당신의 문제 해결력을 키워줄 8가지 실행 키워드
이남석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천재와 범인의 차이는 문제 해결능력이다.

 

우리는 천재가 보통 사람과 확실히 다른 존재라고 믿고 싶어한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심리적 비밀이 숨어있다.

천재의 능력을 타고난 것이라고 생각해야 평범한 우리의 자존심이 그나마 덜 상처받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학교에서 1등하는 학생을 보며 아주 특별하다고 믿으면

사회적 비교선상에 서지 않음으로써 치열한 경쟁을 할 필요도 없고,

그 결과 상처 받을 일도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천재가 처음부터 천재는 아니었다.

어떤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범인에서 천재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았다.

 바로 문제해결능력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우리 또한 이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다면 새로운 기회를 만드는 힘을 얻게 될 것이다. 

 

문제 해결력은 훈련으로 키울 수 있다.

 

우리는 직장과 삶 속에서 작거나 큰 문제들과 만난다.

 그 문제들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성장을 거듭한다.

 어떤 문제를 어떻게 풀어 나갈 것인가? 그 능력을 키워줄 8가지 실행 방법을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다.

 설명과 더불어 에디슨과 라이트 형제, 괴테, 도널드 트럼프 등 해당 분야에서

 인정받은 다양한 인물들의 사례를 들어 '해결하는 힘'을 보다 구체적으로 느끼게 한다.  

 

*진정한 발견은 긴 항해 끝에 신천지를 찾는 일과 같은 것이 아니라,

   매일 접하는 것이라도 다르게 볼 줄 아는 것이다.

              마르셀 프루스트(1871~1922, 프랑스 작가)

* 인간의 지식은 모두 직관으로부터 시작하여 개념으로 나아가서 아이디어로 끝난다.

       임마뉴엘 칸트(1724~1804, 독일 철학자

적절한 협력자를 찾아서 그 사람들에게 적절한 아이디어가 있다면 그 다음은 일사천리다.

  내 작업에서 협동이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물론 서로 생각의 파장이 비슷하면서도 같은 작업을 원하는 사람을 찾아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마빈햄리시(1944~, 미국 음악가)

* 바람이 불지 않을 때 바람개비를 돌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앞으로 달려 나가는 것이다.

      앤드류 카네기(1835~1919, 미국 기업가)

*논리는 형식화되어 있어서,

 흔히(창의성의 주요 특징인) 유연한 사고를 방해하는 것으로 오해한다.

  하지만 논리에 바탕을 둔 최고 수준의 비판적 사고는 창의성과 통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베레니스 블리돈(미국 교육학 박사)

 *정신과 감정.

 이성과 감성은 필연적인 친화력으로 서로를 끌어당기며,

  이 친화력에 의해서만 전혀 다른 것들이 결합될 수 있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1749~1832, 독일 문학가



*우리들은 대부분 초라한 옷이나 가구 따위를 부끄러워한다.

  하지만 그보다는 초라한 생각과 엉터리 철학을 부끄러워해야 한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879~1955, 물리학자) 

* 모순은 모든 운동과 생명력의 근원이다.

      헤겔(1770~1831, 독일 철학자)

 

 

이처럼 문제해결 절차와 바른 독서의 절차는 공통점이 많다.

그 이유는 바로 사고력, 즉 생각하는 능력이 두 과정의 핵심기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독서를 꾸준히 한다면 문제해결 능력이라는 유익한 열매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문제해결력은 누구나 배울 수 있다.

 어쩌면 이미 당신도 어느 정도의 문제해결력은 가지고 있다.

단지 잘못된 학습 방법과 노력 부족 때문에 사용을 하지 못한 것뿐이다.

적당한 방법과 그에 맞는 노력을 할 경우 얼마든지 창의적으로 문제 해결하는 힘을 찾을 수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각자가 처한 문제뿐 아니라 사회적 문제까지도

풀 수 있는 해결력을 갖추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