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뇌 - 독서와 뇌, 난독증과 창조성의 은밀한 동거에 관한 이야기
매리언 울프 지음, 이희수 옮김 / 살림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독서의 생물학적 측면에서의 작용

- 인류의 기적적 발명인 독서가 사람에게 생물학적 측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고 재능을 끌어내는 방법을 찾는다.

독서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를 통해 독서의 가치를 안다.

인간은 책을 읽게 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었다.

역사 속에서 살펴보면 사회, 문화적, 경제적 필요에 의해 글이 발생되고 사용함으로써

 우리의 두뇌는 독서에 적당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었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단순한 행위인 것 같지만 그 과정은 생물학적 측면에서 경의로운 일이다.

문자가 시각체계를 통해 후두엽으로 가고 다시 전두엽으로 이동하면서 다양한 두뇌 활동을 촉진한다.

 이는 두뇌의 프로세스를 재편성하며 기존 정보들과의 연결을 통해 지적 성숙의 결과를 만들었다. 

 

 PART 1 뇌가 글을 읽게 된 역사

1. 뇌와 글의 만남

2. 글을 통한 뇌의 발달

3. 글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걱정




첫째, 문자 언어의 불가변성

둘째, 문자 언어는 기억을 파괴한다

셋째, 언어에 대한 통제력 상실

PART 2 뇌가 독서를 배우는 방법 

1. 입문 단계의 예비 독서가

2. 초보 독서가

3. 해독하는 독서가

4. 유창하게 독해하는 독서가

5. 숙련된 독서가

PART 3 뇌가 독서를 배우지 못하는 경우

1. 난독증이란?

2. 난독증의 이유

3. 난독증에 대한 새로운 이해

4. 난독증 해결의 가치

 

- 독서의 결과는 시기와 강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독서하는 대상의 이해에서부터 출발해야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읽기와 쓰기를 익히는 데 열 살부터 약 3년이 소년에게 적절한 기간이다.

소년이나 부모 중 누구도 좋아하거나 싫어한다고 해서 이 기간을 마음대로 연장하거나 축소할 수 없다.

당연히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정도까지 문자에 대한 학습을 꾸준히 계속해야 한다.

하지만 정해진 기간 내에 자연스러운 발전의 속도가 느릴 경우,

빠르고 능란하게 수행하는 능력을 완성하도록 강요해서는 안 된다.

- 플라톤 -

 

많은 부모들은 아이들이 책을 읽으면 좋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학습에도 도움이 되고 지능과 창의력 계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기 교육 열풍과 더불어 어릴 때부터 책을 읽어주며 글을 빨리 배우고 읽기를 무의식중에 강요한다.

일부 탁월한 결과를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모든 아이들이 부모들이 원하는대로 되지는 않는다.

아동 심리학자 데이빗 엘킨드는 우리 사회가 아이들에게 일정한 학업 수준을 달성하도록

강요하는 경향에 대해 『기다리는 부모가 큰 아이를 만든다』라는 통찰력이 돋보이는 책을 썼다.

플라톤의 이야기처럼 억지로 강요하는 것보다 생물학적 측면을 고려한 독서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핀란드의 아이들은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글을 읽고 쓰기를 배우는데도 세계의 어느 나라보다 학업성취도가 우수한 것을 보면

 우리의 독서 방법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를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