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말아요, 티베트 - 히말라야 넘어 달라이라마를 만나다 맛있는 책읽기 6
정미자 지음, 박선미 그림 / 책먹는아이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나라를 잃었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요?

자유가 없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이 책은 중국의 지배를 받고 있는 티베트인들의 나라 잃은 슬픔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 옛날 우리나라가 일본의 침략으로 나라 잃은 슬픔을 안은채 독립운동을 하며 나라를 되찾고자했던

김구 선생님을 비롯한 많은 독립운동가가 생각나는 건 같은 아픔을 겪은 역사 때문이겠지요.

티베트의 자유를 외치던 사람들이 중국의 무력으로 진압돼서 많은 티베트 사람들이 죽거나 소리 소문없이 사라져 버린 일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시위대를 향해 발포한 중국에 세계가 분노했던거 기억하시나요?

티베트인들이 티베트를 떠나 히말라야를 넘어 달라이라마가 있는 인도를 향해 머나먼 여정을 떠납니다.

중국 공안당국에 걸리면  어떻게 되는지 잘 알면서도...... 고산병으로 힘들어 지치고 혹독한 추위 앞에서 주검이 되는 가운데에서도

자유를 갈망하며 나라를 되찾는 독립이 얼마나 소중한것인지

(우리의 아픈 과거사도  함께 떠오르는것은 같은 아픔을 겪었기 때문이겠지요.)

 

 

희말라야를 넘어 망명의 길에 오르는 티베트인들과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싸운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를 찍기 위해

상해임시정부 청사를 촬영하고, 우연히 아들 보건이와 함께 히말라야를 넘어 망명길에 오르는 티베트인들과 함께 동행하는

다큐멘터리 감독 정진씨,  후발대로 히말라야를 오르다가 티베트인들을 발견하고 현장을 촬영하게 되는데,

이 동화는 히말리야 베이스캠프에 있는 한 외국 카메라맨이 총격 현장(중국 공안당국)을

우연히 담아 국제뉴스에 내보내게 됨으로 인해 전세계에 중국의 만행이 아려지게 된 사건을  동화로 재구성한 책이다.

이 책을 통해

티베트 말과 우리말의 비슷한점도 배우고 여러가지 상식도 배우게 됩니다.

*투제체- 고맙습니다(티베트 말)

*엉덩- 엉덩이

*날씨-남시

*엄마 아빠= 엄마 아빠(신기하게도 ’엄마 아빠’ 가 똑같다네요.)

*마니차(경전이 든 수레)

*암치(티베트 의사)

*오체투지-두 다리, 두 팔, 머리가 땅에 닿는 절

*고산 증세

 :산소가 적어서 숨쉬기가 힘들고 머리도 깨질듯 아프다. 피를 묽게 만드는 약을 먹거나 물을 계속 마셔야 한다.

 :높은 지대에서는 기압과 낮은 온도 때문에 기계까 자주 고장을 일으킨다

*참파-볶은 보릿가루에 버터와 차를 넣어서 반죽한, 티베트 사람들의 주식

 (맛은 미숫가루와 비슷하지만 조금 더 고소한 편)

*카닥- 하얀 스카프(티베트에서 카닥은 마음을 전하는 상징)

*야크- 얼굴이 트지 말라고 아이들의 얼굴에 야크기름을 발라준다.

  (야크-티베트인들이 즐겨먹는 고기)

 

*티베트 망명정부는 공식적으로 중국에 티베트 독립을 요구하지 않는다하네요.

독립 때문에 너무나 많은 티베트 사람들이 희생당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랍니다.

티베트 망명정부가 원하는 것은 종교와 문화가 존중될 수 있는 자치권을 보장해 달라는 것이라 합니다.

(지금 티베트 사람들은 대부분 가난하고 힘들게 살고 있지만, 중국 사람들은 티베트의 상가와 빌딩들을 소유하고

영혼의 땅 티베트를 퇴폐문화와 관광거리로 전락시키고  티베트의 말과 역사를 없애고 중국 말과 역사만을  강요하고

있기에 티베트 사람들이 목숨을 걸고 히말라야를 넘을 수밖에 없는 이유랍니다.)

티베트인들의 눈물겨운 히말라야 망명의 길에 눈시울이 붉어지는 이유는 우리나라 또한 아픔의 역사를 겪었기 때문이지요.

*달라이라마가 흘린 눈물은,

티베트의 종교, 문화, 역사와 말을 간직해서 자유와 평등 속에 책임감 있는 민주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

마음 속에 이미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 수 있는 뜨거운 사랑과 자비를 가지고 있기에 폭력이 아무리 강해도

사랑과 자비로 뭉쳐진 자유 의지는 꺾을 수 없다는 것

*나라 잃은 서러움, 죽음에 대한 공포속에서도 꿈과 웃음을 잃지 않는 티베트 사람들에게

 평화로운 마음으로 세상을 보는 방법을 배우게 될것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되돌아 보게 하는 책, 우리 어린이 친구들이 꼭 읽어보기를 권장해 봅니다.

*35쪽 9째줄 보건이가 얼결에 (X)  잠양을 보았다. ☞ 보건이가 얼떨결에(O) 잠양을 보았다.

 *해질녘 히말라야는 금빛 가루를 뿌려놓은 것처럼 아름답게 빛난다네요.

 

프리 티베트! (Free Tibet!)

대한민국이 일본의 지배에서 벗어난 것처럼 티베트도 중국에서 벗어나 어엿한 독립국으로 다시 태어나기를

간절히 기원해본다.

 

http://www.withblog.net/campaign/link.php?p=ljMOjinbGS%2BYnk3bD%2FLzL5Pfm4dhB2W%2F90dEYljbavE1d6jYdhiEvhzwY3nk7I33" target="_blank"> http://www.withblog.net/campaign/img.php?p=ljMOjinbGS%2BYnk3bD%2FLzL5Pfm4dhB2W%2F90dEYljbavE1d6jYdhiEvhzwY3nk7I33" style="border: 0;"/>http://www.withblog.net" target=\"_blank\"> http://www.withblog.net/common/images/bn_withblog.gif" style="border: 0;"/>

(위드블로그 참여)
http://blog.naver.com/pyn7127   

네이버블로그 클릭해서 보세요. 많은 사진첨부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