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높이를 키우는 초등 철학 교과서 : 논리.지식 편 초등 철학 교과서 시리즈 1
임병갑 지음 / 동녘주니어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 슬범이와 친구들, 가족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일과 사건들을 통해

대화와 토론을 통해 많은것을 배울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의 제목처럼 '철학 교과서' 라고 해서 따분할거라는 생각은

애시당초 안 해도 되는 책이다. (편견에 지나치지 않는다는 생각은 읽는내내 들었다.)

사건해결과 추리과정이 있어 탐정책을 읽는 기분도 들 것이며, 고래 이야기에서 환경을 생각하게

될 것이고, 과학적인 접근 방식에서 실험정신을 키울 수 이씨을 것이며 사회문제, 국어실력 향상,

사고력 증진, 변별력, 논술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이책을 읽다보면 자연스레 나자신의 생각의 높이가 커가고 있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이 책은

똑같은 것을 보면서도 왜 서로 다른 말을 하는가에 대해 생각 해 보자는데서 출발한다 (들여다보기)

저마다가 가진 생각, 경험, 이론, 지식, 믿음이 다르기 때문에 사물은 다르게 관찰 되는 것이다.

들여다보기에서 서로 다른 견해를 가졌다면 생각해보기에서 그에 따른 나만의 생각으로 사고력을 키워도 본다.

 

스무고개 놀이에서 포유동물과 동물의 차이점을 안다면 스무고개 놀이는 우리 마음속에 사물을 분류해서

저장을 하기 때문에 그 사람의 생각속을 들여다보면서 문제 해결을 하는 방식이다.

'모든 짬뽕은 맵다. 모든 대도시에는 지하철이 있다. 모든 자전거는 바퀴가 두 개이다.

모든 고양이는 쥐를 잘 잡는다. 모든 피자는 둥그렇다. 모든 거짓말은 나쁘다'.☞ 이는 성급한 일반화이다.

'모든 포유동물은 허파로 숨을 쉰다. 모든 독수리는 육식동물이다. 모든 생명체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고혈압 환자에게 트랜스지방은 해롭다'. ☞ 이는 성급하지 않은 일반화이다.

일반화는 반드시 필요하되 서읍한 일반화는 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까마귀는 검다." 라는 말이 지금까지 옳았다고 해서, 앞으로도 계속 옳다고 할 수 없을 것이며,

"모든 삼각형은 3개의 꼭지점이 있다."  이 주장이 영원히 참일수 있을까?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파충류는 다 징그럽다. "  그럼 거북이는 파충류인데 거북이도 징그러운 걸까?

*동물들도 자살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1. 고래들이 대형선박에서 유출딘 기름을 먹고 알 수 없는 질병에 걸렸을 수 잇다.

2. 먹이를 찾아왔다가 우두머리가 방향을 잃고 죽게 되니까, 뒤따르던 나머지도 함께 죽게 된 것일지 모른다.

3. 집단 내부에 권력 다툼이 일어나서 그렇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4. 스트레스로 인한 우발적인 집단자살로 추정된다.

5. 잠수함, 군함, 대형 선박에서 나오는 소음이 고래들의 방향감각을 잃게 만든 것이 원인이라고 추측된다.

온갖 가설(어떤 놀라운 일이나 이해하기 힘든 세상, 지식은 가설에서 시작된다. 가설을 세운 뒤에는 '참' 인지를 꼭 확인 해야 한다.

가설을 그냥 '참' 이라고 쉽게 믿는 것은 위험하며 결정적 증거가 꼭 필요하고 입증이 불가능한 가설, 과학적 가설, 비과학적 가설을 구분할 줄 아는 논리적인 지식, 참된 지식이 필요하다.

*과학에도 반전이 있다!

노벨상을 탄 과학자들이 하는 말은 다 맞는 걸까? 한번 생각해 보자.

반증주의자들에 따르면 과학적 이론의 필연적 참을 보증할 수 있는 실험은 없다.

다만 참일 개연성을 보다 강화시켜 나갈 뿐이다. 다시 말해 과학이론은 실험을 통해 반증은 가능하되 확증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조차도 아직 반증되지 않은 이론일 뿐이지 그 참을 보증받은 이론은 아니다. 언제고 더 나은 이론에 의해 대체가능한 이론일 따름이다.

 

생각의 높이를 키우는 책 제목은

'철학 교과서' 라는 편견일 뿐이다.

즐거운 생각 나누기가 있으며 논리적인 추리와 지식이 있다.

우리 삶의 소중한 참된 지식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함께 생각해 본다.

참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논리적으로 따지는 습관이 필요한 것이다. 대화와 토론을 통해서,

초등 5~6학년 이상이라면 꼭 추천하고 싶은 좋은 책이다.

 




 http://www.blog.naver.com/pyn7127/네이버블로그 더 많은 사진첨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