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꾸러기, 생각 여행을 떠나다 - 6명의 위인이 들려주는 창조적인 생각법
김문태 지음, 윤정주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놀기 좋아하고 먹는거 좋아하고 말썽꾸러기에 잠꾸러기, 장난꾸러기인 우리의 주인공이

할머니 할아버지댁 다락방에서 찾아낸 증조할아버지의  회중시계가 멈추는 시간인 4시 44분 44초면 

신기한 시간 여행을 떠나면서 만나게 되는 6명의 위인들과의 이야기속에서 자연스레 배움을 얻게 된다.

 

*회중시계(懷中時計) : 가슴에 품고 다닌다고 해서

내가 아닌 상대방의 입장에서 보는 눈을 키웠던 제인 구달,

전체보다 핵심을 찾아 입체적인 그림을 그렸던 피카소,

상식을 의심해보는 눈을 키웠던 코페르니쿠스,

닮은 점을 찾아 모르는 세계를 알아냈던 헬렌 켈러,

자세히 새롭게 봄으로써 자연주의 소설을 완성한 에밀 졸라,

머릿속으로 그림을 그려 상대성 이론을 세운 아인슈타인.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6명과의 이야기속에서 시대적 배경과 그들의 노력을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고

위인들이 전해주는 가르침을 공부에 접목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럼 그들의 가르침을 잠깐 따라가 볼까요?

1. 제인 구달 (보는 눈을 바꿔라)

 * 제인 구달에게 배우는 문제 해결 방법

 (관점을 바꿔 대상 보기, 편견이나 상식 깨기, 대상을 올바로 이해하기,문제 해결)

2. 피카소( 핵심을 찾아라)

 *피카소에게 배우는 문제 해결 방법

 (불필요한 군더더기 빼내기, 복잡한 것 단순하게 만들기, 핵심적인 본바탕 드러내기, 문제 해결)

3. 코페르니쿠스( 상식을 의심하라)

*코페르니쿠스에게 배우는 문제 해결 방법

(대수롭지 않게 보이는 것에 의문 갖기, 상식을 의심해 보기, 상식을 뒤집어 보기, 문제 해결)

4. 헬렌 켈러( 닮은 점을 찾아라)

 *헬렌 켈러에게 배우는 문제 해결 방법

(잘 아는 대상과 전혀 모르는 대상 비교하기, 두 대상의 닮은 점 찾아내기, 모르는 대상의 특성 알아 내기, 문제 해결)

5.  에밀 졸라 (자세히 새롭게 봐라)

*에밀 졸라에게 배우는 문제 해결 방법

(익숙한 대상을 집중해서 보기, 대상을 의심하며 자세히 보기, 새롭고 낯선 가치 발견하기, 문제 해결)

6. 아인슈타인( 머릿속 그림을 그려라)

*아인슈타인에게 배우는 문제 해결 방법

(대상을 자세히 관찰하기, 머릿속으로 그림을 그려 상상하기, 구체적인 상황 파악하기, 문제 해결)

* 또한 우리가 쓰는 키보드의 발명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답니다.

키보드의 영문 자판을 보면, 알파벳 순서대로 되어 있지 않는데

처음 타자기를 발명했을 때에는 영문 자판의 알파벳이 순서대로 가지런했는데 사람들이 타자기에 익숙해지면서

점점 타자 속도가 빨라져서 타자기가 금세 망가지게 되었다네요.

그래서 타자기를 만드는 사람들은 사람들이 자판을 빨리 칠 수 없도록 자판을 마구 뒤섞어 놓았답니다.

자판을 알파벳 순서대로 만들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어서

문제를 해결한 것이지요.

 



 

 

이 책을 읽으면 먹는거 좋아하고 노는 거 좋아하고 공부, 독서와는 담을 쌓은 우리의 주인공이

동물원을 가고, 미술관 관람을 하고, 천문대 현장학습을 하고 안내견 체험을 하고

석탄 캐는 광산 견학을 하고 놀이공원 소풍을 하면서 시간 여행을 통해 천재를 부러워 하기만 한

장난꾸러기가  언제 어디서든 천재들을 만나 이야기하고 친구가 되는 법은

책 안에 모든 것이 다 있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게 된답니다.

 

*이 책을 통해 띄어쓰기에 물음표 던져보게 되는데

170쪽 생각만 해도 신 난다(?)

180쪽 보다 신 나는(?)

189쪽 신 나게(?)  놀고

202쪽 너무 신 난다(?)

처럼 신 난다(?)신난다(?) 가 아닌지 의문스러워 지네요.

 http://www.blog.naver.com/pyn7127/ 네이버블로그 더 많은 사진첨부했습니다. 클릭하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