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의 양피지 - 캅베드
헤르메스 김 지음 / 살림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어느  죽어가는 유대인 랍비를 돕고 그 대가로

무엇이든 원하는 것들을 얻을 수 있는 비법이 적혀있는 양피지 두루마리 이야기다.

 

캅베드는 인간 창조 원리 가운데 다섯 번째 두루마리의 이름이다.

그 안에는 공경이라는 창조의 원리가 적혀 있다.

'황금 경전'

세상에서 가장 많은 보물과 아름다운 여인들을 가졌던 이스라엘 왕 솔로몬과 연관된

신비스러운 이야기가 얽혀 있다.

(솔로몬은 700명의 부인과 300명의 첩을 거느렸다. 모두가 신이 그에게 알려준 지혜 덕분이었다.)

그랬다.

<캅베드> 의 가르침과 교훈을 믿고 공경한 아리 역시 그러했다.

*아리가 믿고 공경한 <캅베드> 의 가르침과 교훈을 배워보자.

* 공경은 신이 인간을 창조할 때 원리로 사용했던 창조의 비밀이다.

공경의 원리는 세상 만물에 적용된다.

더 많이 공경할수록 더 많은 수확을 얻는다

* 공경의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는 공경하는 대상의 말을 잘 듣는 것이다

 둘째는 공경하는 대상을 기쁘게 하는 것이다

 셋째는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마치 그런 것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 사람에게는 공경해야 할 것이 세 가지가 있다

   하나는 자기 자신이요

   다른 하나는 다른 사람이요

   또 하나는 신이다

솔로몬이 그랬다

그래서 솔로몬은 모든 것을 다 가졌다

아리 역시 <캅베드> 를 믿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그렇게 되었다.

처음 전화 회사 취직하면서 더 나은 발전을 위해 <캅베드> 를 믿으며 일을 공경했고,

일이 주는 대가와 이이기을 더 많이 얻을 수 있었고 사람을 공경하면 사람이 주는 귀중한 보물을

더 많이 얻을 수 있다는 <캅베드> 의 가르침을 따랐다. 더 많이 듣고 더 많이 이해하면서,

연초장사, 세계에서 가장 큰 유조선, 선박 업계의 세계 최강, 세계에서 가장 호화스런 유람선....

1929년 세계 대공황에 휩싸였을 때도 자기 자신을 기쁘게 하려면 자기 자신의 소망을 이루게끔

도와야 한다. 그러면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왜냐하면 행복은 자기 자신으로 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라고 믿었으며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마치 그런 것처럼 생각하고 행동했다.

"성공이란 여우의 귀가 가르쳐주고, 사자의 발이 가져다 주는 것이라며,

그런 아리가 왜 불행을 겪었을까?

<캅베드> 의 힘을 사용하여 연이어 성공을 거두다 보면 자연히 자신이 못할 일이란

세상에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자기를 스스로 신처럼 생각하게 된다.

아리는 자기에게 필요한 여자들을 공경했다. 그리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얻어냈다.

그러나 사랑하지는 않았다. 아니, 그 자신이 표현한 대로 말하자면 그런 사랑은 할 줄을 몰랐다.

때문에 그가 원하는 것이 바뀔 때마다  그가 공경하는 여자도 바뀌었다.

아리는 사랑을 주고받아야 하는 남녀관계를 이익을 주고받는 사업관계처럼 생각했다.

그리고 새깨를 밴 어미 고래까지 잡아 들였다.(포경사업)

아리는 자기를 낮추는 공경보다는 자기를 높이는 교만을 했다.

(가정을 가꾸지 않은 일, 순수한 소망보다 세속적인 욕망에 눈을 돌렸던 것이다.)

전 세계를 누비고 다닌 기적의 양피지속에 빠져 들다 보면 그리스의 역사, 문학, 시인, 책, 영화,

영화배우, 감독이야기,처칠 등 다양한 배움을 덤으로 얻게된다.

<캅베드> 를 올바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랑과 정의와 같은 미덕들을 갖고 있어야했다.

<기적의 양피지> 를 손에 넣은 사람은 뭐든지 가질 수 있다. 용기와 자신감만 있다면,

결국 이 책은 진리에 대한 믿음, 이루고자 하는 소망 이야기 인것이다.

저자는 깊이 있는 통찰과 혜안, 삶을 살아가는 원리를 혀대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받아

들일 수 있도록 문학적인 상상력을 가미해 '자기계박 팩션' <기적의 양피지 캅베드> 를 집필했다.

필명인 전령의 신 '헤르메스' 는 그 전달자로서의 임무를 의미한다.

<기적의 양피지 캅베드> 와 함께 풍요와 성취를 가져오는 삶의 원리와 인생의 의미를 깨달아보자.

행복이란 한 인간이 가진 외적 조건보다는 내적 능력에서 나오는 감정이다.

그래서 사람은 행복해지려면 다른 무엇보다도 스스로 행복을 가꾸고 즐길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겠다.

(지난날의 과오를 깨닫고 나 자신을 되돌아 본다.)

*오타

103쪽 끝에서 6째줄

어께를(X) 맞대고 ☞ 어깨를(O) 맞대고

<center><div style="width: 400px;"><a href="http://www.withblog.net/campaign/link.php?p=%2B9Rb8yPhCmPkMikZSA0w8FWr48Gxn5oE29m45v17c7aexLXJ1AKRFW8WN1%2FDpWL3" target="_blank"><img src="http://www.withblog.net/campaign/img.php?p=%2B9Rb8yPhCmPkMikZSA0w8FWr48Gxn5oE29m45v17c7aexLXJ1AKRFW8WN1%2FDpWL3" style="border: 0;"/></a><a href="http://www.withblog.net" target=\"_blank\"><img src="http://www.withblog.net/common/images/bn_withblog.gif" style="border: 0;"/></a></div></center>
<위드 블로그 참여>
http://www.blog.naver.com/pyn7127/ 네이버블로그 클릭(사진첨부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