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디 - 마하트마, 인도를 밝힌 위대한 영혼 웅진 생각쟁이 인물 15
한상남 지음 / 웅진씽크하우스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간디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반 벌거숭이에 가까운 옷차림에 바싹 마른 보잘것없는 몸매,

동그란 안경 속에서 맑게 빛나는 눈빛을 가진 갈색 피부의 인도 노인의 모습이다.

비폭력 저항 운동을 정치적인 투쟁 방법으로 끌어들인 최초의 인물.

남아프리카에서 차별받는 인도인들을 위해 21년을 살았다.

(일생 동안 인도 감옥에서 2089일을 살았고, 아프리카 감옥에서 249일을 살았던 간디.)

'사티아그라하': '진리' 와 '힘' 을 뜻하는 인도 말의 합성어

시민 불복종을 확실하게 실천했던 사람...모한다스 간디

1906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트란스발에서, 그리고 그 후에는 인도에서 정당한 권리와 자유를 쟁취하기 위해

무저항 불복종으로 인도인들을 이끈 간디.

(간디의 이 아름다운 투쟁은 1950~70년대의 미국 흑인의 인권 운동에 앞장섰던 마틴 루서 킹에게로 이어진다.)

 

마하트마'위대한 영혼' 이라는 뜻이다

'마하트마' 라는 말은 타고르가 간디에게 처음으로 붙인 호칭이라한다.

(타고르:1913년에 노벨 문학상을 받은 유명한 인도 시인)

*분단의 국가*

1. 인도는 힌두교와 이슬람교, 종교로 인해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분단되었다.

인도의 민족 종교인 힌두교는 3천 년이 넘는 역사를 가졌다.

오랜 옛날부터 인도에 전해지던 민속 신앙과 브라만교가 섞인 종교로서, 창시자도 없고 통일된 교리도 없다.

구원에 이르는 세 가지 길로 공덕, 지혜, 봉헌을 들고 있으며 사회 제도와의 연계가 특징이다.

이슬람교는 610년에 아라비아의 예언자 마호메트가 창시한 종교이다.

유일신 알라를 믿는 종교로서 이슬람 국가는 정치와 종교가 일치한다.

이슬람교의 경전인 코란은 알라가 마호메트를 통해 계시했다고 믿는다.

마호메트가 죽인 뒤 후계자인 칼리프가 계승했으나 후계자를 둘러싼 대립이 생겨

수니파와 시아파, 그 외의 여러 파로 분열되었다.

 이슬람교는  8세기 초에 인도에 전래되었다. 인도의 힌두교와 이슬람교는 오랫동안 평화롭게 공존했다.

그러나 영국의 식민지에서 벗어날 때, 극심한 종교 갈등을 일으켰고, 결국 인도의 분단을 만들었다.

2. 그런가하면 우리나라와 북한은 사상 때문에 분단된 경우이다.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가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은 일제 강점기 때이다.

1905년 러시아 혁명에 이어 1917년에 러시아가 황제를 몰아내고 공산주의 정권을 세운 이래

공산주의 사상은 급속하게 외국으로 전파되었다.

 1919년 3.1 운동 이후에 중국과 러시아로 망명한 우리나라의 많은 독립 운동가들은 공산주의 사상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때부터 나라의 독립이라는 같은 목표로 투쟁하면서도, 독립 후에 세울 국가의 청사진은 서로 달랐던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가 수립 이전까지 38선을 경계로 미국과 소련의 통치를 받게 된 일이 분단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을 통해 인도와 우리나라의 분단의 역사를 배워본다.)

 

간디는 인종 차별을 없애기 위해 평생 노력했지만, 어떤 국제기구의 대표도 아니었다.

간디는 영국의 식민지 인도를 독립시키기 위해 일생을 바쳤지만 인도 정부를 대표하는 공직자도 아니었다.

1937년부터 1948년 사이에 다섯 번이나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올랐지만 그 상을 받지 못했고,

그 어떤 국제적인 상을 받은 일도 없었다.

그런데도 오늘날 마하트마 간디는 20세기 최고의 위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간디는 명백한 힌두교도였지만, 이슬람교도들의 신앙을 존중했다. 그리고 결국 종교 때문에 인도가 분열되는 현실을

받아들였다. 또한 이슬람교도들이 폭력의 희생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간디의 암살은 인도 종교 갈등이 그 원인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교 갈등이 정치적인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상황이었으므로, 간디의 죽음 또한 정치적 암살이었다.

우리나라 김구 선생의 암살처럼...

(김구 선생은 공산주의와 민주주의로 갈라져서 나라가 분단되는 것을 막으려고 노력한 민족주의자였다는 점에서

간디의 암살과 비슷한 점을 볼 수 있다.)

 

오늘날의 인도는 많은 국민이 힌두교를 믿지만 국교가 없다.

인도에서는 어떤 종교든 다 받아들이고, 여러 종교인이 평화롭게 살고 있다.

또한 오늘날 인도의 하리잔

(하리잔=불가촉천민....접촉할 수 없을 만큼 천한 사람,카스트에도 속하지 않는 사람)

들은 법적으로 차별을 받지 않는다.

이 모든 것이 간디가 남긴 아름다운 유산이다.

*아쉬운 오타부분*

1. 72쪽 3째줄

가장 높은 계급인 바이샤는 (x)

☞ 가장 높은 계급인 브라만(0)   *인도에는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4개 계급이 있다.

2. 98쪽 5째줄 그러데(X) 막상~ ☞ 그런데 (O) 막상~

  http://blog.naver.com/pyn7127/네이버블로그 클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