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약용 - 백성과 더불어 바로 서는 나라 ㅣ 웅진 생각쟁이 인물 14
박석무 지음 / 웅진씽크하우스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정약용이 거중기를 발명하여 수원화성을 건축했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요즘으로 말하면 ’멀티 플레이’ 였다는 것.
정약용은 청나라에서 들여온 새로운 문물과 지식을 조선 사회에 도입하여 더욱 부강한 나라를
만들려고 노력했던 실학자요, 당시의 최첨단 과학 지식과 기술을 동원하여 수원 화성을 설계한 건축가였고
그 과정에서 거중기를 발명한 발명가이기도 하고, 백성들을 괴롭히는 못된 탐관오리를 고발하여 혼내 준
훌륭한 관리였고 백성들이 홍역에 걸려 고생할때는 의학책을 써서 그 치료법을 널리 알린 의학자였으며
반대파의 모함을 받아 귀양살이를 하는 동안에도 다방면에 걸쳐 500권이 넘는 책을 쓰기도 했다.
<목민심서>와 <경세유표>등은 오늘날까지도 꾸준히 읽히고 있다.
그가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업적을 남긴것은 끊임없는 호기심과 탐구심, 늘 열린 마음으로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배우려는 자세, 불편하고 맞지 않는 것이 있으면 어떻게 하면 더 좋게 바꾸고 고칠 수 있을지를 탐구하는 자세,
바로 그런 자세가 멀티 플레이어 정약용을 만든 원동력일 것이다.
그럼 생각쟁이 열린마당에서 들려주는 배움...함께 해 볼까요?
*** ’탕평채’ 음식에 대해서 ***
붕당 정치의 부작용으로 사도 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죽게 한 영조는 곧 후회를 했다한다.
아들을 자신의 손으로 죽인 것은 결국 붕당 정치 때문이라고 생각한 영조는 이를 바로잡기 위해 고민하다가
수라간 나인들에게 새로운 음식 하나를 만들게 했는데, 신하들과 탕평책을 이야기하는 자리에
그 음식을 들여오도록 한 음식이 ’탕평채’ 라고 하네요.
(청포묵에 갖은 채소와 지단, 김, 오색 고명 등을 얹어 만든 묵무침)
여러 가지 음식 재료의 맛과 색상이 두루 어우러진 이 음식에는 영조의 깊은 뜻이 담겨 있었는데
탕평채의 재료들이 서로 조화를 이룬 것처럼 노론, 소론, 남인 할 것 없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조정을 이끌어 나가자는
뜻이었다한다. ’탕평채’ 라는 이름은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고르다는 뜻을 지닌 <서경>의 ’홍범조’ 에 있는
’탕탕평평’ 이란 말에서 유래된 것이다.
-청포묵의 탄수화물, 지단과 고기의 단백질, 미나리, 숙주 같은 채소의 비타민과 무기질을 고루 먹을 수 있는
영양 또한 완벽한 균형을 이룬 음식이다.
***시대를 앞서 살았던 정약용, 그의 형제들***
*정약전( 정약용의 둘쨰 형)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어류학 책 <현산어보>-(그동안 <자산어보>라고 읽기도 했으나 ’자(玆)’ 를 ’검다’
라는 뜻으로 사용할 떄는 ’현’ 으로 읽는다.) 를 남긴 인물이다.
흑산도 주변의 해양 동식물을 연구, 중국 문헌을 고증하고 정리하는 동시에 어부들에게 부탁해서 직접
해양 동식물들을 보고 만지며 연구했다. 50개가 넘는 청어의 척추뼈를 일일이 세어 맞추는 등 해부를 하기도 했는데,
현대 생물학자들조차 그 뛰어난 관찰력에 감탄할 정도이다.
*정약종(정약용의 셋째 형)
우리나라 천주교 역사상 초창기 순교자 중 한 사람
우리말로 <주교요지> 라는 책을 써서 천주교 포교에 큰 공을 세움
<주교요지> 를 완성한 이후 교리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성교전서>라는 책을 쓰던 정약종은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뜻을 다 이루지 못하고 서소문에서 참수당했다.
*정약용*
<목민심서>, <경세유표> 을 비롯한 수백 권의 저서를 남기며 새로운 사상과 지식을 통해 사회를 개혁하고자 했다.
***정약용 형제들은 각기 다른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겼다.
전통과 개혁이 충돌하는 변화의 시대였던 조선 후기,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은 시대를 앞서 갔던 이유로
여러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오늘날에는 그 업적을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
*정약용이 설계하고 당대의 새로운 지식과 과학 기술을 총동원하여 건설한 수원 화성은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계획도시이자 신도시였다.
*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이 많은 유배생활을 한 지명이
오늘날의 이름으로 참고해 줬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경상도 장기, 황해도 곡산, 충청도 해미, 전라도 신지도, 고금도??? 도대체 어느 지역이란 말인지....
*THINK이산과 함께 읽으면 연계학습을 할 수 있겠다.
http://blog.naver.com/pyn7127/네이버블로그 클릭
정약용, 멀티플레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