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읽는 세계의 신화 아비투어 교양 시리즈 2
크리스타 푀펠만 지음, 권소영 옮김 / 비씨스쿨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교양서적 접해본다.

(나도 교양이 좀더 쌓일려나? 하는 생각에 잠시 미소를,ㅎㅎ)

신화 ......

신화는 종종 현실과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들,

우리에게 낯선 상상들, 우리가 오래전에 극복해냈던 사회구조들에 대해서 이야기 해 준다.

신화 속에는 우리들에게 와 닿는 무언가가 있다. 어떤 아름다운 모습, 중요한 관념, 늘 대두되는

시사적인 문젯거리들, 그리움, 꿈, 신화 그 자체.

신화는 문화

세상을 설명하는 최초의 시도이며, 우리들 문화의 일부분이다.

더 이상 믿을 수 없는 이야기라고 해서 부활절 토끼, 아더왕과 그의 기사들, 노아의 방주,

아름다운 헬레나를 물 속에 던져 버리지는 않는다. 용감한 기사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

모두를 구해주었던 배 이야기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를 매료시키고 있다.

 신화는 역사

수많은 고고학적 발굴품들보다 더 많이 과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왜냐하면 돌이나 그림, 조각들은 결국 신화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신화는 일반상식

신화를 모르는 사람은 예술과 문화에 관한 많은 것들을 이해할 수가 없다.

신화는 매력적

영원히 한결같은 인간의 그리움, 꿈, 두려움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다.

신화는 인간들이 세상의 기본질서를 만들어 보고자 했음을 증명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그리스 로마신화, 북유럽신화, 外에 수많은 신화를 총제적으로 다루고 있다.

*창조신화

*근원신화

*신들의 이야기

*신화의 영웅들 이야기....까지,

(고대 마야신화, 게르만신화, 수메르, 이집트 신화, 중국신화, 인도신화,

오세아니아신화, 토고신화, 일본신화, 아일랜드신화,몽고신화,등,,수많은 신화들을 접해본다)

 

역시 우리에게 잘 알려진 그리스신화, 올림푸스, 일리어드 이야기는 몇번을 읽고 또 읽어도

흥미롭고 재미있다.

다소 생소한 듯한 신화 이야기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그리스 신화처럼

많이 접하고 반복해서 읽다보면 친근하게 다가 오리라 믿는다.

이 책은 말 그대로 잘 알려진 그리스 로마신화부터 다소 생소한 듯한 신화 이야기까지

총체적 구성까지 다 포함되어 있음에, 남들 다 아는 신화 이야기보다 남들이 모르는

신화를 접할 수 있음에 한층 더 교양을 쌓는다는 점이 특징이겠다.

***뉴질랜드이 원주민-마오리족-

나선 모양의 얼굴 문신으로 유명하다. ***

중간중간  "아는 척하기"

요점정리 눈에 쏙쏙 들어오게 해줘서 잘난척을 한번 해 봐야겠다.

"아는 척하기에서 익힌 것,,,아는 척 해 봅니다."

엘과 엘리자베스

아랍인들과 히브리인들에게 엘은 신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말이다.

그래서 그것은 많은 기독교 이름들 속에도 담겨있다.

엘리자베스(Elisabeth, 신에게 받쳐진 자),미하엘(Michael, 신과 같은자),

다니엘(Daniel, 신의 재판관), 라파엘(Raffael, 신의 의사),

가브리엘(Gabriel, 신의 힘)등의 이름이 그러하다.

신들의 왕 제우스의 여자 친구들  -바람둥이 제우스 NO~~~~~~~~~

제우스는 몇몇의 여자들을 실제로 가졌을까? 그리스 신화에서는  서른한명을 들고 있다.

헤라, 가이아, 므네모시네, 에우뤼노메, 테미스, 데메테르, 페르세포네, 메티스,

디오네, 레토, 마이아, 세멜레, 다나에, 알크메네, 레다, 에우로페, 로, 엘렉트라,

셀레네, 타위게터, 엘라라, 니오베, 칼리스토, 에우뤼메두사, 안티오페, 라오다메이아,

프로토게네이아, 아이기나, 에우리오디아, 아익스, 플루토,

그 외에도 제우스가 하늘로 납치해 와서 신들의 음료 담담관으로 만든 트로이의 아름다운 왕자

가니메드(Ganymed)가 있다. 그런데 제우스의 형제인 포세이돈도 내보일 만한

서른 네 명의 여자들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렇게 오랫동안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만들지는 않았다.

제우스는 황금 빗물로(다나에), 암피트리온의 모습으로(알크메네), 하얀 황소로(에우로파),

개미로(메우뤼메두사), 사티로스로(안티오페), 독수리로(세멜레와 가니메드), 백조로(레다)

 변신하여 그의 연인들에게 다가갔다.

모네타

주노 모네타 신전에는 화폐창이 있었다.

여기에서 찍어내던 동전들을 모네타라고 불렀으며, 모네타가 기원이 되어 머니(money)라는

말이 탄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켈트족으로부터

분수에 동전을 던지는 풍습은 강과 샘물의 신들에게 켈트족이 제물을 던지던 데서 유래한다.

 

호메로스의 일리아드 트로이 전쟁이야기는

후니미니랑,,,너무 많이 읽었는데도 아직도 생생하다.

역시 트로이의 가장 용감한 영웅...아킬레우스,오딧세우스는,,,짱!!!!!!

 

우리 인간들은 추상적인 철학과 확실한 학문 세계를 다루기 위해 조심스럽게

신화를 더듬어 보았다.

어린애 같은 매력을 지니고 있으며 진실이든 아니든 신화는 항상 이야기된다.

그것이 바로 신화의 매력이다.

다소생소했든

세계의 신화...........이 책 한권으로,,,더 깊은 교양을 쌓아본다.





***그리스이름,오이디푸스: 원래 '퉁퉁 부은 발' 이라는 뜻

                  그는 아이었을 때 두 발에 구멍을 뚫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