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는오히려 정서적·윤리적 차원의 상징 체계가더 핵심적인 도구다.인간은 이런 도구를 써서인지적 혼란, 정서적 고통,윤리적 딜레마를 해소하는 상징적 행위자다.질적 연구자는상징적 행위자인 인간이어떤 문제 상황에 처해 어떤 문화 자원을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는지 탐구한다.이를 위해 실험실같이 인위적인 세팅보다는자연스러운 삶의 현장에서 살아가는 행위자들을 탐구한다.(22면)
많은 사람들이 첫 친구를 만나는 경험을 하는데,그 경험은 경이 그 자체이다.첫사랑만큼이나 엄청난 경이(소설가들에게는 미안한 소리지만),아니 그보다 더 엄청난 경이이다.(190면)
질적 연구는매우 개인적이고 해석적이기에,자연주의적 탐구는 사람들이 살고 일하는 실제 세상 속에서연구자가 들어가기 때문에,심층 인터뷰는 사람들 마음 속을 열게 하기 때문에질적 탐구는 설문지나 테스트, 기타 양적 접근을 하는 것보다좀 더 거슬릴 수 있고 민감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66면)
그 특징은 바로 충족되지 않는 갈망,어떤 만족감보다 그 갈망 자체를 더 갈망하게 만드는 갈망이다.나는 그것을 ‘기쁨(Joy)‘이라고 부른다.(32면)
정언 명령은‘그 준칙이 보편적 법칙이 될 것을, 그 준칙을 통해네가 동시에 의욕할 수 있는,오직 그런 준칙에 따라서만 행위하라‘(13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