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
조병희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서 사회적 웰빙이란 개인이나 공동체가 긍정적인 삶의 궤적을경험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것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이며, 개인의 웰빙은 환경이나 사회 생태계가 다층적인 지원이나 보호, 자원과 기회를 제공할 때 비로소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한다.

(43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
조병희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신건강의 사회적 측면을 강조하는 이론적 자원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론적 자원들 중 하나는 사회정신 의학이다. 그런데
‘사회정신‘이라는 개념은 마치 헤겔의 시대정신zeitges‘처럼 형이상학적 개념으로 오해받을 위험이 있다. 그래서 경험적으로 관찰 가능한 인식과 체험의 장에서 재구성할 수 있게 개념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최근 김홍중이 제안한 마음의 사회학이라는 담론을 주요 이론적 자원으로 삼았다.

(27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
조병희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단 자리를 차지하면 남들의접근을 가능한 한 차단해 자신만의 것으로 사유화하고자 한다. 이러한 경향이 더 진행되면 신분 제도인 카스트와 같은 차별화가 나타난다.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소위 ‘갑질은 신종 카스트의 존재확인과도 같다.

(7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
조병희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주제는 사회적 건강과 웰빙이다. 현재의 사회가 건강하지못하다면 그 기원은 언제부터이고 왜 그렇게 되었을까?

(5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헨리에타 랙스의 불멸의 삶
레베카 스클루트 지음, 김정한.김정부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고등학교 시절 데버러는 엄마와 언니가 당했을지도 모를 끔찍한 일을 생각하며 울음으로 밤을 지새우기도 했다. 그녀는 부모의 사촌들과 데이에게 묻곤 했다. "도대체 엘시 언니에게 무슨 일이 있었대요? 글고 엄만 누구였어라? 엄마에겐 또 뭔 일이 생겼던 거예요?" 데이는 그저 똑같은 말만 되풀이했다. "네 엄마 이름은 헨리에타 랙스였다. 니가 기억하기엔 너무 어렸을 때에 죽어부렀고."

(168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