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이 이 임무를 수행하려면, 여러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분야별로 필요한 전문성을 최대한 축적해야 하고, 축적된 전문성으로 집정부를설득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집정부와 대립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 외부에서행정을 지원해야 한다. 위축된 행정이 자부심과 용기를 지니도록 제도적 장치를점검하는 등 행정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과잉정치가이해관계에 휘둘려 전문성을 무시할 때 각 분야의 지식계층이 행정을 지원해야 한다. 지식인들이 정확한 정책평가를 하여 집정부가 올바른 결정을 할 때는 이를 지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지도적 역할을 할 사람들이 정책의 결정 사이이나 집행에서 왜 전문성이 중요한지를 이해해야 한다. 더 근본적으로는 바람직한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왜 현실에서 이것이 잘 안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이것이 정책학에서 연구하고 전달하려는 메시지이다. 그런데 이 메시지가 지금은 너무나 중요하다.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여 희망 있는 미래를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하여 해야 할 일들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된다. 정책학적 지식의 전파와 확산이 주춧돌이 되는 것이다. - P3
이 장에서는 정책학의 등장 배경과 학문적 목적, 정책학의 연로
구대상 및 방법 등을 논의한다. 정부 정책은 한 개인이나 특정 집단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국민 또는 인류 전체에도 영향을미칠수 있다. 따라서 잘못된 정책으로 인한 피해도 인류 전체로확대될 수 있다. 정책학은 바로 이러한 정책을 바람직하게 결정하고 집행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논의하는 학문이다.
정책학의 연구대상은 정책이며, 정책이 형성되고 집행되는 ‘정책과정‘을 주된 연구범위로 한다. 또한 정책학은 경험적·실증적 접근방법과 규범적•처방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정책과정을 정확히파악하고 이를 바람직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한다. 끝으로 정책학 연구의 한계와 연구자의 윤리 문제를 논하고,
정책학과 인접학문의 관계를 살펴보겠다. - 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