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리의 요소는 개념이고, 진리의 참된 형태는 학문 체계이다진리의 참된 형태가 학문성에 정립됨으로써, 또는 같은 말이지만 진리는 오직 개념에서만 자신이 실존하는 요소를 지닌다고 주장함으로써, 이것이 현시대가 지닌 확신 속에서 그토록 널리 퍼진 외람된 표상 및 그것의귀결들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을 나도 알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모순에 관한 설명이 설사 여기서는 그것이 반박하고자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확언 이상이 될 수 없을지라도 불필요한 일은 아닐 듯하다. - P5
감각적인 것, 통속적인 것, 개별적인 것에 함몰되어 있는 상황으로부터사람들을 구출해내고 그들의 시선을 들어 올려 별을 향하도록 만들려는힘겹고도 거의 열성적이며 흥분 상태로까지 나타나는 노력은 바로 이런 요구에 부응한다. 마치 사람들이 신적인 것을 모조리 망각한 채 버러지마냥먼지와 물로 흡족해하면서 한군데에 머물러 있기라도 하는 듯이 말이다. - P7
학문을 포기하는 이와 같은 검소함이 (검소한 태도로) 그런 열광과 혼탁함이야말로 학문보다 더 고귀한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하는 것은 더더욱 안 될일이다. 이런 예언자인 체하는 언설은 그렇게 함으로써 핵심과 심오함에제대로 머무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규정성(한정, Horos)을 경멸의 눈길로바라보면서 개념과 필연성을 한낱 유한성에 안주하는 반성이라고 멀리하며 의도적으로 기피한다. 그런데 공허한 넓음이 있듯이 공허한 깊음도 있는 법이다. - P8
건물의 기초를 놓았다고 해서 건물을 완성한 것은 아니듯이, 전체의 개념에 도달했다고 해서 그개념이 곧 전체 자체인 것은 아니다. - P10
새로운 정신의시초는 다양한 도야 형식들이 겪어온 장대한 변혁의 산물이며, 여러 갈래로 뒤얽힌 경로를 거치면서 온갖 노력과 노고를 들인 끝에 얻은 대가이다. 그러한 시초는 연쇄의 과정으로부터 그리고 그 외연의 확장으로부터 자기자신으로 복귀한 전체, 그런 전체의 생성된 단순한 개념이다. 그런데 이런단순한 전체의 현실성은 이렇게 전체의 계기가 된 형태들이 다시금 새롭게, 그러나 이제는 자신의 새로운 요소 속에서, 즉 새롭게 생성된 의미에서자신을 전개하면서 형태를 부여하는 데에 있다. - P10
참된 것이란 자기 자신의 생성이며, 자신의 종착점을 자신의 목적으로 전제하면서 출발점으로 삼고서는 오직 자신을 수행하여 종착점에 도달함으로써 비로소 현실적으로 되는 원환이다. - P16
참된 것은 전체적인 것이다. 그런데 전체는 오로지 자신을 전개함으로써 스스로를 완성하는 본질이다. 절대적인 것에 관해서는 그것이 본질적으로 결과이며 종착점에서야 비로소 참으로 그것인 바대로 존재한다고 말해야 한다. 그리고 바로 여기에 현실적인 것, 주체, 자기 생성이라는 절대자의 본성이 존립한다. 절대적인 것을 본질적으로 결과로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 모순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조금만 숙고해보아도 이런 모순의가상이 곧 시정된다. - P17
그러므로 학문은 직접적 자기의식이라는 요소를 자기 자신과통합해야만 한다. 또는 오히려 학문은 직접적 자기의식이라는 요소가 학문 자체에 귀속된다는 것과 또 어떻게 귀속되는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현실성을 결여하고서는 학문이 한낱 즉자에 머무는, 즉 여전히 내적인 것이어서 아직 정신으로서 존재하지 못한 채 단지 겨우 정신적 실체에 머무는36)목적에 불과하다. 300 학문은 스스로를 외화하여 대자적으로 되어야 한다. 이는 다름 아니라 학문이 자기 의식을 자기 자신과 하나로 정립해야 함을 뜻한다. - P25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서술은 학문의 제1부를 이룬다. 왜냐하면 최초의것으로서 정신의 현존재는 다름 아니라 직접적인 것 또는 시원에 불과하며, 시원은 아직 정신이 자신 안으로 귀환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직접적 현존재라는 요소는 이 학문의 제1부를 다른 부분과 구분하는 변별적 규정성이다. 이러한 차이점의 제시는 이와 관련하여 떠오르곤 하는 몇 가지 고정 관념에 관한 논의로 이끈다. - P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