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와 달리 또는 존재성을 넘어 레비나스 선집 6
에마누엘 레비나스 지음, 문성원 옮김 / 그린비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재와 탈이해관심의 동시적인 수립인 것이다. 자기를 위해는 자법이다. 자기의식을 의미화한다. 모두를 위해는 타자들에 대한 책임을, 우주의 떠받침을 의미화한다. 앞선 개입 없이 응답하는 이와 같은 방식, 즉타인에 대한 책임은, 인간의 형제애 그 자체이고, 자유에 선행하는 것이다. 근접성 속의 타자의 얼굴이것은 재현 이상의 것인데ㅡ은 재현할 수 없는 흔적, 무한의 방식이다. 그것은 존재들 가운데 자아가 목적을 좇는 한 존재로서, 즉 존재가 의미작용을 장악하여 우주가 된다는 목적을 좇는 한 존재로서 실존하기 때문이 아니다. - P253

타자와의 관계가 소통과 초월일 수 있는 것은, 또 그것이 확실함을 추구하는 또 다른 방식이나 자기와의 일치coincidence가 아닐 수있는것은, 자기로 이해된 주체성에서 출발해서다. - P259

소통이 자유로운 주체인 자아에서 시작하는 것이라면 소통은 불가능할 것이다. 이 자아에게, 모든 타자는 제한일 뿐이다. 전쟁, 지배, 주의, 첩보 등으로 이끄는 제한일 뿐이다. 소통한다는 것,
그것은 분명 자신을 여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열림이 인식을 노리Jo 1261는 것이라면, 그것은 온전치 못하다. 열림이 온전한 경우는 그것이 "스펙터클"에, 또는 타자에 대한 인식에 열릴 때가 아니라, 타자에 대한 책임으로 이뤄질 때다. - P260

현상학은 다가감을 기술하는 가운데 주제화를 무-시원으로뒤집는 길을 따를 수 있다. 윤리적 언어는 현상학이 느닷없이 내던져져 있는 역설을 표현하기에 이른다. 왜냐하면 윤리는 정치적인것을 넘어서서 이 뒤집음의 수준에 있기 때문이다. - P264

우리는 이것을 원죄 상태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반대로 그것은 창조의 본래적 선함이다. 박해받는 자는 언어로 자신을 방어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박해는 변명의 자격을 박탈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박해란 주체가 로고스의 매개 없이 공격당하거나타격을 입는 바로 그 계기를 뜻한다.2) - P265

열림에 대한 강조가 대신함에까지이르는 타자를 위한 책임이라는 것, 탈은폐의 타자를 위함, 타자에게 드러남이라는 타자를 위함이 책임의 타자를 위함으로 변한다는 것, 이것이 바로 이 책의 주제다. 소통의 열림은 진리를 자기 속에서 유지하는 대신 바깥에 위치시키기 위해 단순히 자리를 바꾸는 것이 아니다. 놀라운 것, 그것은 진리를 바깥에 놓는다는 발상또는 광기다. 소통은 단순히 덧붙여지는 것인가? 그게 아니라 자아란, 즉 동일한 것의 견고함안에서의 대신함이란, 타인에게 연대 자체를 증언하는 데서 출발하는 연대이지 않은가? - P2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